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채취"(으)로 총 148건 검색되었습니다.
- 귀화식물 현장교육이 국립수목원에서 열렸습니다~!^^탐사기록 l20160604
- 주위를 둘러보면 쉽게 만날 수 있는 귀화식물들! 하나라도 놓칠새라 지사탐 대원들이 수목원 곳곳을 탐사했답니다. 유해 귀화식물은 채취해서 표본으로 만들었어요.^^ 훌륭한 교육 준비하고 진행해주시는 국립수목원 박사님, 교육 강사님들. 정말 감사합니다! 팀별로 에코백에 탐사물품을 담아주시고, 물병까지 챙겨주신 성의에 감동했습니다.ㅠㅠ 지사탐 대원들, ...
- 제3차 화석 탐사: 태백산 직운산층에서 만난 삼엽충과 완족류 5억년 전 태백의 기억을 더듬다기사 l20160421
- 움츠릴 수도 있다. 꼬리는 반원형이다. 몸통의 마디 간격이 꽤 넓은 걸로 봐서 몸을 쭉 뻗은 상태처럼 보이기도 하다. 누군가 채취하려고 망치질을 한 느낌이 든다. 너무 부자연스럽게 사방이 잘려나갔다. 뭔가 한쪽 방향으로 살짝 짓눌린 느낌이다. 몸통의 마디가 꽤 선명하다. 두 마리가 나란히 찍혀있다. 돌레로바실리쿠스Dolerob ...
- [연속기획] 나의 조선왕릉 답사기, 제6회 파주 삼릉을 다녀오다 순릉: 인수 왕대비의 "옥 같은 마음의 며느리 " 공혜왕후 이야기기사 l20160420
- 한 번은 왕릉의 석물 제작에 쓰인 돌의 원산지를 물어본 적이 있는데 산릉도감을 일일이 대조해주시면서 강화도와 양주 인근에서 채취한 것이라는 힌트를 주었다. 관람객이 무심코 차 버린 참도의 박석을 다시 끼워 넣었다. 일부러 그러지 않았을 것이다. 어도가 없어 어색한 참도의 모습. 홍살문과 정자각 사이에 있는 넓은 잔디밭에는 항상 멋진 소 ...
- 제2차 화석 발굴 여행: 포항 신생대 마이오세 퇴적층 다양한 화석의 보고기사 l20160419
- 꽤 완벽한 보존 상태의 작은 어류 화석. 이걸 실제로 이암 군락지에서 발견해보니 신기했다. 뭔가 복잡한 학명이 있을 텐데 내가 직접 채취한 것이라 더욱 알고 싶다. 요 녀석은 버드나무 잎 화석(Salix sp.)인데 잎맥만큼은 꽤 선명하다. 선명한 조개 화석의 조각. 이렇게 기쁨을 만끽하며 정리하던 중, 별안간 우리 앞에 나타난 동글동글하 ...
- 길동생태공원에서 채취한 진달래, 벚꽃, 단풍잎 ,쑥으로 화전을 만들었어요.포스팅 l20160413
- 길동생태공원에서 채취한 진달래, 벚꽃, 단풍잎 ,쑥으로 화전을 만들었어요. ...
- 선거일을 맞이해서 멀리 태백산 적운산층에서 화석 채취했습니다~~^^ 너무 귀한 삼엽충과 완탐사기록 l20160413
- 선거일을 맞이해서 멀리 태백산 적운산층에서 화석 채취했습니다~~^^ 너무 귀한 삼엽충과 완족류를 찾게 되어 기쁘네요. 아빠와 7시간에 걸친 사투 끝에 찾은 것이라 몇배나 더 소중하게 느껴집니다~^^ 자세한 것은 기사로 소개할게요. ...
- 강화도에 가다!기사 l20160411
- 강화역사박물관에서 고인돌에 대해 자세하게 배울 수 있었습니다. 청동기 시대 무덤인 고인돌을 만드는 순서는 이렇습니다. 1. 돌 채취하기 2. 돌 운반하기 3. 받침돌 새우기 4. 받침돌 위에 경사지게 흙덮기 5. 덮개돌을 받침돌 위에 올리기 6. 흙을 치우고 막음돌로 막기의 순서 입니다.또 강화도에 있는 강화평화전망대도 갔습니다. 강화 평화 ...
- 슈퍼푸드 크랜베리~! 건강에 좋은 크랜베리의 효능기사 l20160327
- 보자. 같은점) 두 과일 모두 안토시아닌 성분이 풍부해 시력개선, 피부미용에 좋다. 다른점) 블루베리 : 보라색, 재배종과 야생에서 채취하는 게 있다.포도에 비해 안토시아닌 성분이 30배 정도 높다. 크랜베리: 붉은색, 재배종과 야생 구분이 없다. 이렇게 크랜베리의 효능, 블루베리와 크랜베리의 차이점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이상으로 학생기자 ...
- 부산 복천박물관 가야시대 투구 만들기기사 l20160326
- 수업을 했다. 투구는 지금 우리들이 사용하는 헬멧이다. 머리를 보호하기 위해 쓰는 것이다. 투구를 만드는 방법은 (1) 철광석 채취 (2) 쇳물 뽑아내기 (3) 두드려 철판 만들기 (4) 철판 자르기 (5) 철판 연결하기 이다.복천박물관 수업에서 나는 종이와 할핀 가죽끈 등을 이용해서 만들었기에 투구 만들기가 어렵지 않았다. 옛날 가야사람들은 ...
- 짚신벌레 paramecium: 단세포계의 분열왕 무성생식과 유성생식, 뭐든 자신있어~기사 l20160326
- 기대된다. 다음 기사에서는 짚신벌레들의 두 가지 번식 장면을 모두 포착해낼 수 있기를 기대한다. 또한 시냇가에서 규조류를 채취하는 방법과 야외에서 곧바로 현미경을 이용해 관찰하는 과정을 정리할 예정이다. 윤관우 ... ...
이전7891011121314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