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근절
절멸
몰살
박멸
제거
절제
말살
뉴스
"
멸종
"(으)로 총 858건 검색되었습니다.
[헷갈린 과학] 양서류? 파충류?…도룡뇽 vs 도마뱀
어린이과학동아
l
2024.01.06
줄었다”고 설명했죠. 제니퍼 루츠케 연구원은 “숲을 보호해 다른 척추동물보다
멸종
에 더 취약한 양서류를 보존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도마뱀. 국립생물자원관(이정현) 제공 ● 도마뱀 도마뱀은 뱀과 거북처럼 땅에서 생활하는 파충류입니다. 피부로도 숨 쉬는 도롱뇽과는 달리 ... ...
극지 덮친 조류독감에 북극곰도 감염돼 폐사…세계 첫 사례
동아사이언스
l
2024.01.03
것은 이번이 세계 첫 사례"라고 말했다. 북극곰은 국제자연보전연맹(IUCN)이 지정한
멸종
위기종 적색목록에 올라있는 종인만큼 조류인플루엔자 감염을 서둘러 막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북극곰이 인적이 드문 외딴 곳에 서식하는 경향이 있는만큼 아직 발견되지 않은 폐사 사례가 더 ... ...
상온 초전도체 LK-99 논란…영국 과학자들이 꼽은 올해 과학이슈
동아사이언스
l
2023.12.25
야생동물의 급격한 감소 제초제와 살충제의 남용이 불러일으킨 야생동물의
멸종
은 기후변화와 함께 중요한 환경 문제로 지목됐다. 프랑스 몽펠리에대 연구진 등으로 구성된 공동연구팀이 9월 '미국국립과학원회보'에 발표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지난 40년 동안 유럽 전역의 새들은 개체수가 5억500 ... ...
유전자교정 바이러스로 바이러스 무력화, 가능성 찾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3.12.17
죽이게 하거나 불임 상태로 만드는 게 목표였다. 그러나 유전자 드라이브는 종 전체를
멸종
시킬 수 있다는 점, 생태계를 교란할 수 있다는 점 등이 한계로 제기됐다. 바이러스는 감염된 세포에게 유전자를 해석해 새로운 바이러스를 생성하도록 명령하는 방식으로 스스로를 복제해 증식한다. HSV ... ...
네이처가 올해 10인에 챗GPT 꼽았다…'비인간'으로는 최초
동아사이언스
l
2023.12.14
일본 오사카대 발달생물학 박사도 이름을 올렸다. 수컷 쥐 세포를 이용한 연구 성과로
멸종
위기에 처한 종을 구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는 평가다. 미국 로렌스 리버모어 국립연구소(LLNL) 핵융합 연구시설 '국립 점화 시설(NIF)'의 물리학자 애니 크리처 박사도 10인에 선정됐다. NIF ... ...
"모기 진화 초기엔 수컷도 피 빨았다…백악기 화석 발견"
연합뉴스
l
2023.12.05
피를 빨았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이들 화석은 새로운
멸종
모기 아과(亞科. subfamily)에 속하는 오래된 혈통 중 하나로 수컷이면서도 잘 발달한 이빨과 흡혈에 적합한 입천장을 구조를 가졌다며 현대 모기는 암컷만 흡혈한다는 점에서 주목되는 발견이라고 말했다. ... ...
정수장 '불청객' 깔따구, eDNA로 찾는다
과학동아
l
2023.12.02
장점”이라고 설명했다. 실제로 2020년 8월 국립생태원은 eDNA 분석을 통해 DMZ에서
멸종
위기 어류 10종의 서식을 확인하기도 했다. 지난해 2월 영국 퀸 메리대 연구팀과 덴마크 코펜하겐대 연구팀은 국제학술지 ‘커런트 바이올로지’에 eDNA를 채취해 광범위한 생물다양성을 측정했다는 연구 결과를 ... ...
'살충제 제한' 약속에도 농약에 노출된 야생호박벌
동아사이언스
l
2023.12.01
'대량 실종'이 보고되면서, 농경지에서 사용하는 살충제 등의 농약도 야생호박벌
멸종
의 원인 중 하나로 꼽혔다. 최근 빈대 방제용 살충제로 국내에서도 긴급 승인된 네오니코티노이드계 살충제가 대표적이다. 1991부터 유럽에서 사용돼 온 네오니코티노이드는 강력한 독성을 가진 신경 자극성 ... ...
로봇으로 부활한 4억5000만년 전 불가사리 조상
동아사이언스
l
2023.11.07
개발하기 위한 효율적인 이동 전략을 개발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번 연구로
멸종
된 유기체를 활용해 소프트로봇을 만들 수 있음을 증명한 연구팀은 향후 바다에서 육지로 이동한 최초의 유기체를 소프트로봇으로 재현한다는 계획이다. 플로레시스티드의 모습을 본 딴 소프트로봇. ... ...
소행성 충돌로 인한 엄청난 미세먼지 '공룡
멸종
' 불렀다
동아사이언스
l
2023.10.31
게티이미지뱅크 6600만년 전 멕시코 유카탄반도에 소행성이 충돌하면서 방출된 미세먼지가 공룡
멸종
의 주요 원인이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샘 베 ... 미세먼지 등의 영향으로 지구의 기온이 낮아진 상태가 지속되면서 결국 공룡이
멸종
한 것으로 보인다고 연구팀은 추정했다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