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운석
별똥
별똥별
별똥돌
별통돌
석질운석
뉴스
"
운석
"(으)로 총 249건 검색되었습니다.
네이처, 달 연구 주도 젊은 과학자에 심채경 경희대 연구교수 조명
동아사이언스
l
2019.07.15
연구원, 달 원격탐사 전문가인 메가 바트 인도국립물리학연구소 연구원, 달에서 유래한
운석
을 찾는 캐서린 조인 영국 맨체스터대 연구원, 월석을 연구하는 제시카 반스 미국항공우주국(NASA) 존슨우주센터 연구원 등을 차세대 달 연구자로 소개했다. ... ...
탐사선 ‘창어 4호’ 첫 연구성과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19.05.17
증거가 나온 적은 없었다”며 “달의 뒷면은 원시 달의 모습을 많이 간직하고 있으며
운석
이나 소행성 충돌 흔적도 남아 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로 인류는 달의 기원을 보다 명확하게 연구할 길을 열었다. 김 연구원은 “창어 4호 탑재체로 토양이나 광물 성분 탐사뿐만 아니라 주파수 탐지, 물 ... ...
달에서도 지구처럼 단층따라 지진 발생 중
연합뉴스
l
2019.05.14
지각이 움직이면서 생긴 지진일 가능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소행성 또는
운석
충돌이나 달 내부 깊은 곳의 요동에 의한 진동이 아니라는 것이다. 연구팀은 이 지진들의 진앙이 충상단층에서 30㎞ 이내에 있어 단층이 지진을 유발한 것으로 결론을 내리기에 충분하다고 설명했다. ... ...
궤도 조정 노력에도 뉴욕 한복판에 떨어진 소행성
연합뉴스
l
2019.05.08
발사할 것을 NASA를 비롯한 각국 우주기관에 촉구했다. 약 2억1천400만년 전에 형성된
운석
충돌구로 애초 직경이 100㎞에 달했으나 현재는 침식, 퇴적 작용으로 약 72㎞ 줄었다. 지구에 있는 충돌구 중 다섯 번째로 크다. [ISS 제공] ... ...
개기월식 때 번쩍인 섬광 정체는 마하50 속도로 내리꽂힌
운석
동아사이언스
l
2019.05.01
15m 크기 분화구가 형성된 것을 확인했다. 메디에도 교수는 “섬광을 관찰하는 것은
운석
이 달과 충돌할 때 일어날 일을 정확히 확인할 수 있는 좋은 방법”이라며 “지구상의 실험실에서 이러한 고속 충돌을 재현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연구 설명 동영상 링크 https://youtu.be/5ir8nPSSLYQ ... ...
[표지로 읽는 과학] 태양계 기원 간직한 소행성
동아사이언스
l
2019.04.21
콘드라이트는 태양계 형성 초기에 만들어진 이후 열에 의한 변화를 거의 겪지 않은
운석
을 뜻한다. 류구도 태양계 초기에 형성된 원시 행성임을 추정할 수 있는 결과다. 류구의 지형적 특성도 분석됐다. 류구의 밀도는 1㎝당 1.19g이고, 내부에 구멍이 50% 이상으로 많은 소행성이다. 가파르게 형성된 ... ...
6600만년 전 그날 거대한 불덩어리가 떨어졌다…소행성 충돌 직후 분석
동아사이언스
l
2019.03.31
실렸다. 이들은 백악기-팔레오기 경계 지층을 관찰한 결과 지구상 암석에는 거의 없지만
운석
에는 풍부한 원소인 이리듐이 잔뜩 쌓여 있는 것을 발견했다. 이리듐은 태니스 지층에도 잔뜩 남아 있다. 당시 소행성 충돌이 세계적으로 큰 영향을 미쳤음을 나타내는 증거다. 칙술루브 소행성이 충돌한 ... ...
우주 극한환경서 살아남은 고세균 화성서 발견될까
연합뉴스
l
2019.03.27
힘을 실어주는 것이라고 했다. 판스메르미아설은 지구상의 원시생명이 다른 천체에서
운석
을 타고 왔다는 것으로 과학자들 사이에서 뜨거운 논쟁거리가 돼왔다. [DLR 제공] DLR은 무엇보다 바이오멕스가 화성 생명체 탐사를 진일보시켰을 뿐만 아니라 우주의 '생명체 지표'로도 활용될 것으로 ... ...
"물, 소행성 기원설 수정될 듯" 美·日 주도 소행성 탐사 첫 분석결과 나란히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19.03.20
겪지 않은
운석
을 의미한다. 연구팀은 “류구가 지름 수백km의 더 커다란 모체
운석
으로부터 떨어져 나왔을 것”이라고 추정했다. 같은 날 미국항공우주국(NASA)는 2016년 발사돼 지난해 12월 소행성 ‘베누’에 도착한 소행성 탐사선 ‘오시리스 렉스’의 첫 탐사 결과를 공개했다. 베누는 지름이 49 ... ...
러·美 사이 베링해 상공서 대형 유성 폭발…100년마다 두세번꼴 희귀사건
동아사이언스
l
2019.03.19
중에서 폭발하며 큰 소리를 내는 것도 있고 공중에서 소실되지 않고 지상에 떨어지는
운석
이 되는 경우도 있다. 이번에 폭발한 불덩어리유성의 충격에너지는 히로시마 원폭의 충격에너지보다 약 10배가 높고 지난 30년간 두번째로 큰 폭발로 기록됐다. 2013년 2월 우랄 산맥 남동쪽 미아스 강 연안에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