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급
방수
하수
오수
막힌 물
곱급
배수법
뉴스
"
배수
"(으)로 총 231건 검색되었습니다.
'코로나19 환자 10명 한꺼번에 검사한다'는 취합검사법이란 무엇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20.04.09
자원을 절약하는 효과가 미미하므로 현실적으로는 4배 희석부터 10배 희석까지 모든
배수
를 상황에 맞게 사용하면 된다"고 설명했다. 2배 희석은 2명의 검체를 한데 모은 것을 뜻한다. 한국 일일 검사량은 약 1만건 이상으로 알려져 있다. 10명 검체를 묶는 방식의 검사를 도입한다면 일일 검사량은 ... ...
원자력연 다른 111개 시설 전면 조사…원전에만 있는 원안위 지역사무소도 설치 검토
동아사이언스
l
2020.03.20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이번 사건은 지난해 12월 원자력연 정기검사 때 외부
배수
로 인근에서 세슘이 발견되면서 시작됐다. 원자력연은 올 1월 원자력 안전규제 기관인 원안위에 이런 사실과 함께 자체 조사 결과를 보고했다. 원안위는 조사팀을 급파해 폐쇄회로TV(CCTV) 영상을 확인하는 ... ...
원자력연, 30년간 설계와 다른 시설서 방사성 물질 배출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3.20
지하저장조로 회수하는 과정에서 필터하단
배수
구로 일부 방폐물(연간 470~480리터)이 바닥
배수
탱크로 유입돼 외부로 누출됐다는 사실도 확인됐다. 정상운전 경로 : ①→②→③→④→⑤→⑥→⑦ 순환, 중간저장조 수위 저하시 지하저장조에서 보충하고, 매년 운영종료시 지하저장조로 잔여 ... ...
대소변에서도 코로나19 발견...지금까지 밝혀진 코로나19 감염경로는
동아사이언스
l
2020.03.06
있던 바이러스가 변기를 내릴 때의 힘으로 공기 중 에어로졸 형태로 떠다니다가
배수
구나 수도관을 타고 다른 집으로 이동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화장실은 특히 환기가 어렵기 때문에 에어로졸이 된 바이러스가 비교적 오래 머물 가능성이 커진다. 싱가포르 국립전염병센터 연구팀은 코로나19 ... ...
메르스 바이러스 잡는 심장병약, 코로나19 치료제 후보 될까
동아사이언스
l
2020.03.04
약물 중 약효를 평가해 54개 후보물질을 추렸다. 회색 막대는 치료제 종류별 약물의 수(10
배수
), 검은색은 TI가 6보다 큰 약물의 수다. 바이오아카이브 논문 캡처 이 치료제 후보물질 54중 중 FDA 승인을 받아 바로 활용할 수 있는 정식 약물은 12개였다. 이중 가장 효과가 좋은 약물은 심장병 치료제인 ... ...
"지하철 탈까 말까" 일상을 공포로 만든 코로나19 바로 알기
동아사이언스
l
2020.02.24
있다. 사스가 유행했던 2003년 당시에도 변기 물을 내릴 때 생성된 바이러스 에어로졸이
배수
구를 통해 다른 집들로 전파된 것으로 추측된 적이 있었다. ... ...
"코로나19 바이러스 대변서도 검출"…'에어로졸 감염' 근거되나
연합뉴스
l
2020.02.20
아파트에서 감염자가 용변을 보고 물을 내린 뒤 바이러스가 포함된 에어로졸이
배수
구 등으로 퍼지면서 321명의 2차 감염을 불렀다는 분석과도 연관성이 있다. 제갈동욱 서울성모병원 진단검사의학과 교수는 "이 논문으로 본다면, 현재 상황에서는 진단의 오류를 최소화하기 위해 구강 면봉검체 ... ...
코로나19 감염자 82명…초기방역 소홀 비판받은 일본·싱가포르 육박
동아사이언스
l
2020.02.20
사스)이 홍콩에서 유행했을 당시에도 사스 코로나바이러스가 에어로졸 상태로 화장실
배수
구를 통해 퍼져 한 아파트에서만 한 달 동안 321명이 감염돼 42명이 사망한 적이 있다. 이 때문에 코로나19 발생 초기부터 코로나19 역시 에어로졸 전파가 가능한 게 아니냐는 우려가 있었다. 전문가들은 ... ...
홍콩서 아파트 배기관 통한 감염 가능성…'에어로졸 감염' 촉각(종합2보)
연합뉴스
l
2020.02.12
윗집 사람이 환풍기를 가동했을 때 'U자형 배관'이 말라서 공기가 통하는 윗집 욕실 바닥
배수
구 등을 통해 실내로 에어로졸이 퍼진 것으로 추정된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번에 신종코로나 감염자가 나온 캉메이 아파트는 타오다 아파트와는 달리 U자형 배관이 아니어서 같은 사례로 보기는 ... ...
전문가들 "일상에선 신종 코로나 공기 전염 위험 낮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2.10
때 환자의 대변에 남아 있던 바이러스가 에어로졸 상태로 공기 중에 떠다니다가, 화장실
배수
구와 수도관을 통해 이웃집으로 퍼졌다고 추측한다. 당시 3월 26일~4월 21일까지 약 한 달간 이 아파트에서만 사스 환자가 328명이나 발생했다. 하지만 세계보건기구(WHO)가 조사한 결과 사스 역시 기침이나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