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억제
통제
콘트롤
처리
조작
조치
자제
뉴스
"
제어
"(으)로 총 2,563건 검색되었습니다.
[동물do감] 박쥐를 '무적'으로 만든 비행
동아사이언스
l
2025.01.31
이라고 말했다. 연구팀은 유전체 시퀀싱 대상이었던 10종의 박쥐가 코로나바이러스를
제어
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유전자 'ISG'의 변형을 갖고 있다는 점을 밝히기도 했다. 인간의 면역 체계에 도움을 주는 약물을 만드는 데 실마리를 제공할 수 있는 결과다. -https://doi.org/10.1 ... ...
[인사] 한국원자력연구원
동아사이언스
l
2025.01.31
▽부장 △이정한 기기안전진단연구부장 △구서룡 선진계측
제어
연구부장 △고광훈 양자광학연구부장 △권혁 경수형SMR원자로기술개발부장 △유승엽 경수형SMR계통기술개발부장 △박기용 다목적소형연구로시운전부장 △이제환 4세대원자로기술개발부장 △김찬수 고온원자로개발부장 △지성훈 ... ...
中 딥시크, 과학계 활용도 유망…연구자 입맛 따라 개조
동아사이언스
l
2025.01.31
LLM과 달리 자체 로컬 시스템으로 모델을 구축해 사용하면 과학자들이 자신의 데이터를
제어
하기 용이하고 연구에 쓰이는 개인정보 보호 측면에서도 장점이 있다. 특히 의료 연구와 같이 민감한 개인 데이터를 다룰 때 유리하다는 분석이다. 수바오 캄밤파티 미국 애리조나주립대 교수는 딥시크-R1이 ... ...
SMR보다 더 작은 '마이크로원자로' 온다…"극한환경에서 전력 생산"
동아사이언스
l
2025.01.28
지난달 미국 원자력 규제 위원회(NRC)로부터 5메가와트(㎿) 이빈치를 원격 운영할 수 있는
제어
시스템에 대한 승인을 받았다. NRC 승인을 받은 미국 최초의 마이크로 원자로다. 마이크로 원자로를 SMR의 하나로 분류하기도 하지만 통상적으로 SMR보다 원자로 크기가 작은 초소형 원자로다. SMR은 30 ... ...
염증에 관여하는 단백질 발견…암 신약 개발 단서
동아사이언스
l
2025.01.23
염증과 종양 악성화를
제어
할 새로운 치료 표적을 제시했다”며 “대식세포 내 TAZ를
제어
함으로써 만성 염증성 질환과 암 치료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doi.org/10.1126/sciadv.adq239 ... ...
저압에서도 안전한 고체수소 저장 시스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1.23
따른다. 연구팀은 수소저장합금의 수소 흡·방출 압력을 사용처에 따라 정밀하게
제어
하는 방식으로 최적의 합금 성분계를 설계하는 플랫폼 기술을 개발했다. 개발한 기술을 통해 설계된 합금은 10기압 이하의 저압에서도 별도의 압축이나 냉각 없이 상온에서 수소를 저장하는 데 적합했다. ... ...
박테리아와 상호작용 활용해 유해 미세조류 독성 억제
동아사이언스
l
2025.01.23
독성을 제거했지만 환경오염 문제가 있었다. 이번 연구성과로 친환경적 독소
제어
기술이 나올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팀은 자연 생태계에서 빈번하게 발생하는 미세조류인 퍼시피컴과 박테리아 자나스키아 시스타우젠스(이하 시스타우젠스) 간의 상호작용을 심층 분석했다. 시스타우젠스의 ... ...
구부리고 늘리는 '스트레처블 기판' 왜곡 크게 줄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1.23
공중합체나 고분자 필름에도 적용 가능하다. 손 센터장은 ”나노구조를 정밀하게
제어
해 왜곡이 없으면서도 완전하게 투명한 스트레처블 기판을 개발하는 새로운 방식을 제안했다“며 ”이를 구현하기 위한 전단압연 기술은 대량생산과 산업화에 쉽게 적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 ...
우주청, 누리호·차세대발사체 2986억 투자…R&D에 총 8064억 투입
동아사이언스
l
2025.01.22
투자해 독자개발 중인 달 착륙선의 탑재체를 선정하고 달 착륙선용 추진기술 및 항법
제어
등 핵심기술 국산화를 본격적으로 추진한다. 20억원을 들여 국제 거대전파망원경 건설 프로젝트에 참여해 관측데이터 처리· 분석기술 확보를 위한 연구개발체계를 구축한다. 항공 분야에서는 드론 통신 ... ...
18회 아산의학상에 칼 다이서로스·안명주 교수
동아사이언스
l
2025.01.21
있는 청색광단백질 ‘채널로돕신’을 생쥐의 신경세포에 이식한 뒤 빛을 이용해 행동을
제어
하는 데 성공한 연구 결과를 2005년 국제학술지 ‘네이처 뉴로사이언스’에 발표했다. 2007년에는 빛을 이용해 신경계 구성 세포인 뉴런을 활성화하거나 억제할 수 있음을 입증하고 2010년에는 대뇌 피질에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