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silicon
실리콘
뉴스
"
규소
"(으)로 총 117건 검색되었습니다.
100년째 혁명 진행 중인 초전도 기술
2015.04.05
저자의 연구 주제는 원래 초전도가 아니었다. 박사학위 과정에서 반도체 소재인 탄화
규소
를 연구하던 중 ‘전기가 잘 흐르지 않는 돌덩이에서 초전도 현상이 발견됐다’는 소식에 충격을 받아 1년간 진행하던 연구를 포기하고 초전도의 세계에 발을 내딛으면서 초전도와의 인연이 시작됐다. ... ...
원하는 빛만 흡수하는 광소자 개발
2015.03.22
색의 빛을 흡수한다. - 고려대 제공 연구팀은 실리콘 나노선에 낮은 압력에서 사염화
규소
(SiH4) 가스를 주입하면 표면에너지가 감소하면서 나노선의 축 방향으로 주기적인 껍질 구조가 형성되는 현상을 처음 발견해 ‘플라토-레일리 결정성장’이라고 이름 붙였다. 나노선은 두께에 따라 다른 ... ...
토성 위성에서 온천 발견, 대서양 심해서 발견된 ‘잃어버린 도시’와 비슷?
동아닷컴
l
2015.03.13
슈투트가르트대의 프랑크 포스트베르크 교수 등에 따르면, E 고리에서 발견되는 이산화
규소
나노입자의 크기로 볼 때 섭씨 90도 이상에서 염기성 물이 암석과 만났다가 갑자기 온도가 내려가는 조건에서 생긴 것으로 추정했다. 또 물의 수소이온농도(pH)가 8.5∼10.5로 지구의 바닷물보다 염기성을 더 ... ...
[출동! 명예기자] 민자연사연구소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3.03
광물은 ‘바위 수정(Rock Crystal)’이라는 별명을 가진 커다란 석영이었어요. 석영은 이산화
규소
(SiO2)로 이루어진 광물이에요. 일반적으로 무색 투명한 육각 기둥 모양의 결정을 만들지요. 하지만 불순물이 섞여 보라색이나 분홍색 같은 예쁜 색을 내기도 한답니다. 바위 수정은 이 석영이 특이할 ... ...
태양전지에 투명물질 코팅했더니 효율 2배 ↑
2015.02.02
것”이라고 설명했다. 나노선 태양전지 위에 질화
규소
층을 코팅한 모습(왼쪽). 질화
규소
층을 입힌 나노선 태양전지는 광전류가 80% 정도 증가했다(오른쪽). - 미래창조과학부 제공 그 결과 나노선 안으로 들어오는 빛의 양이 증가해 태양전지의 광 흡수율도 2배가량 증가했다. 나노선 태양전지 ... ...
‘슈퍼지구’ 내부는 이렇게 생겼구나
2015.01.23
23일자에 발표했다. 스티쇼바이트는 지구의 지각을 이루는 주성분인 이산화
규소
(SiO2)의 구조가 변해서 만들어진 물질이다. 지상에서 스티쇼바이트가 만들어지는 경우는 운석이 땅에 충돌하면서 순간적으로 엄청난 고온고압 상태가 될 때뿐이다. 연구진이 스티쇼바이트에 500만 기압을 가한 뒤 ... ...
불량 실리콘 웨이퍼가 나노분말로 환골탈태(換骨奪胎)
2014.12.17
제조해 왔다. 하지만 이런 방법은 화학 폐수가 발생하거나 실란(silane·수소화
규소
를 통칭하는 말), 염화붕소 등 유해한 가스를 사용해 환경 오염의 문제가 있었다. 하지만 플라스마를 이용해 나노분말을 제작하면 이런 문제가 나타나지 않는다. 연구팀은 이 기술을 국내 기업인 ... ...
“여기는 남극 장보고기지, 우주의 흔적을 찾고 있습니다”
2014.12.05
걸러진 알갱이를 주사전자현미경(SEM)로 선별하고 전자현미분석기(EMPA)으로 분석해
규소
, 알루미늄 등 지구에서 유래한 물질은 제거하고 우주먼지만 걸러냈다. 이 연구원은 “장보고기지 서쪽 300km 지점은 어느 누구의 발길도 닿지 않은 곳”이라며 “여기서 남극 눈 500kg을 담아 연구소로 가져올 ... ...
더 튼튼하고 더 친환경적인 시멘트 나왔다
2014.09.29
통해 최적의 비가 1.5대 1이라는 사실을 확인했다. 이 조건에서 모든 칼슘과
규소
염이 맞대응한다는 것이다. 연구진은 칼슘을 적게 쓰면서 석회석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배출되는 탄소의 양을 60% 정도 줄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 분자 수준에서 최적의 구조를 설계한 덕분에 이렇게 만든 시멘트는 ... ...
톰슨로이터, 노벨과학상 수상후보 한국 과학자 첫 지목
2014.09.26
메조다공성물질의 구멍 크기를 키우고 다양화해 활용도를 높인 것이다. 실리카(이산화
규소
)로만 만들던 메조다공성물질을 2007년에 탄소로 만들고, 2011년에는 ‘제올라이트’라는 광물로 만드는 데도 성공했다. 이 연구성과는 과학저널 ‘사이언스’가 선정한 2011년 ‘올해의 10대 성과’에 ... ...
이전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