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가지
변기
요강
분기점
분기
분파
분맥
뉴스
"
분지
"(으)로 총 138건 검색되었습니다.
달 뒷면 착륙, 인공혈액 수혈… 새해 인류의 새 도전이 시작된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31
1월 3일 사상 최초로 지구에서 보이지 않는 달 뒷면에 착륙을 시도한다. 남극 에이트켄
분지
에 위치한 본 카르만 크레이터에 착륙해 달 토양에 애기장대 같은 식물을 키우는 온실 실험도 최초로 수행할 예정이다. 미국 국립과학재단과 영국 자연환경연구회는 기후변화 연구를 위해 남극 대륙 5대 ... ...
수천가구 주택 뒤덮은 하와이 킬라우에아 화산폭발, 예상보다 광범위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17
발표했다. 칼데라는 화산 폭발 뒤 마그마가 분출돼 공간이 비면서 생긴 냄비 모양의
분지
다. 하와이섬(빅아일랜드)의 킬라우에아 화산 폭발로 흘러나온 용암이 주택가를 덮치고 있는 모습. - 미국 환경보호청 제공 이번 연구를 이끈 크리스티나 닐 미국지질조사국 하와이화산관측소(HVO) 연구원은 ... ...
中 아무도 못 가본 달 뒷면으로 '대장정'… ‘창어 4호’ 발사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18.12.08
수직 하강에 가까운 형태로 착륙을 시도할 예정이다. 목표 착륙지점은 달 남극 에이트켄
분지
에 위치한 폭 186㎞의 본 카르만 크레이터다. ● 지구에선 잡히지 않는 저주파 전파 관측, 달에서의 첫 온실실험까지 창어 4호가 착륙에 성공하면 향후 3개월간 달 뒷면에서 탐사 임무를 수행한다 ... ...
달 뒷면에 사상 첫 착륙선…中 ‘창어 4호’ 8일 발사
동아사이언스
l
2018.12.07
발사될 예정이다. 계획대로라면 창어 4호는 30일 또는 31일 달 뒷면의 남극 근처 아이트켄
분지
에 착륙한다. 지구에서는 늘 달의 같은 면만 보인다. 달의 공전주기와 자전주기가 약 27.3일로 같기 때문이다. 달의 뒷면을 관측 영상을 통해 처음 본 것은 1959년이다. 그러나 이후 59년 동안 달 뒷면에 ... ...
"어디라야 안전할까" 美-EU 화성 탐사 로버 착륙지 놓고 '고민'
동아사이언스
l
2018.11.08
2m 깊이로 땅을 파서 샘플을 채취할 예정이다. 최종 후보에 오른 옥시아 플라눔의 얕은
분지
와 마우스 발리스의 남쪽 지역은 물의 흔적이 가장 많이 포착된 지역이다. 엑소마스의 착륙후보지에 오른 옥시아 플라눔(왼쪽)과 마우스 발리스의 모습이다-ESA 제공 옥시아 플라눔은 약 39억 년 전 과거 ... ...
화성
분지
주변서 고대 호수 흔적 무더기 발견
2018.11.02
하천, 지하수 등으로 형성됐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들 고대 호수 흔적은 헬라스
분지
가장자리의 작은 함몰지로 흘러드는 배수로를 따라 발견됐다. 하기타이 박사는 "배수로를 따라 지질학적 역사가 다른 여러 그룹의 고대 호수를 발견했다"면서 "일부는 폭이 수 ㎞에 길이가 수백㎞에 ... ...
여름철 풍족한 물 지하수로 만들어 보관… 싱크홀-가뭄 막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9.17
하는데, 그 위쪽으로 물의 유입을 막는 점토층 등의 지층이 있다면 침투
분지
방식이나 사방댐 방식으로는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게 된다. 이럴 경우는 직접 물을 쏟아부을 수 있도록 수십m 깊이의 관정(管井)을 뚫어야 한다. 지하수의 흐름을 땅속에서 막아 땅속 수량을 확보하는 ‘지하댐’ 건설도 ... ...
지각 쪼개지고 파고들어...동해가 사라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6.18
휘는 것과 비슷한 현상으로, 동서 방향 압축력을 받는다는 뜻이다. 또 한반도와 울릉
분지
경계 깊은 곳에서 역단층을 발견했다. 역단층 역시 양쪽에서 압력을 가할 때 생기는 단층이다. 연구팀은 경계면에서 ‘삼각전단대’라는 쐐기 모양의 구조를 통해 역단층을 확인했다. 마지막으로 중력을 ... ...
추운 바다 밑 가오리, 해저 열수구 이용해 알 키운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2.08
해양단층 깊은 곳에서 물질들이 쏟아져 나오는 곳이다. 40년이 지난 지금 모든 해저
분지
에는 열수구가 있다는 것이 알려졌다. 열수구는 화학합성미생물과 해양 생물 등 수많은 생명체의 터전으로 알려져 있지만, 얼마나 많은 생명체가 이 열수구 주변에서 생활하지, 어떻게 살아 남는지 ... ...
3400만 년 전 지구온난화 땐 바다 속에 빙하 많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7.12.17
글릭 교수는 "이는 남극 대륙 크기의 빙상이 형성되기 전인 약 3400만 년 전 오로라 빙하
분지
에 이미 상당한 양의 얼음이 존재했다는 것을 의미한다"며 "이후 얼음은 점신세와 중신세 동안 사브리나 연안 대륙붕에서 최소 11번에 걸쳐 전진하고 후퇴하길 반복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인위적인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