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안테나
더듬이
공중
안테너
말더듬이
뿔
촉수
뉴스
"
촉각
"(으)로 총 330건 검색되었습니다.
백신 안통하는 오미크론 변이...새해 코로나 바이러스 진화 방향은
동아사이언스
l
2021.12.24
자리잡고 있다. 과학자들은 코로나19 바이러스가 다음 번에는 어떤 방향으로 진화할지
촉각
을 곤두세우고 있다. 오미크론 변이가 발견된 초기만 해도 전파력이 기존 변이보다 크지만 독성이 낮아 감염돼도 중증으로 진행될 확률이 낮을 것으로 평가됐다. 중증도가 점점 낮아지는 방향으로 ... ...
18kg 들고 계란 집고 핀셋으로 작은 칩 옮기는 로봇손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2.16
자유도를 높이기 위해 새로운 병렬과 직렬 매커니즘 기술을 접목했다. 그런 다음 여기에
촉각
센서의 결합 기술을 적용해 새로운 매커니즘을 만들어 냈다. 연구팀은 “손가락 크기의 좁은 공간에서 손가락의 가장 안쪽 관절에서의 두 방향 움직임과 중간 관절의 한 방향 움직임을 구현하는 것은 ... ...
오미크론 변이 확산 각국
촉각
…과학자들 백신 작동·중증 환자 유발 여부에 ‘
촉각
’
동아사이언스
l
2021.11.29
방역에 어려움을 가중시키는 중증 환자를 오미크론이 얼마나 유발하는지에 대해
촉각
을 곤두세우고 있다. 28일(현지시간) 뉴욕타임즈 등 주요 외신에 따르면 오미크론은 기존 델타 변이바이러스(인도 변이)보다 전파력이 더 세고 백신의 면역 반응을 회피할 가능성이 더 큰 것으로 알려졌다. ... ...
코로나19 위중증 500명대·사망자 8일만에 다시 30명…신규확진 3120명
동아사이언스
l
2021.11.21
벗어나지는 않고 있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위중증 환자가 예상보다 다소 빠르게 늘면서
촉각
을 곤두세우고 있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21일 0시까지 코로나19 확진자가 전날보다 3120명이 늘어 누적 확진자 수는 41만 5425명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이달 1일 단계적 일상회복안이 적용된 이후 신규 ... ...
[강석기의 과학카페]새는 고추의 매운맛 못느낀다
2021.10.26
캡사이신이 TRPV1을 건드린 결과이니 말이 된다. 2021년 노벨생리의학상은 온도수용체와
촉각
수용체를 발견한 과학자들에게 돌아갔다. 노벨위원회 제공 ○ 고추가 새를 선택한 것 그런데 고추는 왜 캡사이신을 만들어 우리의 온도(통증)수용체를 자극할까. 이 질문에 대해 진화론자들은 그럴듯한 ... ...
[생중계] 누리호 발사 현장(오후 5시)
동아사이언스
l
2021.10.21
기상 상태와 우주 물체 등 상황에 따라 시간이 일부 조정될 수 있어 실제 발사 시간에
촉각
이 쏠리고 있다. 모든 조건에 부합하는 발사 시간을 우주로 향하는 창문이 열리는 시간이라는 뜻에서 ‘발사 윈도’라 부른다. 앞서 누리호는 20일 오전 전남 고흥 나로우주센터의 조립동을 떠나 발사대로 ... ...
21일 우주를 향한 하늘문이 열린다…누리호 최종 발사시간 오후 2시30분 결정될 듯
2021.10.21
기상 상태와 우주 물체 등 상황에 따라 시간이 일부 조정될 수 있어 실제 발사 시간에
촉각
이 쏠리고 있다. 정확한 발사 시간은 이날 오후 2시 30분에 최종 결정될 예정이다. 모든 조건에 부합하는 발사 시간을 우주로 향하는 창문이 열리는 시간이라는 뜻에서 ‘발사 윈도’라 부른다. 앞서 누리호는 ... ...
[주말N수학]보이고, 들리며 손끝에 느껴지는 수학을 기획하는 사람들
2021.10.16
대중화를 위한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로 꼽힙니다. 인간은 시각, 청각, 후각, 미각,
촉각
의 오감으로 대표되는 다양한 감각을 갖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런 감각들을 통해 새로운 정보를 체험하고 학습하게 되죠. 반면 수학은 추상적인 과정을 거쳐 본질을 꿰뚫는 학문입니다. 이런 수학의 본질은 ... ...
[이덕환의 과학세상]노벨상에 대한 사회적 관심
2021.10.13
수용체가 뇌에 전달해주는 신호는 사실 42도 이상의 뜨거움을 느끼도록 해주는
촉각
신호였다. 매운맛은 혀의 미뢰(taste bud)가 아니라 구강세포를 통해서 느끼는 통증이라는 뜻이다. 파타푸티언 교수는 뾰족한 바늘이 가하는 기계적인 힘이 활성화하는 이온 채널과 그 유전자 후보를 찾아냈다. ... ...
[2021노벨상]벽 허문 지구과학·박해 피한 이민자 수상자들…올해도 드라마는 있었다
2021.10.08
발견한 성과가 받은 데 이어 이번엔
촉각
연구가 선정됐다"며 "오감 중 시각과 후각,
촉각
관련 연구가 순서대로 노벨상을 받았고 청각과 미각이 남았다"고 설명했다. ● 지구과학도 노벨물리학상 진입 2021 노벨물리학상을 수상한 마나베 슈쿠로 미국 프린스턴대 교수. BBVA재단 제공 올해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