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용모
생김새
모양
외모
형상
외관
양상
뉴스
"
모습
"(으)로 총 10,141건 검색되었습니다.
황정아 "삭감된 R&D 예산 반드시 복원할 것"
동아사이언스
l
2025.07.07
연구자를 대전에서 꼭 자주 만나고 싶다. 저를 향해 희망과 기대의 눈빛을 보내는
모습
을 직접 보고, 나에 대해 기대하는 바를 들으면 에너지를 많이 얻는다. 일을 안 할래야 안 할 수가 없다. 일을 잘 하고 싶다. 기대에 꼭 부응하고 싶다. 이 일에 사명감과 책임감이 크게 느껴진다. ... ...
[시민과학풀씨]③ 야생의 노린재는 어떤 냄새가 날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25.07.06
이날 탐사를 마친 '임형주의 가족' 팀 임주원 대원은 "방패형의 노린재 외에 다양한
모습
의 노린재를 알게 되었고 예전에 담배 냄새와 비슷한 노린내를 맡아봤는데 또 다른 향이 있다니 신기했다"며 "앞으로도 다양한 노린재의 특성을 알아가고 싶다"고 소감을 전했다. ... ...
"헬로, 닥터 윗슨"…국제우주정거장서 우주인이 소개한 韓 초등학생 그림
2025.07.05
미국 우주기업 액시엄스페이스(Axiom Space)의 'AX-4' 임무의 사령관인 페기 윗슨 박사가
모습
을 드러내자 연세대 미래교육원 대강당에 모인 사람들이 한목소리로 인사를 외쳤다. 지구에서 약 400km 떨어진 지구저궤도를 도는 ISS에 있는 윗슨 박사는 반가워하며 한국 초등학생들이 그린 그림 20점을 하나씩 ... ...
기후위기 '뉴노멀' 난기류 피하는 조종사들의 '1초 승부'
과학동아
l
2025.07.05
"마치 오락실에서 게임을 하는 것 같아요." 예비 조종사들이 관제사와 소통하는
모습
은 언뜻 보면 VR 기기를 쓴 채 비행 게임을 즐기는 것처럼 보였다. 김 원장은 이 말에 사뭇 진지한 표정으로 모의 훈련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경비행기 C-172를 가상 현실에서 조종하는 훈련입니다. 비행기 내 조종 ... ...
美 이란 핵시설 공습 현장…텔레픽스 위성 솔루션이 생생히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25.07.04
이스파한 핵시설 위성영상과 데이터 분석 보고서를 4일 공개했다. 공습 전후의 핵시설
모습
변화를 정밀하게 비교 분석한 것으로 자사의 인공지능(AI) 큐브위성 블루본(BlueBON)과 위성영상 분석 AI 에이전트 솔루션 샛챗(SatCHAT)을 유기적으로 활용한 첫 실증 사례다. 미국은 6월 21~22일 포르도, 나탄즈, ... ...
2040년 한국에 뜰 인공태양 에너지, 고온초전도체·AI가 구현
동아사이언스
l
2025.07.04
KSTAR) 내부
모습
. 핵융합연 제공 핵융합에너지 구현을 위한 대형 프로젝트인 국제핵융합실험로(ITER) 건설이 지연되면서 전세계 주요국들은 각자의 방식으로 핵융합에너지 실증을 시도하고 있다.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핵융합연)은 2040년 핵융합에너지 생산이라는 도전적인 목표로 '한국형 혁신 ... ...
[동물do감] 바다거미, '배' 없는 이유는 유전자 증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7.03
생겼기 때문이라고 추측했다. 혹스 유전자는 성장하는 세포에 신체의 각 부분이 어떤
모습
으로 변해야 하는지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초파리의 혹스 유전자에 이상이 생기면 더듬이가 있어야 할 자리에 다리가 자랄 수 있다. 연구팀이 매듭 바다거미의 전체 유전체를 분석한 결과 ... ...
새는 정교하게 골라 먹고, 거미는 대충 속는다…포식자의 '눈' 따라 진화한 의태
동아사이언스
l
2025.07.03
말벌을 닮은 꽃등에 모형을 말벌과 같은 '먹으면 위험한' 곤충으로 판단하며 쉽게 속는
모습
을 보였다. 실험에서 사용된 3차원(3D) 프린팅 기술로 만들어낸 정교한 곤충 모형. Credit: Christopher Taylor 연구팀은 이번 연구가 의태하는 곤충들의 모방 수준이 포식자의 인식 능력에 따라 다양하게 ... ...
중심별 방사선 폭발 유도해 죽음 자초하는 외계행성
동아사이언스
l
2025.07.03
자기에너지를 축적한 뒤 별을 향해 에너지 파동을 보내 대규모 플레어가 발생하는
모습
을 표현한 그림. Danielle Futselaar 제공 연구팀은 지구에서 약 407광년(1광년은 빛의 속도로 1년 이동한 거리) 떨어진 별 HIP 67522의 주변을 매우 가까운 거리에서 7일마다 공전하는 행성 HIP 67522 b에 주목했다. 별과 행성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미룰수 없는 의대생·전공의 복귀…볼썽사나운 특혜 논란
2025.07.02
사실을 솔직하게 인정해야 한다. 자신들의 과거 경험을 고집하는 기성세대의 흉한
모습
을 부끄러워해야 한다. 전공의 수련 과정의 책임도 더 분명하게 규정하고 관리해야 한다. 현재 211개 병원에서 분산 운영하는 전공의 수련 과정을 총괄적으로 관리하는 체계는 찾아볼 수 없다. 1989년에 만들어진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