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혜성"(으)로 총 709건 검색되었습니다.
-
- [과학뉴스] 수고했어, 로제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0호
- 분포 등 혜성에 가까이 갔을 때만 알 수 있는 정보들을 수집할 수 있었지요.로제타는 혜성과 충돌하는 충격으로 인해 전원이 꺼지며 지구와의 교신이 끊겼어요. 유럽우주국의 로제타 총책임자인 패트릭 마르텡은 “로제타의 모든 임무가 끝났다”며 아쉬움을 드러냈답니다 ...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피에로의 정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8호
- 이 질소산화물이 공기 중의 수증기와 반응하면 산성비가 내리지요.➊ 지구에 소행성이나 혜성이 떨어지면 충돌할 때 발생하는 열에 의해 질소산화물이 생긴다. 그 결과 질소산화물과 수증기가 반응해 산성비가 내릴 수 있다. ➋ 화산이 폭발하면 황 화합물과 수증기가 반응해 황산이 섞인 산성비가 ... ...
-
- Part 3 세번째 작전. 소행성 충돌의 결과를 조심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4호
- 핵겨울을 조심해!멕시코 ‘유카탄 반도’에는 지름 130km의 크레이터가 숨어 있어요. 약 6500만 년 전, 지름 10km가 넘는 초거대 소행성이 지구에 충돌한 흔적이지요. 과학자들은 이 충돌의 결과로 공룡을 포함한 약 78%의 생물종이 멸종한 것으로 보고 있어요. 소행성 충돌 당시의 충격파도 문제였지만, ... ...
-
- Part 5 다섯 번째 작전. 충돌하기 전에 소행성을 막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4호
- 부수지 말고 다른 궤도에 양보하세요!지구로 돌진하는 소행성은 우주에서 파괴하는 방법이 가장 좋아 보여요. 하지만 이 방법은 또 다른 위험을 불러와요. 소행성의 파편이 지구 궤도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아무도 알 수 없거든요.그래서 과학자들은 소행성을 그대로 두거나 일부만 망가뜨린 채, 날 ... ...
-
- Intro. 소행성을 막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4호
- 안녕~! 난 ‘아이스 에이지’의 시작이자 끝인 다람쥐 ‘스크랫’이야. 애니메이션 속에서는 전혀 말을 하지 않지만, 오늘은 어과동 친구들을 위해 특별히 진행을 맡았단다. 사실 이번 이야기는 내가 저지른 짓이 원인이거든. 난 그냥 도토리를 찾으러 갔을 뿐인데, 어쩌다 보니 소행성 조각들이 지 ... ...
-
- Part 1 첫 번째 작전. 지구를 지킬 방위대를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4호
- 충돌할 수 있는 천체를 말해요. 지구 가까이 있는 소행성과 주기적으로 태양에 근접하는 혜성이 대표적이지요. 이들은 지구 가까이 접근하며 지구와 충돌할 위험이 높아요. 실제로 1년에 평균 1000개 이상의 지구위협천체가 지구 대기로 들어온답니다.지구위협천체에 대한 본격적인 대비는 197 ... ...
-
- Part 2 두번째 작전. 소행성이 날아온는 이유를 밝혀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4호
- 지구를 향해 소행성대에서 탈출~!약 46억 년 전 태양계가 만들어질 당시, 태양 주변에는 크고 넓은 먼지 원반만 존재했어요. 이 원반에 있던 여러 물질이 서로의 중력에 이끌려 뭉치면서 태양계의 여러 천체를 만들었답니다. 이때 크게 뭉친 것들은 둥그런 행성이 되었지만, 충분한 크기로 뭉치지 못 ... ...
-
- Part 4 네번째 작전. 소행성의 움직임을 감시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4호
- 다양한 망원경이 소행성 뒤를 졸졸~소행성을 막는 가장 좋은 방법은, 소행성을 계속 관측해 지금 어디 있는지 알아내고 크기와 궤도를 계산하는 거예요. 그런데 소행성은 크기가 워낙 작고 이동 속도도 빨라요. 따라서 어두운 천체도 볼 수 있고, 오랜 시간 동안 하늘을 관찰할 수 있는 대형 망원경 ... ...
-
- [과학뉴스] ‘화성의 달’ 속 거대 크레이터는 어떻게 생겨났을까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연구 결과가 최근 나왔다.미국 로렌스 리버모어 국립 연구소 연구팀은 소행성이나 혜성이 포보스와 부딪치면서 스티크니 크레이터가 생기는 과정을 고해상도의 3D 시뮬레이션으로 확인했다. 이전에는 해상도가 낮은 2D 시뮬레이션을 사용했기 때문에 효과적으로 재현하지 못했다.그 결과 연구팀은 ... ...
-
- Part 1. ‘기묘한’ 2차원 세계를 설명한 개척자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이 기묘한 현상을 이해하는 데 도전했고, 로버트 러플린이란 걸출한 젊은 이론가가 혜성처럼 나타나 정수 양자 홀 효과를 이해하는 기본 이론을 제시했다(러플린은 몇 년 뒤인 1983년 분수 양자 홀 효과를 설명하는 기막힌 이론을 제안했고, 이 업적으로 1998년 노벨상을 수상했다).그러나 정수 양자 홀 ... ...
이전7891011121314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