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정보"(으)로 총 8,054건 검색되었습니다.
- AI, 예보에 도전장 내밀다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재해 위험등급 지역을 구분해 AI에 학습시킬 예정이에요. 예보관들이 AI가 제공하는 맞춤 정보를 지방자치단체, 경찰청, 소방청에 제공해 신속하고 정확하게 국민의 안전을 지킬 수 있도록 돕는 게 목표죠. 현재 개발하는 AI들은 올해 내부 평가를 거쳐 2025년 실전 업무에 사용할 계획입니다. 용어 ... ...
- 컴퓨터 공학도들, 2000년 전 파피루스를 읽다과학동아 l2024년 01호
- 가상적 펼치기 기술의 컴퓨터 시뮬레이션 모델을 공개했다. 참가자들의 역할은 주어진 정보를 활용해 돌돌 말린 파피루스를 펼치는 알고리즘, 파피루스에서 잉크를 식별하는 알고리즘 등을 개발해 궁극적으로는 파피루스의 글자를 읽는 것이다. 참가자들이 함께 진행 상황과 피드백을 공유하는 ... ...
- 쓸 줄 모르면 손해! 생성AI 똑똑한 사용법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실력 좋은 개인 비서를 두는 것과 같다. 대화 몇 마디로 내가 원하는 정보를 찾아내고, 그 정보를 원하는 형태로 정리하기 때문이다. 안 쓰면 손해인 생성 AI, 어떻게 더 잘 사용할 수 있을까.2024년을 살아가는 가상의 인물들의 하루로 살펴봤다.(❋편집자주. PART 2에 삽입된 이미지는 오픈AI의 이미지 ... ...
- 1년만의 규제 해제, 종이 빨대의 향방은?과학동아 l2024년 01호
- 도시(홍콩, 타이베이, 부산, 도쿄)의 다회용컵 대여 업체 5곳에서 다회용컵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수집했다. 그리고 이를 활용해 다회용컵과 일회용컵이 각각 생산되고, 운송, 폐기되기까지의 환경영향평가를 시행했다. 이때 계산한 환경영향 척도는 기후변화에 미치는 영향, 인체독성, 담수 ... ...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범용인공지능(AGI)의 시대 그대들은 어떻게 살 것인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4호
- 이미지를 만들어 낼 수 있습니다. 다음날 날씨 같은 최신 정보가 필요하면 직접 웹에서 정보를 검색하는 웹브라우징 기능도 가능해졌죠.국내외 여러 기업은 바드, 뤼튼처럼 챗GPT에 맞서는 다양한 인공지능 프로그램을 선보이고 있습니다. 이들은 특정한 조건에서만 기능할 수 있는 제한된 인공지능 ... ...
- [명탐정상] 손바닥 냄새로 성별 구분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4호
- 화합물의 비율은 사람마다 달랐습니다.연구팀은 각 사람의 화합물 비율과 성별 정보를 컴퓨터에 입력해 손바닥 냄새를 바탕으로 성별을 분류하는 알고리즘을 만들었어요. 검증 프로그램을 통해 알고리즘의 성능을 평가한 결과 96.67%의 정확도로 성별을 구별할 수 있었지요. 퍼튼 교수는 “범죄 ... ...
- 비결은 어과동? 한도하 독자, 2023 전국학생과학발명품경진대회 국무총리상 수상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3호
- 한도하 독자는 구조용 들것을 발명하기로 마음먹었어요. 먼저 특허청에 찾아가 특허 정보 검색 서비스를 통해 응급상황에 쓰이는 다기능 들것이 있는지 조사했지요. 하지만 들것을 운반하는 구조대원의 안전이나 편의를 위한 기능을 가진 제품을 찾아볼 수 없었습니다. 한도하 독자는 기존 들것에 ... ...
- 잎꾼개미 후투티와 함꼐 한 탐사줄다리기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3호
- 교수는 “탐사할 때 생물의 소리는 종 다양성, 종간 의사소통 등을 파악하는 데 귀중한 정보가 된다”고 소리 탐사의 중요성을 말했습니다. “무작정 사진을 많이 찍는다고 해서 좋은 탐사가 되는 건 아니에요.” 탐사를 마무리하며 장이권 교수는 대원들에게 탐사에 있어 가장 중요한 자세를 ... ...
- [마이보 의 과학 영상 읽어줌] 로봇은 어떻게 안넘어지는 걸까?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3호
- 충격을 받아도 균형을 잘 잡는지 확인하기 위해서죠. 사람이 눈과 귀에서 오는 정보를 처리해 균형을 잡는 것처럼, 로봇은 센서로 힘의 방향, 크기, 기울기 등을 분석해 균형을 잡습니다. 과거에는 제대로 걷는 것조차 어려웠던 휴머노이드 로봇이 충격에도 끄떡없기까지, 어떤 기술이 필요했을까요 ... ...
- [가상 인터뷰] 연가시가 사마귀를 조종하는 비밀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2호
- mRNA가 어떻게 변화하는지 관찰했어. mRNA는 체내에서 단백질을 만들도록 세포에 유전자의 정보를 전달해. mRNA 변화를 알면 어떤 유전자가 숙주 조종에 관여하는지 파악할 수 있지. 실험 결과는 어땠어? 사마귀가 물에 빠져 죽는 동안 연가시의 뇌에서는 mRNA 발현량이 3100개 이상 증가했어. 반면 ... ...
이전7891011121314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