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문
천공
하늘
창공
태양
해
햇빛
뉴스
"
천체
"(으)로 총 1,290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이언스게시판] 국립어린이과학관, 시각장애아동 및 소외계층아동 초청 '별밤음악회' 개최
동아사이언스
l
2024.05.19
제공 ■ 국립어린이과학관은 18일 시각장애아동과 지역 소외계층아동을 초청해
천체
투영관에서 '별밤음악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별밤음악회는 평소 과학문화 사각지대에 놓인 시각장애 아동과 소외계층 아동을 위해 마련된 자리로 총 100여 명의 어린이와 보호자가 참석했다. 별자리 해설 ... ...
빛을 들여다 보면 별이 보인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4.05.18
가지고 있는지를 자세히 알려줍니다. 천문학자에게는 그 어떤 멋진 우주의 사진보다도
천체
스펙트럼 그래프가 훨씬 귀하답니다. NASA 제공 이런 스펙트럼을 한 번에 많이 관측할 수 있는 K-SPEC 프로젝트는 아직 진행 중입니다. 관측기기 개발이 다 끝나진 않았지만 곧 개발을 끝내고 우리나라의 ... ...
'삼체' 문제 풀다 NASA 탐사선 궤도 계산하는 한국 연구원
동아사이언스
l
2024.05.17
계산하는 핵심 역할을 맡았다. NASA는 고 연구원의 오랜 꿈이었다. 그는 "어렸을 때부터
천체
관측회, 과학캠프에 다니면서 목성과 토성을 자주 관측했다"면서 "그때부터 목성에 닿기를 간절히 원했다"고 말했다. 우주공학을 언젠가 연구하겠다는 생각으로 한국에서 아주대를 다닐 때 전공으로 ... ...
세계 최초 달 뒷면 탐사 中 창어 6호, 달 궤도 진입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4.05.08
달 근접 제동은 창어 6호 탐사선이 달 주위를 비행하면서 브레이크를 걸어서 달이
천체
중력을 이겨내고 멀어질 수 있는 속력보다 낮은 속도가 되게 하는 단계다. 이를 통해 탐사선은 달 인력에 따라 달 주위를 비행한다. CCTV는 앞으로 창어 6호가 통신중계위성 ‘췌차오 2호’의 도움을 받아 달 ... ...
[사이언스게시판] 어린이날이 심심한 어른이들 모여라 ‘현생탈출 넘버원’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4.23
'별의 일생', 우주먼지가 되어 보는 '멍상타임' 등의 체험으로 구성됐다. 마지막 순서는
천체
관 돔 영상과 함께 밴드 방구석프로뮤즈의 '낮별낮술 라이브'로 마무리된다. 참가대상은 19~34세 성인 100명으로 신청은 4월 22일부터 5월 1일까지 선착순이다. 프로그램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국립중앙과학관 ... ...
[화보] 올해 최고의
천체
사진은 태양의 '민낯'
동아사이언스
l
2024.04.22
천문연 제공 ● [심우주 부문] 금상 '스윗한 하트 성운'. 박정원 씨. 사랑하는 이에게 바칠
천체
사진을 찍기 위해 하트성운을 선택했다. 스윗한 하트가 되도록 붉은색을 강조한 작품이다. 천문연 제공 ● [심우주 부문] 은상 한건희 씨의 '매운맛 우주 스파게티'. 접시에 담겨있는 매운맛 스파게티 면발 ... ...
"목성의 달 이오의 화산활동 45억7천만년 전 시작됐다"
연합뉴스
l
2024.04.19
제공 태양계에서 화산 활동이 매우 활발한
천체
중 하나인 목성의 위성 이오(Io)가 형성 초기인 45억7천만 년 전부터 현재 수준의 화산 활동을 유지하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캘리포니아공대(Caltech) 캐서린 드 클리어 교수팀은 19일 과학 저널 사이언스(Science)에서 이오의 희박한 대기 중 ... ...
'빅뱅이론'이 흔들린다...기존 우주론 위협하는 연구들
동아사이언스
l
2024.04.19
일치하지 않는다는 관측 결과를 공유했다. 이 밖에도 지름이 13억 광년이나 되는 거대
천체
'빅 링' 등 기존 우주론으로 설명하기 어려운 관측 결과에 대한 토론이 이번 회의에서 진행됐다. 한국천문연구원(KASI)이 참여한 국제공동 프로젝트인 '암흑에너지 관측 프로젝트(DESI)' 연구팀도 최근 1년치 ... ...
우주론·빅뱅이론 유효기한 끝났다?…의문 제기하는 천문학자들
동아사이언스
l
2024.04.15
"이론적 근거는 유효 기간이 지났다"고 덧붙였다. 웬디 프리먼 미국 시카고대 천문학 및
천체
물리학부 교수는 "표준 모델이 어디서 무너지는지에 대한 탐구가 필요하다"며 "시간의 시험을 견딜 수 있는 것은 없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최근 한국천문연구원(KASI)이 참여한 국제공동 프로젝트인 ... ...
암흑에너지 규명 위해 1년간 데이터 모아보니 "기존 우주론 맞나"
동아사이언스
l
2024.04.15
존재하는 거대질량 블랙홀에 의해 막대한 에너지를 전파 영역에서 발생시키는 매우 밝은
천체
다. 연구팀은 전체 우주의 팽창 역사를 오차 범위 0.5%로 측정했다. 지금으로부터 80~110억년 전 사이의 초기 우주의 역사는 1% 오차 이내로 정확하게 측정해 지도로 만들어졌다. DESI 연구팀은 추가 데이터를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