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페이퍼
용지
제지
벽지
통제
지폐
돈
d라이브러리
"
종이
"(으)로 총 2,684건 검색되었습니다.
[커리어] 3화. 우리학교 과학시간엔요, STEM
과학동아
l
2023년 09호
전기가 통하는 전도성 고분자
종이
제작에 성공했습니다. 이를 계기로 2019년엔 전도성
종이
실험의 연구 결과를 대한화학회 학술대회에서 포스터로 발표하기도 했죠. 이 실험은 꾸준히 보완해 2023년부터 1학년 통합과학 과목에 적용하고 있습니다. 1학년 학생들이 3학년이 될 때까지 심화시키는 ... ...
[이달의 책] 인간처럼 생각하는 로봇과 살아야 한다면?
과학동아
l
2023년 09호
실제로 쓰이는 방식을 배우는 귀한 기회이기도 하다. 우주과학에 관심 있는 독자라면
종이
위의 수식이 로켓이나 우주선 등으로 형상화되는 경이를 체험할 수 있을 것이다 ... ...
[과동키즈] 핼리혜성을 쫓다가 인공태양에 이르렀죠
과학동아
l
2023년 08호
없는 고전적 물리계에서 가장 복잡한 시스템이다. 이런 까닭에 이론 연구에서도 펜과
종이
만 사용하는 순수 이론적인 접근은 매우 제한적이다. 컴퓨터, 특히 슈퍼컴퓨터를 사용한 시뮬레이션 연구가 필수다. 박사과정 동안엔 펜티엄 CPU(최대 CPU 클럭속도 60~300MHz)를 탑재한 개인용 컴퓨터를 여러 대 ... ...
[이달의 과학사] 튼튼하고 가볍다! 비닐봉지 탄생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08호
미국을 중심으로 인기를 끌며 빠르게 전 세계에 퍼졌습니다. 잘 찢어지지 않고, 당시
종이
봉투에는 없던 손잡이가 있다는 것이 큰 장점이었지요. 그러나 1990년대부터 플라스틱 쓰레기로 인한 환경 오염 문제가 불거집니다. 비닐봉지 같은 플라스틱 쓰레기는 땅에서 썩는 데 500년 정도 걸리거든요. ... ...
[수학연구] 수학을 하는 이유는?
수학동아
l
2023년 08호
있다고 보기가 힘들어요. 200년 전에 살던 수학자나 현세대 수학자나 가지고 있는 도구는
종이
와 펜으로 완전히 같거든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가 끊임없이 새로운 것을 더 깊게 볼 수 있지요. 이를 스스로 경험하면서 이런 발견을 반복적으로 하다 보면 참 신기하고 계속하고 싶어요. 수학을 ... ...
[가상인터뷰] 가위개미 들 수 있을 만큼만 오린다
과학동아
l
2023년 08호
잎꾼개미)는 커다란 큰 턱으로 나뭇잎을 잘라 턱으로 물고가는 종류의 개미다. 특정
종이
아니라, 나뭇잎을 자르는 두 가지 속, 약 47종에 달하는 개미 전체를 부르는 일반 명칭이다. 최근 독일 뷔르츠부르크대 연구팀은 가위개미가 나뭇잎 두께에 따라 크기를 조절해 자신이 들고 갈 수 있는 만큼만 ... ...
가짜 세상을 만드는 기술
과학동아
l
2023년 08호
전극을 꽂아 가상현실 속으로 들어가는 장면이 나온다. 이때 사용한 기술도 BCI의 일
종이
라 볼 수 있다. SF 영화 속에서나 보던 미래가 성큼 다가온 것이다. 공간 컴퓨팅이 꿈꾸는 가짜 세상의 미래 비전 프로가 공개된 이후로 공간 컴퓨팅이란 키워드가 화제다. 2년 전 유행하던 메타버스를 ... ...
[러셀 탐구생활] 천재는 하나의 신화일 뿐이다
수학동아
l
2023년 07호
그런 천재는 신화 속에나 나오지요. 모든 수학적 업적 이면에는 수백 장의 구겨진
종이
와 고뇌가 있습니다. 그러나 그런 것들은 결과물의 영광에 가려 잊히기 쉽습니다. 개인적인 이야기를 하자면, 많은 분이 저의 학업적 성취에 감탄하며 천재라고 추켜세웁니다. 무슨 수학 문제가 주어지든 제가 ... ...
우리 동물원, 어떻게 고칠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07호
앞으로 검사관이 직접 방문해서 동물원을 평가할 예정입니다. 마 교수는 “수 천
종이
넘는 모든 동물마다 평가기준을 하나하나 명확하게 정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기 때문에 검사관이 필요한 것”이라고 설명했어요. 동물원을 평가한 검사관은 우선순위에 따라 고칠 부분을 안내해 동물원이 더 ... ...
[과학사 극장] 세종대왕이 측우기를 만든 게 아니다?
과학동아
l
2023년 07호
역법 연구에 성과가 있는 사람은 품계나 관직을 높여주는 혜택을 베풀기도 했다. 세
종이
이처럼 국가의 과학 사업을 진흥시키고자 한 이유는 과학이 백성들의 삶을 편안하고 풍족하게 만드는 방법이라 생각했기 때문이다. 농사에서 기후만큼 중요한 것이 바로 시기이다. 때에 맞춰 씨를 뿌리고,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