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강박"(으)로 총 130건 검색되었습니다.
- 3개월 넘게 실천 가능한 새해계획 수립 방법 5가지2017.01.07
- 사람도 있습니다. ● 자기 개발에 대한 강박 현대인의 자기 계발에 대한 집착과 강박은 심각한 수준입니다. 더 건강해지고, 더 예뻐져야 하고, 더 돈을 많이 벌고, 심지어는 더 좋은 일을 많이 해야 한다는 집단적인 불안이죠. 심리학자 티모시 피칠(Timothy Pychyl)은, 새해 결심은 ‘문화적 초조감’의 ... ...
- [정신과 전문의의 신경인류학 에세이] 2016년 당신은 ‘행복’했습니까?2016.12.31
- 못하지만 말입니다. 2016년, 모두 수고 많으셨습니다. ※ 참고문헌 행복의 역습: 행복강박증 사회가 어떻게 개인을 병들게 하는가(2014), 로널드 W. 드워킨 지음/ 박한선, 이수인 옮김, 아로파(서울) ※ 필자소개 박한선. 성안드레아 병원 정신과 전문의/ 신경인류학자. 경희대 의대 및 대학원을 ... ...
- 권력과 사교집단, 그 뒤에 숨은 인간의 심리2016.10.27
- 아버지로부터 벗어나지 못하는 불안이 인간에게 강박적인 신경증을 유발하며, 이러한 강박적 신경증이 모든 종교의 기초가 된다는 것입니다. 이후 그의 제자인 빌헬름 라이히(Wilhelm Reich)는 이러한 주장을 더 발전시켜서, 가학-피학성(Sado-masochism)을 통해 나치 독일의 유사 종교적 특징에 대해 분석한 ... ...
- “30kg 살 빼니 상쾌해요” 2016.09.23
- 반면 굳이 살을 빼야만 행복한 것은 아니라고 강조하는 네티즌도 일부 있다. 날씬한 몸을 강박적으로 추구하는 것이 오히려 불행의 원천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사진 속 여성을 무조건 따라하지 말라는 뜻이 될 것이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 ...
- [강원도 양양 여행] 매호, 하조대에서 관심과 무관심 사이에 서다2016.06.16
- 아닌지 불안했다. 지인들과의 소통마저 끊겨 소외되는 것은 아닌지 걱정됐다. 일종의 강박이었다. 시간이 지나자 좀 뒤쳐져 살고 모르고 살아도 괜찮았다. 안부가 궁금할 땐 직접 연락을 하면 될 일이었다. 정작 제대로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은 남의 일상이 아닌 나의 일상이다. 남에게 보이는 일상이 ... ...
- 6월 첫째 주 개봉작 추천, ‘아가씨’ ‘미 비포 유’ ‘더 보이’ ‘무서운 이야기 3: 화성에서 온 소녀’2016.06.02
- , , 등 필모그래피를 쌓으며 박찬욱 감독이 선보여 온 다소 강박적이기까지 한 연출 스타일은 이번 영화에서도 변함이 없어 호불호가 갈릴 수 있다. 그래도 매혹적인 영상미와 뛰어난 미장센으로 가득한 그의 영화가 궁금한 관객은 극장에서 직접 확인할 것! 미 비포 유 - ... ...
- 마음에 두던 그 사람에게 고백을 받았어요. 하지만 도무지 자신이 없어요(여성 편)2016.05.08
- 수 없는 야한 생각(도파민), 하루 종일 눈 앞에 그 남자만 아롱삼삼 떠오르는 사랑의 강박(세로토닌), 옆에 있으면 느껴지는 편안하고 따뜻한 기분(옥시토신) 등 다양한 감정들이 영화 ‘인사이드 아웃’의 주인공처럼, 서로 경쟁하며 우리의 뇌 안에서 춤을 춥니다. 현재까지 진화심리학적 혹은 ... ...
- [마음을 치는 시 11] “멍게는 다 자라면 스스로 자신의 뇌를 소화시켜 버린다”2016.04.16
- 곧바로 따라 나옵니다. “어물전에선 / 머리 따윈 필요 없어”라며 그저 육체노동만 강박하는 어시장 사람들의 태도에 대한 역설인 것이겠죠. 그중 하나인 “중도매인 박 씨는” 그곳 생활을 더 정확하고 깊이 있게 관찰하려는 시인의 의지를 타박(“내 안경을 가리키고”)합니다. 하지만 그럴 수 ... ...
- 완벽주의자일수록 일을 뒤로 미룬다?!2016.04.05
- 된다는 ‘발전’의 개념을 넘어 한 치의 흠도 없이 일을 ‘완벽’하게 처리하고자 하는 강박을 말한다. 이런 완벽주의를 강하게 보이는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같은 수준의 수행을 보이고 있어도 아직 많이 부족하다며 쉽게 좌절한다. 또한 자기비하에 쉽게 빠지곤 한다. 충분히 잘 ... ...
- [꿀잠 잡시다!]온몸 근육 흐물흐물해지는 느낌으로 긴장 풀어라 外동아일보 l2016.04.04
- 불면증은 카페인 의존 등 다른 생리적 원인에 따른 불면증보다 ‘잠을 자야 한다’는 강박이 미치는 영향이 더 크다. 달리 말하면 ‘언젠간 잠이 오겠지’라며 편하게 마음을 먹는 게 더 도움이 된다는 얘기다. 불면증을 극복하려고 시계를 멀리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수시로 시간을 확인하며 ... ...
이전789101112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