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요소
성분
구성분자
요지
요충지
요건
요인
뉴스
"
원소
"(으)로 총 1,157건 검색되었습니다.
차세대디스플레이 소재 '페로브스카이트 LED' 불안정성 해결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7.10
LED의 색 불안정성 원인은 '이온 이동'이다. 할라이드 이온은 불소(F) 등 할로겐
원소
가 전자를 얻어 만들어진 음이온이다. 페로브스카이트 격자 내부에서 통로 역할을 하는 빈 공간인 할라이드 공석(vacancy) 때문에 주변 할라이드 이온이 연쇄적으로 이동하고 이때 청색을 내야 할 이온이 녹색을 내는 ... ...
누리호 타고 우주로 간 韓 자체 개발 원자력전지 장기간 '이상 無'
동아사이언스
l
2024.07.09
물질 사용이 금지됐기 때문이다. 연구팀은 전지 내부에서 전기 히터로 방사성동위
원소
붕괴열과 동일한 열을 발생시켜 전력 생산을 확인했다. 원자력연은 한국 우주 탐사 계획인 달 착륙선에 원자력전지를 탑재해 달 표면에서 전력 생산을 실증한다는 계획이다. 달 자원 추출 등 다른 작업에도 ... ...
'썩은 달걀 냄새' 나는 외계 행성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4.07.09
황을 찾을 계획이다. 푸 연구원은 "황(S)은 더 복잡한 분자를 만드는 데 필수적인
원소
"라며 "행성이 어떻게 만들어지고 무엇으로 구성되는지 이해하기 위해 황을 연구해야 한다"고 말했다. - doi.org/10.1038/s41586-024-07760-y ... ...
몰리브데넘계 지지체로 그린 수소 생산 비용 줄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7.07
수소 발전 스테이션 분야 활용에도 적용할 예정이다. 이 연구원은 “맥신을 구성하는
원소
를 제어해 그린 수소 생산 환경에 적합한 후보군을 찾을 수 있었고 이를 통해 산화 환경에서 안정성 있는 맥신 지지체를 확보했다”면서 “향후 수소 생산 효율과 내구성을 지닌 산소 발생 전극 촉매 개발로 ... ...
우주탐사 에너지원 '원자력전지' 핵심 부품 국산화 착수
동아사이언스
l
2024.07.04
기술 개발을 위한 상호협력협약(MOA)을 체결했다고 4일 밝혔다. 원자력전지는 방사성 동위
원소
가 붕괴할 때 발생하는 열을 활용해 전력을 생산하는 장치다. 태양이나 바람 등 외부 동력원이 필요 없어 우주나 극한 환경에서도 안정적인 에너지원이다. 원자력연도 지난 2022년 미국, 러시아에 이어 세 ... ...
'난자 냉동' 가능시기 정확히 예측할까…난모세포 긴 수명 실마리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4.07.02
연구를 소개했다. 2건의 연구 모두 쥐 먹이에 포함된 탄소와 질소를 특정 시기에만 동위
원소
로 바꾸고 이를 추적해 단백질의 나이를 측정했다. 멜리나 슈흐 독일 막스플랑크 다학제 과학연구소 감수분열학과 교수팀은 생식이 활발한 시기인 8주령 생쥐의 난모세포를 분석해 세포 속 단백질의 약 10 ... ...
[과기원NOW] UNIST, 태풍 강도 예측 정확도 50% 향상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7.02
사이클의 NCM 양극재 주사전자현미경 사진을 합성곱 신경망 기반 AI에 학습시켜 주요
원소
함량과 충·방전 상태를 99.6%의 정확도로 맞추는 방법론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고 2일 밝혔다. 배터리 소재의 성능과 품질을 향상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것으로 기대되는 이번 연구는 국제학술지 ... ...
달 뒷면엔 무엇이?...우주자원 개발 경쟁 심화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24.07.01
구성된다. 이런 헬륨3에 양자 1개와 중성자 1개로 이뤄진 중수소를 핵융합시키면 동위
원소
인 헬륨이 생성되며 양자 1개가 남아 에너지로 바뀐다. 헬륨3 1g은 석탄 40t과 비슷한 에너지를 뿜는다. 헬륨3은 양자컴퓨터의 효율을 획기적으로 높일 것으로도 기대된다. 양자컴퓨터 온도를 영하 273.1도로 ... ...
쉬지 않고 아프리카서 남미까지 4184km 이동한 나비
동아사이언스
l
2024.06.26
식물을 먹으면 이 식물이 갖고 있던 지역 특유의 동위
원소
분포를 갖게 된다. 나비의 동위
원소
를 조사해 이들이 서유럽, 북아프리카, 서아프리카에서 태어났다는 점을 밝혔다. 연구팀은 아프리카에서 아메리카 대륙으로 부는 바람이 이들의 이동을 도왔을 것이라고 추측했다. 탈라베라 ... ...
최재경 전 원장도 해외로…석학 떠나는 고등과학원 "2년 간 3명 더 남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6.26
암흑에너지가 아인슈타인의 우주상수가 아니라 시간에 따라 크기가 달라질 수 있는 '제5
원소
'라는 획기적인 주장을 펼쳐 전세계 학계의 주목을 받았다. 우주상수가 암흑에너지라는 그동안의 우주론 패러다임을 넘어서는 내용이었다. 자신의 이론을 한창 검증 중인 박 교수는 "내년은 연구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