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머리뼈
뇌
머리
대가리
두골
해골
뉴스
"
두개골
"(으)로 총 290건 검색되었습니다.
최초의 인류는 누구인가?
과학동아
l
2021.05.08
국제학술지 ‘네이처’를 통해 “사헬란트로푸스 차덴시스를 호미닌으로 평가받게 한
두개골
화석의 형태는 그저 생체역학적인 적응의 결과일지 모른다”며 “사헬란트로푸스 차덴시스가 이족보행을 하지 않았다는 것은 명확하다”고 평가했다. doi: 10.1038/419581a 만약 사헬란트로푸스 차덴시스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호모 에렉투스, 사건의 재구성
2021.04.27
유인원 유형이었다. 반면 역시 케냐에서 발견된 155만 년 전 호모속 인류(청소년)의
두개골
은 현생인류 유형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150만 년 이후에 살았던 호모속 인류는 과도기 형태인 일부를 빼면 모두 현생인류 유형이었다. 저자들은 “170만~150만 년 전 아프리카에서 뇌의 구조 변화가 일어났을 ... ...
현생 인류 조상과 네안데르탈인 이종교배 흔하게 일어나
연합뉴스
l
2021.04.09
나와 혼란을 줬다. 최근 게놈 분석 과정에서 소의 유전자가 포함된 것으로 밝혀져
두개골
복원 과정에서 소의 뼈로 만든 접착제로 인해 오염된 것으로 추정됐다. 하지만 연대를 추정할 수 있는 결정적인 단서는 이종교배를 통해 섞인 네안데르탈인 유전자를 통해 나왔다. 네안데르탈인 유전자는 ... ...
유전자가위로 만든 네안데르탈인 뇌 오가노이드
과학동아
l
2021.03.08
세포 표면의 주름이 깊게 나타났다. 사이언스 제공 네안데르탈인의 뇌는 어떤 모습일까.
두개골
화석으로는 추측할 수 없는 고대 인류의 뇌를 오가노이드(장기유사체)로 연구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 미국 샌디에이고 캘리포니아대(UC샌디에이고)를 포함한 국제 공동연구팀은 네안데르탈인의 ... ...
돼지 이어 원숭이 뇌에 칩 심은 일론 머스크, 생각으로 게임하는 원숭이 곧 공개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2.02
“머리에서 튀어나온 전선을 가진 이 장치의 원시적인 버전도 있지만, 이 기술은
두개골
속 ‘핏빗’과 같다”고 설명했다. 핏비트는 이용자의 운동량이나 심장 박동 등을 측정해 데이터화하는 스마트워치 제품명이다. 일론 머스크는 이 새로운 기술이 뇌와 척추 부상을 해결하고 뇌에 이식된 ... ...
주식은 풀, 간식은 고기? 뇌로 밝힌 테코돈토사우루스 생활사
과학동아
l
2021.01.12
두개골
화석 내부 구조를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뇌의 3차원 이미지를 만들었다.
두개골
안의 빈 공간을 분석하면 안에 들어있던 뇌가 어떤 모양이었는지 알 수 있다. 테코돈토사우루스는 뇌 뒤쪽에 있는 편엽의 크기가 큰 편이었다. 이는 몸의 균형을 잡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 ...
2020년 코로나19 말고 이런 연구도 있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2.31
지금까지 호모 에렉투스는 약 180만 년 전 화석이 가장 오래된 것이었지만, 올해 발견된
두개골
화석은 약 200만 년 전 것으로 최고(最古) 기록을 갈아치웠다. 또 이 화석의 주인은 2~3세에 사망한 것으로 확인돼 과학자들의 호기심을 자아냈다. ○ 껌 화석에서 유전자 분석 덴마크 연구진이 570 ... ...
인간도 곰처럼 겨울잠 잤을까
2020.12.21
시마 데 로스 우에소스 동굴에서 발견된 고인류의
두개골
. 사이언스 제공 현생 인류의 조상들이 옛 지구의 혹독한 겨울을 견디기 위해 겨울잠을 잤을 가능성을 뒷받침하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영국의 일간 가디언은 이달 20일(현지시간) 후안 루이스 아르수아가 스페인 마드리드 콤플루텐세대 ... ...
두개골
훼손 없이 뇌 신경망 구조 고해상도로 본다
연합뉴스
l
2020.12.03
원리를 이용해 고해상도 영상을 얻을 수 있는 현미경)에 반사행렬 현미경을 적용, 쥐
두개골
을 훼손하지 않고도 신경세포 수상돌기 가시 이미지를 고해상도로 얻는 데 성공했다. 최원식 부연구단장은 "실제 의료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현미경을 소형화하고 이미징 속도를 높이는 연구를 ... ...
"네안데르탈인, 현생 인류와 10만년 넘는 소모전서 패해 멸종"
연합뉴스
l
2020.11.04
것이 상대를 제압하는 효율적인 방법이었을 것이라면서 현생 인류나 네안데르탈인의
두개골
화석에 부상 흔적이 많고, 적의 가격을 막다가 아래팔이 부러진 흔적도 자주 발견되는 것을 고고학적 증거로 제시했다. 특히 젊은 남성의 화석에서 이런 부상 흔적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사냥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