d라이브러리
"작품"(으)로 총 1,960건 검색되었습니다.
- 시민과학콘 지구를 구하는 작은 영웅들을 소개합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2호
- 송현정 대원 반짝진주 팀 하정주 매니저개구리의 노오란 울음주머니가 이 작품의 포인트네요. 김나현 대원 나그네 대원 하정주 매니저겨울의 흰 눈이 떠오르는 깜찍한 흰머리오목눈이를 그려주었군요 ... ...
- [수학체험 유랑단] 영암의 테셀레이션 의상실을 찾다!수학동아 l2023년 02호
- 수업 UP↑예술로 꽃 피운 테셀레이션 실제로 테셀레이션 무늬를 이용한 다양한 작품이 많습니다. 김 선생님은 “최근에 스페인 연수를 다녀왔는데 그라나다에 있는 알람브라에서 수많은 테셀레이션을 찾아볼 수 있었다”면서, 직접 찍은 사진을 보여주셨습니다. 13세기와 14세기에 걸쳐 ... ...
- [뉴스&인터뷰] “인공지능이 인간을 뛰어넘더라도 우리가 소설을 쓸 이유는 있습니다”과학동아 l2023년 02호
- 수 있었다. 동시에 그가 ‘데미안’이란 캐릭터에 갖는 동경도 이해했다. 뛰어난 예술작품을 감상하면서 순간적으로 정신적 흥분을 느끼는 현상을 ‘스탕달 신드롬’이라고 한다. 데미안을 읽을 때 이 스탕달 신드롬을 경험했다. 이후 2022년까지 소설을 엄청 썼다. 이제 고등학교 3학년이 됐으니까, ... ...
- [SF영화로운 덕후생활] AI 전투용병 ‘정이’ 현실 가능한 기술은?과학동아 l2023년 02호
- ‘전설의 전투용병 ‘정이’의 뇌를 복제하라!’1월 20일 넷플릭스에 공개된 ‘정이’는 뇌 복제라는 신선한 소재를 다룹니다. 영화 속 군수업체 크로노이드가 정이의 뇌를 ... 파괴할 뿐이다.” 르네상스 시대에 교육자로 이름을 날린 프랑수아 라블레의 말이 떠오르는 작품이었습니다 ... ...
- [JOB터뷰] “좋은 일이 생길 거예요” 큰 귀 토끼 ‘베니’ 구작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2호
- 뮤지컬은 노래도 부르고, 춤도 추고, 연기도 하잖아요. 세 가지를 한 번에 하는 멋진 작품인데, 저는 소리가 들리지 않아 슬프게도 뮤지컬을 보면 언제나 잠들어 있더라고요. 공연을 선보이는 분들께 너무 죄송했어요. 제대로 느끼고 즐기고 싶은데 그게 마음대로 되지 않았거든요. 청력을 또렷이 ... ...
- 스토리콘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소설과 웹툰 작품을 선정해 소개해 드립니다. 어과동에선 나도 작가! 스토리콘 작가들의 작품을 소개합니다~. 소설은여우작가 SF: Silver Fox프롤로그어린 왕자가 7번째로 방문한 행성,지구에서 어린 왕자는 여우를 만났다.그 여우에게는 친구가 있었으니,바로 은여우였다.그 여우는 끈기 있었다 ... ...
- [뉴스&인터뷰] 칼 세이건에 ‘진심’인 사람들 강남 한복판에 모이다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스토어 ‘ESC’에서 개최됐다. 이곳에선 앞으로 우주와 관련된 소재를 NFT(대체불가토큰) 작품, 음료와 디저트 등 문화콘텐츠로 풀어가는 전시가 주제를 바꿔가며 공개될 계획이다. ‘보이저’를 주제로 한 이번 첫 전시는 1월 31일까지 진행된다. 한 해의 시작인 1월, 익숙한 환경을 벗어나 낯설고 ... ...
- [과학사 극장] 씨 없는 수박은 우장춘의 작품이 아니다?과학동아 l2023년 01호
- “한국을 대표하는 과학자는 누구일까?”장영실, 이휘소, 석주명 등 많은 사람이 떠오르지만, ‘씨 없는 수박’을 발명한 것으로 유명한 농학자 우장춘을 지나칠 수 없다. 그런데 우리가 잘 아는 씨 없는 수박이 우장춘의 발명이 아니라면?한국과학사 연구자 김태호 교수에게 우장춘의 진실에 관해 ... ...
- [인터뷰] “냉소적인 세계관을 만들고 싶어 숫자를 활용했어요”수학동아 l2023년 01호
- 2022 SF 스토리 공모전 심사를 맡은 심완선 SF 평론가는 을 두고 ‘사람이 죽으면 무엇으로 태어날지 국가가 정한다는 내세 시스템이 매력적’이었다고 ... 관점을 제시해 이에 따른 상황들을 보여주면서 독자나 관객들에게 지금의 삶을 돌아볼 수 있게 하는 작품을 만들고 싶어요 ... ...
- [이달의 책] 공백과 예상을 뛰어넘는 한국의 판타지과학동아 l2023년 01호
- 눈에 보이지 않는 존재들이 눈에 보이는 나와 깊은 관계를 맺는다는 성찰은 마치 문학 작품의 한 구절처럼 보이기도 한다. 하지만 저자의 설명 방식은 매우 과학적이다. 그는 “잎새에 이는 바람에도 나는 괴로워했다”라는 윤동주의 시구에서 외부의 작은 자극에 얼마나 크게 반응하는지 측정하는 ... ...
이전7891011121314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