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동계
기운
고동
박동
맥배열
맥
맥락
뉴스
"
맥박
"(으)로 총 123건 검색되었습니다.
스마트폰보다 음성 인식 잘 하는 인공전자피부
2015.11.01
만들었다. 또 연구팀은 온도와 압력에 따라 저항이 변하는 특성을 이용해 온도에 따른
맥박
변화를 파악할 수 있도록 했다. 전자피부에 기계적 변형이 생기면 전기 쌍극자 모멘트를 만들어 높은 진동수의 소리를 감지할 수 있는 기능도 더했다. 연구팀이 만든 인공전자피부. 얇은 필름으로 ... ...
[과학기자의 편파칼럼]‘NC vs 두산’ 플레이오프 편안히 즐기는 법
동아사이언스
l
2015.10.18
오히려 경기력에 영향을 줄 수도 있습니다. 그것도 안 좋은 식으로 말이지요. 뇌파와
맥박
을 측정하는 장치를 이용해 안좋은 소리를 들었을 때 사람이 어떻게 반응하는지 알아본 실험이 있었거든요. 실험할 때 전혀 안면이 없는 사람의, 상황과 아무 상관이 없는 잔소리를 들었는데도 순간적으로 ... ...
두 가지 증상 나타나는 복합질환 조심!
동아일보
l
2015.08.31
맞아두는 게 좋다. 심장의 한 부분인 심방이 매우 빠르고 무질서하게 뛰면서 불규칙한
맥박
을 만드는 심방세동은 뇌중풍(뇌졸중)과 연관이 있다. 심방이 제대로 뛰지 않으면서 생긴 혈전(피떡)이 뇌혈관을 막으면서 뇌중풍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 최기준 서울아산병원 심장내과 교수는 “심방세동이 ... ...
어디까지 소름 돋았니? 전자피부에 물어 봐
2015.08.21
보내도록 개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배터리는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맥박
이 뛸 때 생기는 압력을 이용해 전자피부에 전기를 공급하도록 만들어 배터리를 교체할 필요 없이 24시간 사용할 수 있다. 소름센서는 1㎠ 넓이에 10개 이상의 입모근이 감지되면 소름이 돋았다고 판단한다. - ... ...
손목시계만 차면 길 잃은 치매 환자 찾을 수 있다
2015.07.20
추적 장치는 쉽게 분실하지 않도록 손목시계 형태로 설계되며 방수기능도 추가된다. 또
맥박
을 측정하는 센서가 함께 탑재돼 환자의 생존 여부와 건강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백운기 국립중앙과학관 연구진흥과장은 “새로 개발될 추적장치 무게는 50g 내외가 될 것”이라며 ... ...
PART 01. 光의 시대, 光테크를 보여드립니다
과학동아
l
2015.06.30
거죠. 그런데 시계가 도대체 어떻게 몸속 심장 박동을 알아내는지 궁금하신 적 없었나요?
맥박
때문에 피부가 떨리는 것을 빛으로 측정하는 원리입니다. 또는 더 나아가서 광혈류측정기(PPG)라는 것도 많이 연구되고 있습니다. 시계는 보통 손목에 차죠. 광혈류측정기는 손목에 흐르는 혈액, ... ...
우리 몸 속에는 ‘녹색갈증’이 있다
과학동아
l
2015.05.28
더 빨리 안정됐다. 그래프는
맥박
사이의 간격을 의미한다. 즉, 막대 길이가 길수록
맥박
이 느리다. - 학술지 환경심리학. 과학동아 제공 ● 나이가 들면서 바이오필리아 경향이 강화된다? 하지만 자연을 선호하는 정도는 나이에 따라 차이가 있다. 동아일보 보도에 따르면, ... ...
피부에 붙여 실시간 진단하는 ‘무선 스마트 센서’
2015.04.22
확인하는 것이기 때문에 인체에 유해하지 않다”며 “여러 개의 센서를 집적시켜 온도와
맥박
등 다양한 인체 정보를 측정하는 후속 연구를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 ...
해장술은 정말 숙취해소 효과가 있을까
2014.12.15
한 뒤 잠에서 깨어날 때 제일 괴로운 건 두통이었다. 머리가 지끈지끈해 관자놀이의
맥박
이 뛰는 게 느껴질 정도였다. 여기에 속도 메스꺼워 아무 것도 먹고 싶지 않았다. 그나마 이불 속에서 웅크리고 가만히 누워있으면 고통이 덜 해 숙취가 심할 땐 회사에 전화를 해 휴가를 내기도 했다. ... ...
거짓말만 하면 딸꾹질 ‘피노키오 증후군’ 진짜 있나?
2014.11.23
하면 우리 몸은 평소와 다르게 반응한다. 드라마 속 여주인공만큼은 아니지만 호흡과
맥박
등이 빨라지는 식이다. 19세기 유럽에선 기계를 이용해 거짓말 여부를 판단하려는 시도가 시작됐으며, 1915년 미국에서는 혈압 변화를 이용한 현대적인 거짓말 탐지기가 고안됐다. 최근 예능 프로그램에 종종 ... ...
이전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