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결점
결함
약점
흠
부족점
잘못
허물
뉴스
"
단점
"(으)로 총 1,461건 검색되었습니다.
차세대 강유전체 메모리, 정보 저장 능력 극대화
동아사이언스
l
2024.06.10
동일 면적에 많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지만 작동 전압이 높고 속도가 느리다는 게
단점
이다. 강유전체는 외부 전기장이 없어도 전하가 한쪽으로 치우쳐 극성을 띠는 분극 상태를 스스로 유지하는 물질이다. 외부 전기장으로 분극 방향을 바꿀 수 있다. 최근에는 하프늄(Hf)을 주성분으로 하는 ... ...
영하 80도 버티는 섬유형 태양전지 제작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6.10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반면 금속나노입자를 균일하고 질서정연하게 코팅할 수 없다는
단점
이 있다. 연구팀은 ‘M13 박테리오파지’를 금속나노입자에 합성했다. 유전물질(DNA)을 가지고 있는 생체재료인 M13 박테리오파지는 금속 양이온과 쉽게 결합해 모든 금속 양이온을 일정하게 배열할 수 있어 ... ...
한 방울의 혈액으로 전립선암 재발 예측
동아사이언스
l
2024.06.03
혈중암세포 기반 PSMA 검사를 결합하면 PSMA PET-CT에서 발생하는 위양성(False positive)
단점
을 극복하고 전립선암의 진단 치료 정확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고 덧붙였다. 위양성이란 본래 음성이어야 할 검사결과가 잘못되어 양성으로 나온 경우를 말한다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6300km 떨어진 곳에서 담낭 제거 수술 성공
2024.06.02
출혈과 통증을 줄이고 외과의사의 손 떨림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로봇수술의 가장
단점
은 로봇이 실수하여 혈관을 건드리는 경우 출혈이 발생했을 때 대처가 늦다는 점이다. 로봇은 의사가 컴퓨터를 이용하여 설정해 놓은 대로 움직일 뿐이므로 예상치 못한 상태에서 혈관에 생긴 손상에 의해 ... ...
자율주행차 돌발사고 줄일까…과학자들 '하이브리드 시각 시스템' 내놨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5.30
줄여 장애물을 더 빨리 감지할 수 있지만 오히려 느린 물체를 파악하지 못하는 등의
단점
이 있다. 연구팀은 컬러 카메라와 이벤트 카메라를 결합한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고안했다. 두 카메라가 촬영한 이미지를 각각 다른 AI 시스템에 연결해 상호보완적으로 작동하도록 한 것이다. 이벤트 ... ...
하늘 위의 포식자 독수리 눈 닮은 카메라…"자외선도 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5.30
사용해 물체를 확대하는 기존 카메라는 확대된 물체의 주변부는 인지할 수 없다는
단점
이 있다. 반면 이번에 연구진이 제작한 물체 감지 특화 카메라는 시야의 중앙부에서는 물체를 확대하면서 주변부 시야도 제공한다. 덕분에 두 시야의 차이를 바탕으로 물체의 움직임을 더 민감하게 감지할 수 ... ...
강유전체 분극 분포 최초 규명…초고밀도 메모리 소자 나올까
동아사이언스
l
2024.05.30
이나 낸드 플래시는 전원이 끊기면 정보가 사라지는 휘발성이거나 동작 속도가 느리다는
단점
이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강유전체 메모리가 차세대 메모리로 제안됐다. 강유전체 메모리는 외부 전원이 없어도 분극 상태를 유지해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비휘발성이면서도 속도가 매우 빠르기 ... ...
[극한호우, 우리]④ '녹색 스펀지'가 된 베를린…홍수 방재에 오염수 정화까지
2024.05.30
전 물을 정화하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비가 많이 올 때 물을 빨리 배수하지 못한다는
단점
이 있다. 반대 개념인 분류식 하수도는 빗물과 하수를 분리해 처리한다. 새로운 목표에 따라 현재 베를린에 새롭게 건설되는 건축물은 빗물을 지하 배수관으로 배출하지 않고 그 자리에서 처리해야 한다. ... ...
[과기원NOW] GIST, 3D 배경 분위기 자동 생성하는 'AI 디자이너'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5.27
27일 밝혔다. 현재 상용화된 리튬이온배터리는 온도 변화와 외부 충격에 취약하단
단점
이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고체 전해질 기반 전고체 배터리가 떠오르고 있는데 전극 활물질과 전해질이 맞닿은 계면이 불안정하다는 문제가 있다. 연구팀은 이를 해결하기 위해 배터리 내 음극과 전해질 간 ... ...
[과기원NOW] KAIST, 파리올림픽 기념 전시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5.23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함병승 전기전자컴퓨터공학부 교수가 기존 양자센싱의
단점
인 해상도의 한계를 극복한 새로운 개념의 '초해상 양자센서' 범용 이론을 확립했다고 23일 밝혔다. 함 교수는 "이번 연구 성과는 궁극적으로 현재 통용되는 고전 기술과 양립할 수 있는 양자정보기술의 토대가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