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푸른곰팡이
푸른곰
팡이
곰팡이
곰팽이
초록
녹색
뉴스
"
푸른
"(으)로 총 384건 검색되었습니다.
목성의 오로라가 특별한 이유
과학동아
l
2021.05.06
지구 극지방과 달리 오로라가 밝게 빛나는 목성 극지방의 모습. NASA 제공
푸른
빛이 쉴 새 없이 반짝이는 목성의 오로라는 지구의 오로라와는 또 다른 신비로움을 연출한다. 목성의 극지에 이런 독특한 오로라가 만들어지는 이유는 미스터리로 남아있었다. 중국 홍콩대, 미국 알래스카 ... ...
[인간 행동의 진화] 인간은 어떤 곳에 살고 싶어하는가
2021.03.20
다양한 풍경을 보여주고 어디에 살고 싶은지 물었더니, 많은 이가 사바나를 골랐다. ‘저
푸른
초원 위에 그림 같은 집을 짓고 사랑하는 우리 님과’ 살고 싶은 원시적 이상향이라는 것이다. 젖과 꿀이 흐르는 낙토다. 안전한 은신처 하지만 인간은 정말 사바나의 환경을 좋아할까? 골프장의 ... ...
[IBS 코로나19 리포트 시즌2] 자연에서 발견한 코로나19 치료 후보물질
2021.03.09
아스피린은 버드나무 껍질에서 추출한 살리실산(salicylic acid)에서, 페니실린은
푸른
곰팡이에서 탄생했다. 비교적 최근에는 중국의 투 유유 교수가 전통약재인 개똥숙에서 말라리아 치료제 ‘아르테미시닌’을 찾아낸 사례가 있다. 투 유유 교수는 말라리아 퇴치에 크게 기여한 공로로 2015년 ... ...
[소재의 미래_마지막 이야기]"소재 혁명은 학문의 경계서 시작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2.17
올린다. 하지만 사진에 담긴 풍경은 눈으로 보는 것과 다를 때가 있다. 녹색 나뭇잎과
푸른
하늘은 어딘지 모르게 노르스름하고 사진 곳곳에 잔상이 생길 때도 있다. 보통 사람들은 ‘고수는 장비 탓을 하지 않는다’는 격언을 떠올리며 자신의 실력을 탓하지만 이 경우만큼은 정말 ‘장비 탓’일 ... ...
[소재의 미래]⑿ 눈에 보이지 않는 원자 세계에서 연금술 같은 소재혁명이 시작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2.03
원자 성질이 달라진다. 예를 들어 금은 노란색에 가깝다. 하지만 미세한 가루로 만들수록
푸른
색과 붉은 색으로 바뀐다. 색깔 뿐 아니라 전기 전도도 등 여러 특징도 변하게 된다. 아직까지 원자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다. 최 교수는 “어떤 원자에서 전자를 빼버리면 물질의 종류가 바뀌어 ... ...
생태사진에 도전하는 초보를 위한 4가지 기초상식
어린이과학동아
l
2020.12.19
달라집니다. 색온도란 여러 색의 빛을 수치로 나타낸 것으로, 붉은 빛일수록 낮고,
푸른
빛일수록 높습니다. 카메라에는 색온도를 쉽게 조절하기 위해 화이트 밸런스 기능이 있습니다. 화이트밸런스 기능은 해당 모드에서 찍힌 사진의 색감을 보정해 주는 역할을 하며, 보통 자연광, 그늘, ... ...
"체르노빌 피해 과소평가…다음 재난 대비 못하게 만들어"
연합뉴스
l
2020.11.27
역사학자인 케이트 브라운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교수는 '체르노빌 생존 지침서'(
푸른
역사)에서 체르노빌 사고 피해에 대한 과소평가가 2011년 일본 후쿠시마 원전 폭발 사고 등을 대비하지 못 하게 했다고 지적한다. 저자는 "체르노빌 참사는 얼마나 광범위한 국가와 국제기구들이 그들이 ... ...
[화보]해바라기를 이불 삼은 이구아나
동아사이언스
l
2020.11.16
푸른
바닷속을 유유히 헤엄치고 있는 바다거북의 모습이다. 바다거북 외에는 깊고
푸른
바다밖에 없다. 사진작가인 마키와 매트는 "물이 너무 맑고 거북이도 너무 많았고 조명도 완벽했고 주변엔 아무도 없었다"며 "발이 물집과 출혈로 가득찼고 강한 조류와 싸우고 있었지만 바다의 아름다움엔 ... ...
[표지로 읽는 과학] 소행성 ‘베누’의 시료를 기다리는 3개의 연구
동아사이언스
l
2020.11.08
사실은 베누가 큰 소행성에서 떨어져나왔다는 사실을 뒷받침한다고 덧붙였다. 오른쪽
푸른
영역은 풍화 작용에 관한 연구다. 풍화작용이 일어난 달 표면을 적외선 이미지로 촬영하면 붉고 어둡게 나타난다. 그런데 베누처럼 물과 유기물질로 이뤄진 소행성에서는 풍화작용이 표면을 어떻게 ... ...
QLED 디스플레이 난제 '청색광 퀀텀닷' 왜 만들기 어렵나
동아사이언스
l
2020.10.19
내년부터 양산할 계획인 QLED 디스플레이도
푸른
색 OLED를 광원으로 하고 앞에
푸른
빛을 받아 적색과 녹색을 내는 퀀텀닷 필름을 배치하는 방식이다. 연구진은 외부 빛이 아닌 전기가 가해지면 스스로 빛을 내는 광원인 퀀텀닷 개발에 착수해 지난해 효율과 안정성을 높인 적색광과 녹색광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