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바로
뉴스
"
꼭
"(으)로 총 2,132건 검색되었습니다.
돼지 신장 사람 이식 성공…이종이식 임상 가능성 '솔솔'
동아사이언스
l
2024.03.24
미국에서 돼지 신장을 살아 있는 사람한테 이식한 세계 최초의 사례가 나왔다. 의료진이 이식 수술에 쓰인 돼지 신장을 꺼내고 있다. 매사 ... 회장은 네이처와의 인터뷰에서 "임상 시험을 통해 이종 이식의 안전성과 효능에 대해
꼭
필요한 엄격한 데이터가 생성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국제수학올림피아드에 도전한 AI 실력은 금메달리스트
과학동아
l
2024.03.23
DD와 AR을 사용해 주어진 환경 속에서 증명을 도출 할 방법을 찾는다. 하지만 이 증명에
꼭
필요한 것은 D라는 보조점이다. 보조점이 없으면 증명할 수 없기 때문에, 심볼릭 추론엔진은 해당 상황에서 증명을 도출 할 수 없다는 결론을 내린다. 이때 언어모델은 'BC의 중점 D를 보조점으로 추가한다'는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필요악' 스트레스 활용법도 중요하다
2024.03.16
존중하게 되는 데에는 스트레스 경험이 필수적일지도 모른다. 이런 점에서 스트레스가
꼭
나쁜 것은 아니지만 문제는 작은 스트레스도 무조건 나쁜 것으로 치부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는 것이다. 특히 아이들이 조금이라도 어려워 하는 등 스트레스를 받는 것 같으면 아이가 도전해보기도 전에 ... ...
[정치에 도전한 과학자들] ①탈북 공학도 박충권 "연구자 평가 다각화해야"
과학동아
l
2024.03.11
대학원 학생을 받을 때 다른 교수님들이라면 받지 않을 학생들을 1, 2년에 한 명 정도는
꼭
받으셨습니다. 동남아시아, 중앙아시아 출신 학생을 비롯해 신장위구르 지역 학생도 있었죠. 이런 학생들이 한국에서 취직하거나 자신의 국가로 돌아가 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해주셨습니다. 이와 같은 ... ...
밤하늘 숨은 그림 찾기 '별자리'는 점선 잇기 놀이
2024.03.09
어떤 역할을 하는지 호기심으로 발견해 낸 그 관점 말이죠. 그러고 보니 관점을 바꾸면
꼭
밝은 별을 점선으로 이을 필요도 없겠습니다. 실제로 호주 원주민들은 밤하늘에서 밝은 별보다는 오히려 어두운 부분을 찾아내서 '하늘의 에뮤'라고 불렀습니다. 하늘의 에뮤. Barnaby Norris 제공 ... ...
'인공지능 판사'에게
꼭
필요한 능력
과학동아
l
2024.02.24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챗GPT가 몰고 온 생성 인공지능(AI) 충격파의 위력은 검색 제국 ‘구글’이 휘청할 정도로 엄청나다. 생성 AI의 대표선수로 자리잡은 챗GPT는 기존의 AI ... 법률정보 시스템과 법률 챗봇을 개발했다. ※관련기사 과학동아 2월호, [칼럼] AI 판사에게
꼭
필요한 능력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1000만원대 전기차, 어떻게 가능할까
2024.02.21
40인 칼슘에 비해 에너지 밀도가 높을 것이므로 배터리 소재로 더 나을 것 같지만
꼭
그렇지도 않다. 에너지 밀도에 영향을 주는 또 다른 요인인 환원전위 값은 칼슘이 더 낮기 때문이다(수소의 환원전위를 기준으로 한 음의 값이므로 낮을수록 효율적이다). 따라서 마그네슘보다 칼슘 연구가 좀 더 ... ...
장동선 "시련의 시기, 과학커뮤니케이터 역할 필요…비판적 사고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24.02.21
나의 아이덴티티로 자리 잡게 된 것 같다”고 말했다. 과학 커뮤니케이터가 되려면
꼭
대학에 소속된 상태여야 하는 건 아니라고도 설명했다. 장 교수는 “교수가 아니더라도 유튜브와 방송 등을 통해 과학 커뮤니케이션을 본업으로 삼는 새로운 세대가 급부상하고 있다”며 박사 학위를 받거나 ... ...
힉스 발견 LHC 3배 규모 차세대가속기 개발 나선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2.19
암흑물질을 검출하는 실험도 예정됐다. 차세대입자가속기는 현대 물리학의 진전에
꼭
필요하지만 생성이 까다로운 물질을 만들어내는 역할을 한다. 힉스 입자는 입자물리학에서 물질을 이루는 기본입자인 쿼크와 렙톤이 어떻게 상호작용하고 행동하는지 설명하는 표준모형의 근거다. ... ...
세상에서 가장 작은 도서관, DNA
어린이과학동아
l
2024.02.10
교수). "DNA는 정보를 저장하고 다시 불러오는 읽기쓰기 속도가 매우 느립니다. 그래서
꼭
보관해야 하지만 자주 확인할 필요 없는 자료를 보관하는 데 적합해요. 매번 수정해야 하는 정보는 계속 기존 저장 장치가 담당할 거예요. DNA 저장 장치는 미래에 기존 저장 장치와 함께 상호보완적으로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