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념
체념
자포자기
기권
추방
공공연히 버리기
절망
뉴스
"
포기
"(으)로 총 1,148건 검색되었습니다.
[이덕환의 과학세상] 지나치게 파격적인 의대 증원
2024.02.14
지켜보기만 하지 않을 모양새다. 최상위권 대학의 이공계열의 재학생이 학업을
포기
하고 의대로 빠져나간 빈자리를 채우기 위한 학생들의 대규모 연쇄 이동도 불가피해진다. ‘SKY서성한’과 ‘의치한약수’의 편입학 광풍이 대학 사회를 뒤흔들 것이다. 이제 이공계 대학은 신입생은 물론 ... ...
예산 늘렸다는 국가전략기술 R&D…80% 삭감된 사업도 다수
동아사이언스
l
2024.01.29
초소형위성 사업화를 지원하는 '스페이스이노베이션' 사업은 80.6%가 삭감되면서 중도
포기
절차를 밟게 됐다. 혁신적 우주분야 기술을 선제적으로 개발하는 다학제 연구로 추진됐던 '스페이스챌린지사업'도 68.8% 깎였다. 이 외에 '우주개발 기반조성 및 성과확산사업'과 '우주산업특화 SW핵심기술 ... ...
"예산 깎고 1주일 만에
포기
여부 정해라"…난리 난 R&D현장
동아사이언스
l
2024.01.23
아울러 과기정통부는 연구비 감액으로 계속 과제 중단을 희망하면 정당한 사유의 수행
포기
로 인정하고 참여 제한 없이 올해 새 과제 신청 기회를 준다는 방침이다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무분별한 불소 거부증 극복해야
2024.01.17
전락해 버렸다. 치과의사협회도 손을 놓아버렸다. 그렇다고 충치 예방 노력을
포기
할 수는 없다. 물론 상황 변화도 고려해야 한다. 오늘날 수돗물을 식수로 사용하는 인구가 크게 즐어든 것은 사실이다. 불소를 첨가한 생수를 개발하는 시도가 필요할 수도 있다. 무엇보다 보건복지부와 ... ...
열 손가락 지문 다 다르다는 상식 깨질까...AI가 유사성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4.01.15
감지하는 것을 불가능하다”며 거절 이유를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하지만 연구팀은
포기
하지 않고 자체 설계한 AI 시스템에 더 많은 지문 데이터를 입력하고 판별시키는 방식으로 시스템을 학습시키고 개선했다. 그런 뒤 연구결과를 보완하고 과학수사와 무관한 학술지에 제출했지만 또다시 승인 ... ...
“청년 과학자 창업, 버티고 부딪히면 기회 찾아와”
동아사이언스
l
2023.12.15
하지만 ‘끝까지 버티는 굳은 심지’가 결국 기회로 이어진다고 설명했다. 김 대표는 “
포기
하지 않고 길게 보고 가면 기회는 온다”며 “내 팁을 하나 얘기하자면 나는 돈 얘기를 절대 하지 않는다. 프로젝트의 가치, 협업에 의미를 두면 믿어주고 기회를 주는 일이 생긴다. 창업은 맨땅에 헤딩으로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예견된 중국발 요소 부족 사태…농업용 비료 걱정해야
2023.12.06
값싼 중국산 요소가 등장하면서 경제성을 상실한 탓에 2012년부터는 요소 생산을 완전히
포기
해 버렸다. 우리가 값싼 중국산 요소를 안정적으로 공급 받을 수 있을 것이라는 안이한 신자유주의적 인식으로 결정한 일이었다. 국제 무역 관행을 통째로 무시해버리는 중국 정부의 횡포로 값싼 중국산 ... ...
[나는1저자다] ⑦"30대는 불안·초조하다…연구성과엔 시간 더 줬으면"
동아사이언스
l
2023.12.05
걸 추천한다. 나를 가르쳤던 지도 교수님은 '과정'을 중시했다. 하나를 시작했으면 중도
포기
하지 말고 끝까지 해보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내가 누군가의 선배 연구자가 된다면 성과보다 과정을 더 중요하게 여기고 학생들을 인간적으로 대해주는 연구자가 되고싶다 ... ...
광부의 솔직함, 비아그라 폐기 막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3.12.03
말했다. 비아그라는 협심증 치료제로 유망하지 않았다. 화이자는 1993년 개발을 거의
포기
하는 단계에 이르렀으며, 마지막 시도로 비아그라 투여량을 늘리는 임상연구를 진행했다. 투여 용량이 늘어나면 협심증에서 충분한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이란 가정 하에 영국 웨일스 동남부 도시인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물리학은 생명을 이해할 수 있을까
2023.11.29
는 8이다. 네이처 제공 책에서 위의 구절을 읽다가 문득 ‘이 사람 얼마 전 좀 읽다가
포기
한 논문의 저자 아닐까’라는 생각이 들었다. ‘주어진 분자를 만들어내는 데 필요한 단계의 수’가 논문에 나오는 조립지수(assembly index)의 정의였던 것 같다. 찾아보니 10월 12일자 ‘네이처’에 실린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