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홀수"(으)로 총 241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자를 사로잡은 악마의 코드, 소수수학동아 l2013년 08호
- 하지만 오일러는 1을 소수로 보지 않았다. 그리고 골드바흐의 추측에서 정수를 홀수와 짝수로 나누면, 짝수의 경우에는 두 소수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기 때문에 그의 추측을 수정한 것이다. 현재 수학자들은 두 번째 명제만을 ‘골드바흐 추측’이라고 부르고, 첫 번째 명제는 ‘약한 골드바흐 ... ...
- 반지의 제왕 수학의 전설을 찾아서!수학동아 l2013년 06호
- 공주가 준 2개의 진주는 수수께끼였다. 2는 최초의 짝수로 여성을 뜻하고, 3은 최초의 홀수로 남성을 뜻한다. 따라서 2와 3을 더한 5는 여자와 남자의 결합을 뜻하는 수다. 왕자는 공주가 준 2개의 진주에 담긴 의미를 정확히 이해하고, 완성의 수 5개를 뜻하는 진주 5개를 줌으로써 공주의 수수께끼를 푼 ... ...
- [매스미디어] 슈퍼맨, 실제로 가능할까? 맨 오브 스틸수학동아 l2013년 06호
- 0100이 되고, 1000은 10001이 된다. 혹시 전송돼 온 신호가 10101이라면, 이 신호는 숫자의 합이 홀수이므로 잘못된 신호임이 확실하다. 하지만 짝비트만으로는 몇 번째 자리에서 생긴 오류인지는 추측할 수 없으므로, 신호를 재송신해야 한다.그러나 이 연구를 더욱 발전시켜 오류를 수정하도록 새로운 ... ...
- 구구단 필요없는 최고의 곱셈 왕은 누구?수학동아 l2013년 05호
- 더한 값이 곱셈 값이 된다. 즉, 25×13=13+104+208=325다. 이 곱셈법에서 왼쪽 열에서 홀수인 수는, 이진법으로 표현했을 때 자릿값이 1인 숫자를 나타낸다.예를 들어 25를 이진법으로 나타내면 11001(2)인데, 25는 20인 1의 자리를, 3은 2³자리를, 1은 2⁴자리를 뜻한다.알콰리즈미의 심사평 ★★☆☆☆정말 ... ...
- [체험] 모자부터 물병까지 뫼비우스 띠의 화려한 변신수학동아 l2013년 02호
- 개수는 2개가 되지만 각각 띠의 길이는 그대로다. 실제로 띠를 n번 꼰 뒤 이등분하면, n이 홀수일 때 띠의 개수는 1개지만 길이는 2배가 된다. 반면 짝수이면 띠의 개수는 2개이고 길이는 그대로다.또한 뫼비우스 띠의 가장자리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어붙이면, 보자기를 대각선으로 집어서 묶은 ... ...
- [매스미디어] 수학으로 인간과 친해지길 바라~! 허당 몬스터들의 천국 몬스터 호텔수학동아 l2013년 01호
- 방 번호가 짝수인 방에 머물게 됩니다.그럼 방 번호가 홀수인 방이 모두 빈 방이 되겠죠? 홀수는 무한 집합이므로, 무한히 많은 손님이 찾아와도 무한히 많은 빈 방이 준비 돼 있는 셈이죠. ” 유한 집합과 무한 집합수학에서는 주어진 조건에 대해 대상이 분명한 모임을 ‘집합’이라고 부른다. 각각 ... ...
- 수학으로 쓴 아름다운 글씨수학동아 l2012년 10호
- 폭에 따라 일의 자리 숫자를 바꿔 글씨체마다 숫자를 매긴다. 또 글씨체에 매겨진 숫자가 홀수일 경우, 짝수를 그 글씨체의 이탤릭으로 나타낸다. 55인 글씨체의 이탤릭을 56으로 쓰는 식이다. 유니버스 글씨체는 40년이 지난 1997년, 더욱 세분화된 패밀리로 등장했다. 기존에 글자의 굵기와 폭으로 ... ...
- 수학탐정 M 마술열차 살인 사건수학동아 l2012년 10호
- 이후부터는 마술사가 마음대로 용의자의 위치를 정할 수 있다. 즉 자기가 말한 숫자가 홀수인지, 짝수인지에 따라 용의자가 어느 곳에 있는지 파악하고 한 곳 또는 두 곳씩 방을 폐쇄하면 된다. 주의할 점은 마지막에 남은 방이 연달아 있는 세 칸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때 ○, ×, ○방이 ... ...
- 이탈리아에서 환영받지 못하는 마당발 수, 17수학동아 l2012년 10호
- 2 이상이 된다. 따라서 차가 2인 두 소수, 즉 쌍둥이 소수는 다른 말로 하면 ‘연속한 두 홀수가 모두 소수’인 경우를 말한다.그렇다면 쌍둥이 소수는 소수처럼 무한히 많을까? 수학자들은 소수처럼 쌍둥이 소수도 무한히 많을 것이라고 예상한다. 하지만 이에 대한 증명은 아직 없다. 다만 쌍둥이 ... ...
- 가슴 뜨거웠던 7일간의 기록, 국제수학교육대회수학동아 l2012년 08호
- 10년 동안 수학교육 연구 분야에서 뛰어난 업적을 세운 연구자에게 수여하는 상이다. 홀수 해에 수상자를 발표한 뒤 그 다음 열리는 국제수학교육대회 개막식에서 메달을 증정한다.이번 대회에서는 2009년, 2011년 수상자로 선정된 사람들에게 메달이 주어졌다.“오늘은 제 생일입니다. 생일날 이런 ... ...
이전7891011121314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