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과식
폭음 폭식
폭식
다식
대식가
포식
음식물
뉴스
"
대식
"(으)로 총 160건 검색되었습니다.
아무리 약 발라도 아물지 않는 염증, 빨리 낫게 할 방법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27
상처 회복이 늦어진다. 연구팀은 이를 반대로 활용해 SREBP2 단백질의 활성을 억제할 경우
대식
세포의 재생 활동을 촉진할 수 있다는 사실도 발견했다. 실제로 쥐를 이용해 이 단백질의 활성을 억제한 뒤 피부의 상처 재생 속도를 비교한 결과 상처 회복 속도가 빨랐다. 박 교수는 “향후 ... ...
"벌독 성분서 새 면역항암제 후보 물질 찾았다"
연합뉴스
l
2019.08.24
면역항암제에 대한 내성의 원인이 종양 내
대식
세포 때문이라는 보고가 나오면서
대식
세포를 표적 제거하는 게 요즘 항암제 개발의 중요한 전략이 되고 있다"며 "향후 치료제로 개발되면 항암 내성을 갖는 환자들에게 복합 처방을 통한 맞춤형 치료 방법을 제시하는 데 큰 희망이 될 수 있을 것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에이즈 바이러스 퇴치할 수 있을까
2019.08.13
백신’을 개발해 미국립보건원과 함께 9월부터 대규모 임상을 시작할 예정이다.
대식
세포에 침투한 HIV가 증식한 뒤 세포 표면으로 나온 장면이다(녹색 점이 바이러스 입자다). 위키피디아 제공 NIH와 얀센은 미국을 비롯해 아르헨티나, 이탈리아, 멕시코, 폴란드 등 8개국의 고위험군(남성 동성애자 및 ... ...
천식 발생과정 밝히는 ‘폐세포 지도’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24
T세포에게 보여주는 수지상세포가 많지만 폐 깊숙한 곳일수록 직접 병원균을 공격하는
대식
세포와 호중구가 많다. 이에 비해 천식 환자의 폐는 건강한 폐에 비해 염증이 잘 일어나 점액을 과다분비하는 환경으로 변한다. 기관지에도 점액을 만드는 술잔세포가 많았고, 무엇보다도 염증반응을 ... ...
집단지성으로 신약 개발하는 ‘타깃 팩토리’
동아사이언스
l
2019.06.11
나오는 ARS가 트립토판 tRNA 합성효소(WRS)”라며 “WRS가 세포 밖으로 나와 면역세포인
대식
세포에게 세균 감염을 가장 먼저 알리는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혈액 내 WRS의 양을 측정하면 패혈증 진단뿐 아니라 치료 예후, 사망률도 예측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 기술은 ... ...
세포 분비 물질로 심근경색 치료…세포 치료 패러다임 바꾼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19
놔두고 암세포만 정확하게 공격하기 위해 엑소좀을 이용한다”고 말했다. 잠들어 있던
대식
세포가 본연의 임무를 할 수 있도록 흔들어 깨우는 셈이다. 연구진은 엑소좀을 활용해 심근경색으로 혈관이 막히면서 심근세포가 섬유화(섬유아세포)되는 것을 막는 연구도 진행하고 있다. 혈액이 굳어 ... ...
동맥경화 진단, ‘色’다른 진단 기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3.08
걸린 실험쥐에 넣어 시험했다. 그 결과 동맥 안에 콜레스테롤이 축적된 곳에서 활성화
대식
세포를 골라 성공적으로 염색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또 유전체교정연구단과 함께 염색에 관여하는 유전자도 분리하는 데 성공했다. 장 부연구단장은 “IBS 연구단 간의 공동연구 덕분에 이같은 성과를 ... ...
류마티스 관절염 유발하는 염증 반응 제어 방법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3.04
MST1가 NF-κB 신호 전달 경로에 미치는 영향을 표로 나타냈다. 생쥐에서 유래한
대식
세포에 TNFα를 처리해 염증반응을 유도했다. MST1이 결핍된 세포에서는 NF-κB 표적 유전자들의 전사/번역이 높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MST1이 NF-κB 신호전달계를 제어할 수 있음을 규명했다. 한국연구재단 제공 ... ...
[표지로 읽는 과학] 혈액줄기세포의 안내자
대식
세포
동아사이언스
l
2018.12.09
목적지인 혈관의 미세한 틈으로 가는 데까지 안내자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대식
세포는 HSPC가 혈액세포를 생성하는 동안 틈 내부에 잘 보존되도록 돕는 것으로 나타났다. 판 교수는 “건강한 혈액세포 생성은 생명체 수명에 중요한 요소로, 노화 연구에 새로운 단서가 될 것으로 ... ...
동맥경화 발생 이유 새롭게 밝혀냈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29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진은 이번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양한
대식
세포의 기능을 규명하면 동맥경화는 물론 다양한 난치성 질환의 치료법 개발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 연구결과는 심혈관분야 국제학술지 ‘써큘레이션 리서치’ 10월호로 게재됐다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