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몸
동체
트렁크
구간
신체
체격
전신
뉴스
"
몸통
"(으)로 총 304건 검색되었습니다.
[프리미엄리포트] 50년 만에 첨단 CG로 부활한 거대 타조공룡 데이노케이루스
2019.11.17
3D프린터로 전신골격을 출력하는데 드는 비용과 시간이 어마어마했다. 두개골과 경추,
몸통
과 네 다리, 그리고 미추 이렇게 세 부분으로 분할해 조립되도록 출력한 뒤, 3D프린터의 특성상 나타나는 얇은 출력층 자국과 접합 부위의 경계선 같은 불필요한 흔적을 지웠다. 표면을 매끄럽게 정리하고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케플러의 행성법칙
2019.10.31
해서 몸을 회전시키는 동작이다. 빙판 위에서 선수가 팔을 쭉 펴고 돌다가 팔을 오므려
몸통
에 바짝 붙이면 갑자기 회전이 빨라진다. 팔을 쭉 뻗으면 팔을 구성하는 분자들이 회전축에서 멀어지므로 회전속도가 떨어지게 된다. “멀어지면 천천히 돈다.” 여기서 팔을 몸에 붙이면 팔을 구성하는 ... ...
“우리 강아지 몸이 사라 졌어요”
팝뉴스
l
2019.10.20
발도 보인다. 주인은 귀여운 반려견의 모습을 담기 위해서 카메라를 들었다. 개의
몸통
이 없어진 것은 아마도 개의 머리가 너무 크기 때문일 것이다. 머리가 몸을 다 가리고도 남을 정도의 크기다. 덕분에 사진이 아주 재미있게 되었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 ...
몸이 투명한 고양이? 화제
팝뉴스
l
2019.10.18
배경이 그대로 보인다. 착시일 가능성이 높다는 게 네티즌들의 지배적 의견이다.
몸통
의 점 색깔과 배경의 흙 색이 똑 같아서 시각적 혼란이 일어났다는 것이다. 그렇다고 해도 사진이 신기한 것은 사실이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 ...
거대한 토끼 ‘화제’
팝뉴스
l
2019.10.03
평가다. 그런데 사진에는 특이한 구석이 있다. 토끼가 거대한 것이다. 머리와
몸통
의 크기가 보통 토끼의 다섯 배는 되는 것 같다. 토끼가 정말 저렇게 클 수 없다면서, 개가 작은 종이라서 착시를 일으킨 것이라고 주장하는 댓글도 적지 않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 ...
자기 머리를 보고 깜짝 놀란 고양이
팝뉴스
l
2019.08.29
추정도 있다. 고양이는 엽기적인 범죄 현장을 본듯이 놀랐다는 것이다. “저 고양이의
몸통
은 어디로 간거지?”라고 생각하면서 말이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눈살을 찌푸리게도 만들고, 감탄을 내뱉게 만들기도 하지요. 스마트폰이 ... ...
스페이스X 화성 우주선 '스타십' 시제품 시험비행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19.08.28
페어링이 망가지기도 했다. 스페이스X는 이를 대체하지 않기로 결정해 비행 시험은
몸통
부분에 돔형 뚜껑을 씌운 상태로 진행됐다. 머스크는 “스타호퍼를 엔진 점화 테스트 용도로 쓸 것”이라고 밝혔다. '스타호퍼' 시험비행 동영상 링크 https://youtu.be/bYb3bfA6_sQ ... ...
"日의 소재 공격 맞서 中企에 기술이전 할 것"
동아사이언스
l
2019.08.19
‘현역’으로 이곳에 있습니다.” 이 교수의 설명을 들으며 들어선 연구실에는 어른
몸통
만 한 크기부터 책상만 한 크기까지 다양한 크기의 합성장비가 10여 대 놓여 있었다. 21년 동안 하나씩 직접 제작해 추가해 온 장비다. 한 우물을 판 연구실답게 세월의 흔적이 느껴졌다. 한쪽 벽면에는 그동안 ... ...
생물처럼… 몸속 ‘피’ 흐르는 로봇 물고기가 스르르 헤엄쳤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21
사용했다. 꼬리지느러미 오른쪽과 왼쪽에 각각 레독스 흐름 배터리가 설치됐는데
몸통
과 꼬리 연결부에 달린 펌프가 음극액을 왼쪽과 오른쪽 전지에 번갈아 보내는 식이다. 음극액이 왼쪽에 차면 반대로 오른쪽은 음극액이 없어져 쪼그라든다. 이런 과정을 좌우로 반복하면 물고기 꼬리가 좌우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손가락 비율은 과학적 근거가 있을까
2019.06.11
왼쪽)와 운동 피질 호문쿨루스(오른쪽)는 둘 다 입술과 손은 엄청나게 큰 반면
몸통
과 팔다리는 왜소한 기형적인 모습이다. 이는 뇌가 처리하는 정보량을 보여주는 것으로 엄밀한 뇌과학 연구의 결과다. 런던자연사박물관 제공 20여 년 동안 논문 1400편 넘게 나와 검지(두 번째 손가락) 길이(2D)와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