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설
원리
주의
체계
설
원론
견해
뉴스
"
이론
"(으)로 총 2,840건 검색되었습니다.
국내 첫 127큐비트급 IBM 양자컴, 연세대에 설치
동아사이언스
l
2024.11.20
할 때 40~50큐비트 수준은 결과가 (기존 고전컴퓨터와) 비슷하다"며 "100큐비트가 넘으면
이론
적으로는 슈퍼컴퓨터가 따라올 수 없다"고 설명했다. 현재 양자컴퓨터는 연산 오류를 정정하기 어려워 연산을 반복 수행하면 불확실성이 커진다는 점이 해결 과제다. 표 상무는 "작년에 오류 완화에 대한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내년 3월 도입 AI디지털교과서, 미완성 기술에 교육 맡기나
2024.11.20
흉내 내는 '대규모 디지털 표절 기계'에 불과한 것이다. 생성형 문법에 대한 언어학
이론
을 정립한 세계적인 언어학자 노엄 촘스키의 준엄한 평가다. 실제로 생성형 AI가 활용하는 '대형 언어 모델'(LLM)은 사실·진위·선악을 판단하지 못한다. 기계 학습에서 활용한 인터넷 자료를 통계학적으로 ... ...
한국 슈퍼컴 보유대수 세계 8위…성능 1위는 美 '엘 캐피탄'
동아사이언스
l
2024.11.20
'SSC-21'가 뒤를 이었다. KISTI의 국가 플래그십 슈퍼컴퓨터 5호기 '누리온'은
이론
성능 25.7페타플롭스(PFlops), 실측성능 13.9PFlops로 92위를 기록했다. KISTI는 2025년 슈퍼컴퓨터 6호기 도입 절차를 거쳐 2026년 상반기 서비스 개시를 목표하고 있다. 이식 KISTI 국가슈퍼컴퓨팅본부장은 “국가 ... ...
마라톤 완주 도전하는 해변 달리던 사족보행 로봇 '라이보'
동아사이언스
l
2024.11.15
그동안 보행 로봇의 주행거리는 대부분 실험실 내 통제된 환경에서 측정되거나
이론
상의 수치에 그쳤다. 이번 도전은 실제 도심 환경에서 일반인들과 함께 달리며 기록을 측정하게 된다. 사족보행 로봇의 실용화 가능성을 실제 환경에서 검증하는 첫 시도가 될 전망이다. 사족보행 로봇은 얼음, ... ...
신개념 이차전지 설계로 에너지밀도 20% 높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1.12
폴리비닐알코올 고분자 바인더를 활용했다. 이 고분자가 계면 안정성을 높일 수 있음을
이론
적으로 검증했다. 새롭게 제시된 전극 구조는 기존과 달리 전해질이 원활하게 통과할 수 있다. 신규 전극을 다층으로 쌓아올린 새로운 형태의 전지 설계가 가능하다. 연구진은 이 구조를 사용하면 기존 ... ...
달 헬륨-3 사전 주문 착수...달 자원경제 시작됐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1.11
수 있다. 특히 미래 청정 에너지원으로 주목받는 핵융합 발전 효율을 기존 30% 미만에서
이론
적으로 70%까지 끌어올릴 것으로 기대된다. 현재 가동 중인 상용 대형 원전과 유사한 연간 1000MW(메가와트)의 발전량에 필요한 헬륨-3는 연간 약 100kg이라는 계산이다. 원전에서는 1기당 우라늄이 연간 ... ...
세상에서 가장 재미있는 과학 시상식…2024 이그노벨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24.11.09
거예요. 연구팀은 공중에 던진 동전이 완벽하게 돌지 않고 약간 비틀리면서 돌아서
이론
적인 확률에 딱 떨어지지 않는 것으로 추정했습니다. 바르토시는 "이 연구가 일상에 특별히 변화를 불러오진 않을 것"이라면서도 "미세한 물리 법칙이 우리에게 영향을 미친다는사실을 보여준다"고 ... ...
중국보다 앞선 1만5000년 전 한반도에서 세계 최초로 벼농사를?
2024.11.09
것까지 분포한다. 필자가 본 것은 낟알 탈립성의 관점에서는 중간쯤일 것이다. 주류
이론
에 따르면 앵미 역시 3500년 전 한반도에 벼가 들어올 때 딸려왔을 것이다. 과연 그럴까. 조 교수는 한반도 재래종과 잡초벼를 주목하고 있다. 여기서 보이는 놀라운 다양성은 3500년 전 중국에서 온 벼에서 기원한 ... ...
배고픔·식욕 등 인간 본능 수식으로 표현한 AI
동아사이언스
l
2024.11.08
성균관대 연구팀이 앞서 개발한 컴퓨터 모델링을 활용해 서울대 연구팀은 새로운 항상성
이론
을 수식으로 표현하는 데 성공했다. 연구팀은 해당 수식을 통해 시상하부 AgRP 신경은 배고픔이라는 본능을 만들어내고 LH LepR 신경은 식욕을 만들어낸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는 AI를 활용해 신경들의 ... ...
이론
한계보다 '먹성' 40배 좋은 초기 우주 블랙홀 첫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4.11.08
수 있는 이유를 설명할 방법 중 하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현재 블랙홀
이론
에 따르면 별이나 가스 구름의 붕괴로 생긴 작은 블랙홀 '씨앗'이 초대질량 블랙홀로 커질 것으로 예측하고 있지만 관측으로는 확인된 바 없다. 서 연구원은 "블랙홀 씨앗이 가볍든 무겁든 한 번의 '식사'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