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고려대학교
고대
고려대학
뉴스
"
고려대
"(으)로 총 1,596건 검색되었습니다.
[과기원NOW] KAIST, 탄소나노튜브 고정밀 가공 기술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11.08
앞표지. Advanced Functional Materials 제공 ■ KAIST는 박인규·김산하 기계공학과 교수가 안준성
고려대
세종캠퍼스 교수, 정준호 한국기계연구원 책임연구원과 공동연구를 통해 탄소나노튜브의 표면을 균일하게 코팅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패터닐 나노패터닝 기술을 개발했다고 8일 밝혔다. 연구결과는 ... ...
방충망처럼 생겼지만…실내 온도 낮추는 복사냉각 필름
동아사이언스
l
2024.11.06
포스텍은 노준석 기계공학과·화학공학과·전자전기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이헌
고려대
신소재공학과 교수 연구팀과 공동 연구를 통해 구멍이 뚫린 구조체로 태양열을 조절하는 투명한 복사냉각 필름을 개발했다고 6일 밝혔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펑셔널 머티리얼즈’에 최근 ... ...
의대 본과 4학년도 대부분 휴학 전망…내년부터 의사 공급 차질
동아사이언스
l
2024.11.03
의사 공급에 차질이 생길 것으로 우려된다. 3일 교육계에 따르면 서울대와 연세대,
고려대
등 국내 주요 대학들이 의대생 휴학을 승인했다. 교육부가 의대생 휴학 승인을 각 대학 자율에 맡기며 특별한 사유가 없으면 나머지 대학들도 의대생들이 제출한 휴학계를 모두 승인하거나 승인할 것으로 ... ...
코앞으로 다가온 美 대선…트럼프 지지 뇌는 따로 있다?
과학동아
l
2024.11.02
늘렸는데 효과 크기가 줄어들면 좋지 않은 신호입니다." 함께 연구 결과를 살펴본 김학진
고려대
심리학부 교수는 '효과 크기 감소' 현상을 지적했습니다. 페탈라스 연구팀은 총 928명의 뇌를 분석했는데 이는 카나이 연구팀 실험군(90명)의 10배가 넘습니다. 보통 검증 연구에서는 연구 규모를 늘리면 ... ...
극저온에서 뭉치는 물 분자 움직임 최초 규명…냉동·에너지 분야 활용 기대
동아사이언스
l
2024.10.29
물 분자들이 180~250K 온도 사이에서 응집해 고밀도 클러스터를 형성하는 것이 확인됐다.
고려대
제공 연구팀은 먼저 영하 196℃에 달하는 77K(캘빈, 절대온도 단위로 0K은 -273.15℃)에서 급속 냉각된 얇은 얼음층을 만들었다. 이후 비파괴 형식으로 분자 움직임을 확인하는 나노칩 기반 플라즈모닉 센서를 ... ...
남성이 여성보다 자폐 유병률 많은 유전 원인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0.27
따른 자폐 치료전략 수립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연구재단은 안준용
고려대
교수와 도나 월링 미국 위스콘신 메디슨대 교수 등이 참여한 국제공동연구팀이 동아시아 최대 규모의 자폐 가족 코호트(동일집단) 전장 유전체 데이터를 분석해 성별에 따른 유전적 차이를 규명하고 성별 ... ...
[사이언스게시판] ETRI, 모바일 협동로봇 티치펜던트 ‘IDEA 디자인 어워드’ 수상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10.25
수 있는 사용자 친화적이고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로 호평받았다. 이 소프트웨어 개발에는
고려대
유승헌 교수팀과 로봇 전문기업 뉴로메카가 공동으로 참여했다. ■ 국가과학기술연구회(NST)는 '에너지 자립 로봇용 자가구동 스마트 섬유 기술 개발 융합클러스터'와 '실시간 진단 및 화학반응 설계 ... ...
메조다공성 활용, 신개념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10.25
전자 수송층으로 활용한 고효율 및 고안정성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모식도.
고려대
제공 이황화몰리브덴은 기존 이산화티타늄보다 비교적 저온인 100℃에서 공정이 가능하다. 페로브스카이트 구조와 격자 구조에서 유사성이 있어 페로브스카이트 결정 성장과 전지 안정성을 향상한다. ... ...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효율 26.25%…국내 신기록
동아사이언스
l
2024.10.21
결함과 소재 내부 인장력이 집중된 상부 50nm 두께의 페로브스카이트 층을 제거하는 과정.
고려대
제공 연구팀은 혼합물 비율을 정밀하게 조절해 페로브스카이트 박막 상부 결함층 50nm(나노미터, 1nm는 10억분의 1m)를 제거하는 데 성공했다. 결함을 제거하면서도 표면 형태와 광학적 특성은 손상되지 ... ...
[현실이 된 영화 속 과학] ④인간 장기 대체품 만든다…'아일랜드(2005)'
동아사이언스
l
2024.10.18
국내 연구진의 기술력도 학계에서 주목받고 있다. 선웅
고려대
의대 교수와 조일주
고려대
의대 교수 연구팀은 2022년 중추신경계 일부 중 척수를 모방한 장기 유사체를 세계 최초로 개발하고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네이처 생명의학공학'에 발표했다. 척수 모방 오가노이드는 뇌와 척수로 발달하는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