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필림
감광막
영화
유제
네거티브필름
네거티브
내가티브
뉴스
"
필름
"(으)로 총 517건 검색되었습니다.
[과기원은 지금] KAIST, 엑스선 현미경 해상도 한계 극복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4.13
해상도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원천 기술 개발에 성공했다고 12일 밝혔다. 얇은 텅스텐
필름
에 수많은 구멍을 뚫은 형태로 만든 엑스선 렌즈를 제안해 입사되는 엑스선을 회절시켜 만든 무작위 회절 패턴 속에 시료의 고해상도 정보가 들어있음을 수학적으로 규명했다. 실제 시료 정보를 추출해 ... ...
1kg에 200원 황 폐기물, 적외선 투과 렌즈 소재로 거듭났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4.12
기계적 강성를 나타냈다. 개발된 신소재를 몰드에 넣어 고온에서 압축 성형하자 깨끗한
필름
을 얻을 수 있었다. 사용 중 부서진 소재도 동일 공정을 통해 원래의 상태로 되돌려 재활용하는 것이 가능했다. 이영국 화학연 원장은 “이번 연구를 통해 개발한 값싼 황 폐기물로부터 고부가가치 고 황 ... ...
[프리미엄 리포트] 풍선에 매달린 기상관측·우주과학
2023.04.08
연구를 주도한 적 있는 이관중 서울대 항공우주공학과 교수는 “고어라고 부르는
필름
조각을 열로 가해 한 장씩 붙여야 하는데 NASA에 방문했을 당시 수십 년 동안 그 일을 담당한 직원들의 숙련도가 인상 깊었다”고 말하기도 했다. 폴리에틸렌으로 만든 대형 과학기구는 대부분 재활용된다. ... ...
밤눈 어두워졌다면 서서히 시력 잃는 ‘망막색소변성증’ 의심
동아사이언스
l
2023.03.24
병이다. 녹내장, 당뇨변성망막증과 함께 3대 후천성 실명 원인으로 꼽힌다. 사진기의
필름
과 같은 역할을 하는 망막은 눈으로 들어온 빛을 전기신호로 바꿔 뇌로 전달하는데 망막색소변성증은 이 망막에 색소가 쌓이면서 망막의 기능이 소실되는 유전성 희귀난치성질환이다. 전세계적으로 5000명 ... ...
'부드러운 광결정 로봇'으로 인체에 유해한 메탄올 검출
동아사이언스
l
2023.02.15
맡겨두는 방식을 선택했다. 유연하지만 팽창되는 능력이 서로 다른 두 종류의 고분자
필름
을 사용해 주변 환경에 따라 소프트 로봇이 자연스럽게 원하는 방향으로 굽힘, 접힘, 비틀림과 같은 움직임을 갖도록 했다. 또한 나비와 같은 곤충에게서 볼 수 있는 나선형 나노 구조를 소프트 로봇에 ... ...
체액만으로 우울증·파킨슨병 진단...신경전달물질 측정센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2.14
선택적으로 흡착될 수 있는 다공성 재료인 '전도성 금속 유기 구조체(MOF)'를
필름
형태로 제작해 현장형 전기신호 센서에 적용했다. 각 신경전달물질들은 크기와 전하세기, 화학결합 친화도가 서로 달라 MOF에 흡착되는 정도가 다른데 이를 활용해 신경전달물질의 종류와 양에 따라 전기신호가 다르게 ... ...
미국이 격추한 중국 풍선 정체는..."폭발물 실렸을 수도"
동아사이언스
l
2023.02.07
m 정도로 추정되는 대형 풍선이다. 비닐봉지에 쓰이는 폴리에틸렌이라는 얇은 플라스틱
필름
이 풍선 재료로 쓰인다. 저렴한 재료다. 재료의 저렴함에 더해 운용비용 역시 저렴하다. 비슷한 역할을 하는 인공위성은 쏘아올리고 유지 보수하는 데 막대한 비용이 들지만 풍선은 운용 비용이 100분의 ... ...
우주식량·인공장기 만드는 3D프린터...우주 개척에 날개 단다
과학동아
l
2023.02.04
표준 FDM 방식(Fused Deposition Modeling, 열가소성 물질을 노즐 안에서 녹여 뽑아낸 뒤 얇은
필름
형태로 적층하는 방식) 3D 프린터만 있으면 비교적 쉽게 제작할 수 있다. FDM은 부품이 인쇄되는 인쇄판과 인쇄 재료 역할을 하는 필라멘트 코일, 압출기로 구성돼 있는 가장 기본적인 방식의 3D 프린터다. 항공 ... ...
부상·질환으로 손상된 성기능 회복 '인공피부'
동아사이언스
l
2023.01.06
활용했다. 폴리아세트산비닐을 분해해 얻는 폴리비닐알코올은 주로 절연
필름
이나 접착제 재료로 사용된다. 이렇게 만들어진 인공백막은 자연백막과 동일한 생체역학적 특성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연 구팀은 돼지를 사용한 동물실험에서 발기기능을 회복시키는 데 성공했다. 정상적인 ... ...
기계·전기·전자 기업들과 '산학협력' 메카로 떠오른 창원대
과학동아
l
2022.12.19
스마트제조융합전공팀이 개발한 ‘미세구조 표면을 이용한 감염성 질병 확산 방지
필름
’은 2022년 11월 한국연구재단 주관으로 열린 ‘2022 산학협력 EXPO’ 학생창업유망팀 300 제품전시회에서 인기상을 차지했다. 이런 연구결과물은 다시 학부생을 가르치는 콘텐츠로 활용할 수 있다. 조영태 교수는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