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열전"(으)로 총 120건 검색되었습니다.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2015년 10대 과학기술 뉴스’ 선정2015.12.24
- 수 있는 스마트 인공피부(왼쪽 위부터 시계방향), 체온으로 전기를 만들 수 있는 고효율 열전소재, 메르스 사태, SMART 원전 해외 수출 첫걸음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제공 올 한해 가장 주목받은 10대 과학뉴스가 선정됐다.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는 과학기술인과 일반인 3249명의 ... ...
- 슈퍼로봇, 한국의 영웅 또 언제쯤…동아일보 l2015.11.11
- 동시대성과 공감 콘텐츠로서의 가치를 가지고 있다”고 밝혔다. ‘한국 슈퍼 로봇 열전’의 저자인 승채린 씨도 “옛날에는 제작 비용이 부족해 헌 필름을 재활용하고 밤새우며 마감을 맞추기 일쑤였다”며 “표절의 면죄부가 될 순 없지만 당시 제작자들은 불모지에서 무언가 만들려 했던 ... ...
- 로봇 손이야 사람 손이야?… '생체모방' 로봇 손 “신기하네”2015.10.13
- 컴퓨터과학과 교수팀은 온도가 뜨거워지면 손가락을 구부리고 식으면 피는 ‘열전도식’ 생체모방 로봇 손을 만드는 데 성공했다고 8일 밝혔다. 연구팀이 이용한 소재는 ‘형상기억합금’으로 변형이 일어나도 일정 온도가 되면 원래의 상태로 돌아가는 성질을 갖는다. 사람의 근육처럼 길이가 ... ...
- [과학기술지주 출범 2년] 출연연과 대학, 창업 도와드려요2015.10.02
- ‘세상을 바꿀 10대 기술’의 그랑프리로 국내 벤처기업 ‘테그웨이’가 보유한 열전소자 기술을 선정했다. 체온에서 전력을 생산한다는 획기적인 발상을 인정한 것이다. 이 소자를 손목시계나 옷 형태의 웨어러블 기기에 적용하면 체열을 통해 끊임없이 전기를 공급받을 수 있다. 테그웨이는 ... ...
- [가을, 충청으로 떠나다]3D 프린팅·아빠와 드론 날리기 체험동아일보 l2015.09.24
- 연구 성과를 선보인다. 이 밖에 유네스코 세계 10대 IT혁신기술전에서는 입을 수 있는 열전소자충전기, 부패감지 젓가락 등을 볼 수 있다. 대덕특구 정부출연연구원 박사가 들려주는 우리나라 최고의 과학기술 이야기도 하루 2회 진행된다. 도시형 축제, 다양한 부대행사도 이번 축제에서는 과학과 ... ...
- 배상민 KAIST 교수 ‘레드닷어워드’ 대상 수상2015.07.28
- 배 교수팀은 또 자가발전 인터랙티브 텐트 ‘차세대 텐트’와 온도차로 발전하는 열전소자를 이용한 자가발전식 휴대용 램프 및 스마트 디바이스 충전기 ‘스노우 에너지’도 각각 본상 수상작으로 선정됐다. 시상식은 9월 25일 싱가포르에서 열린다. 배상민 KAIST 교수팀이 디자인한 모듈형 ... ...
- 세계 최고 효율 열전(熱電) 소재 개발2015.04.03
- 국내 연구팀이 세계 최고 효율의 열전(熱電) 소재를 개발했다. 열전 소재란 소재 양면의 온도차에서 생기는 열을 이용해 전기를 만드는 신소재다. 옷에 붙여 ... 일본 등 선진국보다 우리가 가장 앞섰다”고 말했다. 연구팀이 개발한 기술을 활용한 열전 소재 - 이우상 기자 idol@dong.com ... ...
- ‘서자(庶子)’ 위성의 환골탈태기과학동아 l2014.05.30
- “푸른 하늘 은하수 하얀 쪽배에….” 지구의 밤하늘에는 매일 ‘하얀 쪽배’인 달이 뜬다. 하지만 이는 지구에서만 볼 수 있는 풍경이 아니다. 태양계의 다른 행성에도 달처럼 행성 주위를 도는 작은 천체, 즉 위성이 있기 때문이다. 최근 관측기술이 발달하면서 그동안 행성에 딸린 ‘서자’ ... ...
- 피부에 붙였더니 전기가 나오네?!과학동아 l2014.04.07
- 통화를 할 수 있는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밴드 타입으로 제작된 유리섬유 기반 열전소자를 인체에 적용하면 전기에너지가 생성된다. - KAIST 제공 그러나 아직까지는 현실적으로 스마트 와치나 생체신호 기기와 같은 소형 전자기기에만 활용될 수 있어 실제 많은 사람들이 필요로 하는 ... ...
- 버려지는 태양광에너지까지 잡아 발전량 늘린다동아사이언스 l2014.02.13
- 최대 효율 3%의 전기에너지를 추가적으로 얻을 수 있게 됐으며, 이는 미국·유럽 등 태양 열전발전기술 선진국들과 비슷한 수준의 효율이라고 설명했다. 한 박사는 “이 시스템은 기존보다 더 넓은 200~3000nm 파장 영역의 태양에너지를 골고루 사용하기 때문에 발전량이 향상될 수밖에 없다”며 ... ...
이전7891011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