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복사
카피
사본
재생
재현
복원
재생산
어린이과학동아
"
복제
"(으)로 총 113건 검색되었습니다.
거대 동물 멸종 미스터리(2)
어린이과학동아
l
20080313
DNA를
복제
해 되살리는 연구를 하고 있어요. 이미 체세포
복제
를 통해
복제
양 돌리가 태어난 것처럼 매머드의 온전한 DNA만 있으면
복제
가 가능하다는 것이죠. 아직은 미래의 일이지만 과학자들은 10~20년 후면 매머드를 탄생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어요. 영화 속에서처럼 살아있는 매머드를 직접 본다 ...
고래 조상은 너구리만 한 포유류?
어린이과학동아
l
20080114
거랍니다. 그런데 주로 동물
복제
는 체세포
복제
를 이용하지 않나요? 특별히 줄기세포
복제
로 태어난 이유가 궁금하군요. 체세포
복제
는 수정란이 일찍 죽거나 기형이 생기는 등 문제가 많아 생산 효율이 1~5%로 낮아요. 하지만 줄기세포를 이용하면 20%까지 효율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어요. 내 생일이 ...
내몸으로 열려라 참깨! 바이오인식(1)
어린이과학동아
l
20080111
거야. 이 정맥의 모양이 사람마다 다르단다. 손등뿐만 아니라 손목이나 손가락의 정맥도 모두 모양이 다르대. 피부 속의 혈관이라
복제
가 거의 불가능하지. {BIMG_l10}망막 망막은 눈의 가장 안쪽에 위치한 얇고 투명한 막으로, 빛의 자극을 받아들이는 시신경이 있는 곳이야. 이 곳엔 모세혈관이 다양한 모양으로 자리 잡고 있는데, 그 모양이 사람 ...
사람 소리 구별하는 똑똑한 모래쥐
어린이과학동아
l
20071229
2. 번쩍번쩍 형광 고양이[소제끝] 지난해 12월 13일, 경상대학교 동물
복제
연구팀과 순천대학교 발생학연구팀은 적색 형광빛이 나는
복제
고양이를 세계 최초로 생산했다고 발표했어요. 어둠 속에서 눈만 빛나는 보통 고양이와 달리, 몸 전체가 형광으로 빛나는 고양이가 태어난 거예요. 연구팀은 먼저 흰색 터키쉬 앙골라 고양이의 피부세포에서 ...
착한 줄기세포 만들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070629
복제
동물의 시대가 열린다. 그러나 돌리는 여섯 살을 넘은 2003년 2월 폐질환으로 죽었다. 이는 양의 평균 수명의 절반에 불과해
복제
동물에 *조로 현상이 나타난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조로 : 정상 동물보다 빨리 늙는 것. 1857년 7월 11일 지능을 최초로 수치화한 알프레드 비네 출생 {BIMG_R10}프랑스의 심리학자. 1 ...
생명공학의 발전, 우리에게 불행인가?
어린이과학동아
l
20070629
의도를 가진 사람에 의해서 그 기술이 악용될 수도 있다. 인간이 존엄한 이유는 생명이 하나밖에 없는 소중한 것이기 때문인데, 자칫
복제
기술로 인해 생명이 하찮게 여겨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강력한 법이 존재해서 이를 방지해야 할 것이며, 과학자들도 성과를 내기 위해서 생명을 아무렇지 않게 이용하려는 태도를 버리고 양심적인 태도로 연구해야 ...
뇌에서 잠 스위치 발견
어린이과학동아
l
20070412
스널프와 스널피는 2005년 10월에 태어났는데 현재 몸무게가 20kg 정도로 잘 자라고 있대요. 두 늑대를
복제
한 방법은 일반적으로
복제
동물을 만드는 방법과 같아요. 연구팀은 먼저 서울대공원에서 기르던 회색늑대의 귀에서 세포를 뽑아 냈어요. 이 세포를 세포핵이 제거된 개의 난자에 넣어 수정란을 만들었어요. 수정란 안에는 늑대의 ...
50년 후 로봇도 세금낸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70111
대형마트의 진열대에 등장할 가능성이 열린 셈이다. 그러나
복제
동물을 태어나게 하는 과정이 복잡하고 비용도 많이 들어 실제로
복제
동물이 식품으로 등장할 가능성은 현재로선 매우 낮다. 8. 봄 같은 겨울이 왔어요 겨울이 이상하다. 지구촌 곳곳이 지구온난화로 몸살이다. 뉴욕은 1877년 이후 처음으로 눈 없는 12월을 보냈다. 지난 4년 ...
한반도의 멸종위기 동물들-우릴 아프게 하지 마세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061128
단, 동물
복제
에는 쓰지 않는다고 해. 동물
복제
로 멸종위기 동물을 되살리기에는 아직 기술이 더 발전해야 해. 환경 단체들은
복제
에 드는 비용을 서식지 보호에 쓰는 게 더 효과적이라고 이야기하고 있단다. 유전자를 보관할 뿐만 아니라 살아 숨쉬는 동물들도 지구에 가득하면 더 좋을 것 같아. {BIMG_R10}남생이가 돌 ...
토끼를 세자! 토끼
어린이과학동아
l
20060414
정돈된 구조를 가진 생명체들이 결국 살아남았고 생명체는 그 방향으로 진화했다. 생명의 성장은 바로 세포가 나누어지고 여러 개로
복제
되는 과정이기 때문이다. 우리 몸의 모든 유전정보를 지닌 염색체 역시 좌우대칭의 구조를 선택했다. 그렇다면 사람의 몸은 어떨까? 일찍이 레오나르도 다 빈치는 인체의 비율을 연구했다. 그의 스케치 속 인체는 좌우대칭을 ...
이전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