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조류"(으)로 총 1,210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획] 최장거리 비행 기록을 갈아치우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8호
- 튀어나온 큰뒷부리도요를 발견했어요. 가락지를 읽어서 4BBRW인 걸 확인하고 뉴질랜드 조류학자들에게 연락했습니다. 반년 후 4BBRW가 최장거리 비행 기록을 세웠다는 이야기를 전해 듣고는 다치지 않고 돌아갔구나 싶어 무척 기뻤어요. Q얼마나 자주 새를 관찰하시나요?갯벌에 도요물떼새가 ... ...
- [기획] 어떻게 길을 찾았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8호
- 우리나라에서 발견되었어요. 이중 도요물떼새, 오리나 기러기는 물론 참새목의 소형 조류까지 사계절 다양한 종류의 철새가 발견됩니다. Q우리나라가 지리상 철새들에게 매우 중요한 곳이라고 들었어요.철새의 여행은 쉽지 않은 일입니다. 장거리 이동을 하며 많은 철새가 죽을 정도지요. ... ...
- [야생동물이 사람을 두 번 만났을 때] 수리부엉이, 6개월 간의 육아일기과학동아 l2021년 07호
- 수 없기 때문이다. 작은 새는 1년에 1회 이상 깃갈이를 하지만 수리부엉이와 같은 중대형 조류는 1년이 지나도 날개깃의 일부만 새로 자라난다. 운이 좋아 금세 자라날 수도 있지만 깃이 언제 돋아날 지 기약할 수 없다. 수리부엉이는 꼼짝없이 깃이 돋아나길 기다리며 구조센터에 머물게 됐다. ... ...
- [NST 모두를 위한 연구] 넘치는 음식물 쓰레기 석탄 대체 연료가 되다과학동아 l2021년 07호
- 환경자원재생연구센터 선임연구위원은 “음식물 쓰레기로 만든 사료가 최근 조류인플루엔자(AI)나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을 전파하는 매개원으로 알려지면서 2019년부터 사료로 재활용할 수 없게 됐다”며 “현재 사료 생산시설마다 음식물 쓰레기가 적체된 상황”이라고 말했다.퇴비로 ... ...
- [JOB터뷰] 종이로 꿈을 펼치는 페이퍼 아티스트 이재혁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7호
- 같은 종의 새를 여러 번 만들어 보지요. 그래서 딱히 기억에 남는 작품은 없어요. Q계속 조류 작품만 만드실 건가요?그렇지는 않아요. 어류를 만들기 도 했고, 애니메이션 영화 에 나오는 용처럼 상상의 존재를 만든 적도 있어요. 앞으로는 연구를 거듭하여 포유류 등 새로운 조각도 만들려 해요 ... ...
- 17년 만의 굉음...매미판 베이비부머 브루드 텐과학동아 l2021년 07호
- 개체수가 증가하고, 16종의 개체수가 감소했다. 연구를 이끈 워터 코에닉 미국 코넬대 조류학연구소 연구원은 “매미가 드문 빈도로 갑자기 다량 출현하는 생활 방식은 실제로 포식압(잡아먹혀 개체의 수가 감소하는 것)을 줄인다”라고 설명했다. doi: 10.1890/10-1583.1가장 유력한 가설은 요시무라 진 ... ...
- 사람 발길 닿지 않는 곳을 찾아서과학동아 l2021년 06호
- 큰 숲이 많다고 지적했다. 사냥이나 외부 생물종의 침입, 질병 확산으로 대형 포유류와 조류가 멸종하고 있지만 위성 영상에는 이런 사실이 간과되고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현재 지구상 20~40%의 지역이 온전한 것으로 간주되지만, 실제로는 그보다 훨씬 적은 지역만 인간의 영향이 없을 것이라 ... ...
- [한페이지 뉴스] 척추동물 16종 완전한 표준유전체 공개과학동아 l2021년 06호
- 새로운 유전체 해독 방식을 개발해, 완성도가 98%에 이르는 척추동물 16종(포유류 4종, 조류 3종, 파충류 1종, 양서류 1종, 경골어류 6종, 연골어류 1종)의 표준유전체를 ‘네이처’ 4월 28일자 표지논문으로 공개했다. doi: 10.1038/s41586-021-03451-0 연구팀은 염기서열을 1만 염기쌍 이상 길이로 길게 잘라 읽은 ...
- 야생을 잊은 노란 부리과학동아 l2021년 06호
- 생긴다. 원래 형태를 짐작할 수 없을 정도로 길어진다. 야생에서는 먹이 활동을 하고 조류 스스로 관리하기 때문에 부리와 발톱이 자연스럽게 마모되지만, 사람과 살며 부적절한 먹이를 먹고 갇혀 있으면 마모될 틈이 없다. 길어진 발톱과 부리는 질병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닭장에서 길러진 ... ...
- [기획] 동물도 쓴다! 사투리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6호
- 유전적으로 결정되지만, 일부 포유류(몇몇 고래류, 기각류, 박쥐, 그리고 인간)와 일부 조류(명금류)에서는 발성이 학습으로 결정됩니다. 사투리는 바로 발성 학습이 일어나는 동물에서 발견됩니다. Q새는 왜 사투리를 쓰나요?여러 가설 중 하나는 사투리를 통해 소속감을 확인하기 위해서예요. ... ...
이전7891011121314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