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u10
a2
ipod
mp3
d20
토스트
mvp-120
뉴스
"
e10
"(으)로 총 729건 검색되었습니다.
[과기원은 지금] 엠비트로, KAIST-NYU 조인트캠퍼스 발전기금 10억 원 기부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5.31
29일 열린 KAIST-(주)엠비트로 KAIST 뉴욕캠퍼스 발전기금 약정식에서 이광형 KAIST 총장과 이영우 엠비트로 대표이사가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KAIST 제공 ■ KAIST는 엠비트로로부터 KAIST의 첫 미국 캠퍼스로 추진 중인 KAIST-NYU 조인트캠퍼스의 공동연구 발전기금 10억 원을 유치했다고 29일 밝혔다. KAIST ... ...
[일상 속 뇌과학] 음식 먹을 때보다 몸에 흡수될 때 행복감 더 느낀다
2023.05.26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인간이 다른 동물들과 마찬가지로 생존을 위해 꼭 필요한 것들은 매우 많겠지만, 가장 기초적이고 원초적인 것들은 수분과 영양분이다. 원시시대부터 지금까지 인간은 생존을 위해 체내 적절한 수분량과 에너지를 유지하기 위하여 물을 마실 수 있거나 먹이가 있는 곳을 탐색 ... ...
엠폭스 확진 2명 늘어 국내 8명...지역사회 감염 추정
동아사이언스
l
2023.04.12
12일 임숙영 중앙방역대책본부 상황총괄단장이 코로나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정례브리핑에서 발언하고 있다. e브리핑 화면 캡처 국내 엠폭스(M두창) 확진 환자가 2명 더 늘어 8명이 됐다. 지난 7일 확진된 국내 6번째 엠폭스 확진자는 역학조사에서 총 36명과 접촉한 것으로 확인됐다. 질병관리 ... ...
멘솔 첨가된 전자담배 액상, 심한 폐 손상 일으켜
동아사이언스
l
2023.04.11
전자담배가 액상을 기화하는 모습.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멘솔 성분이 첨가된 전자담배용 액상은 이 성분이 담기지 않은 액상보다 더 심한 폐 손상을 일으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자 기기를 사용해 액상을 수증기로 만드는 과정에서 보다 많은 독성 미립자가 생성된다는 것이다. 이같은 사실은 인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때로는 자신에게 너그러워야 성장한다
2023.03.25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원래 뭘 모를 때보다 조금씩 알기 시작했을 때 자신감이 흔들리기 시작한다(더닝-크루거 효과). 무엇이든지 초반에는 실력이 느는 것이 보여서 즐거움을 느끼다가 기초를 넘어 심화 과정으로 넘어가게 되면 이전에 비해 실력이 느는 속도가 줄어들고 조금씩 어려움을 겪게 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마침내 밝혀진 냄새수용체 구조
2023.03.22
G 단백질 연결 수용체. 위키피디아 제공 1990년 인간게놈프로젝트가 시작됐을 때만 해도 단백질 지정 유전자 개수가 10만 개는 될 것이라고 봤다. 그런데 작업이 진행되면서 예상값이 점점 줄어들었고 해독 결과 불과 2만 개라는 충격적인 사실이 밝혀졌다. 이에 대해 중요한 건 유전자 개수가 아니라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일 '미루기' 만큼 좋지 않은 '서두르기'
2023.03.18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미루기(procrastination)”도 문제지만 의외로 찬찬히 처리해도 되는 일을 지나치게 빨리 처리해버리는 경향(procrastination) 때문에 피곤하게 사는 사람들도 적지 않다. 한 지인은 이메일이 오면 밤이든 낮이든 주말이든 무조건 답장을 해야 마음이 편하다는 이유로 쉬는 시간 조 ... ...
치료법 없는 루게릭병, 새 원인으로 '면역 단백질' 지목
동아사이언스
l
2023.03.14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운동신경세포만을 선택적으로 파괴하는 루게릭병(ALS)은 발병하면 호흡근이 서서히 마비되면서 결국 수년 내에 사망에 이르는 질환이다. 연간 10만 명당 1~2명에게서 발생한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 루게릭병 환자는 4709명으로 집계됐다. 루게릭병 환자의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타인의 시선에서 생각하기 능력의 중요성
2023.03.11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자신은 수없이 반복한 익숙한 내용이기 때문에 해당 지식을 처음 접한 사람이 겪게 되는 당황스러움과 어려움, 궁금증 등을 잘 이해하지 못하는 상황은 의외로 흔한 모양이다. 일례로 어떤 분야에서 경력과 지식이 많은 사람이 사람들을 잘 가르칠 것 같지만, 의외로 그렇지 ... ...
[프리미엄 리포트] AI·자율주행·암호화폐...미처 몰랐던 탄소 배출
과학동아
l
2023.03.04
과학동아 DB 차도를 지나는 경유차가 내뿜는 잿빛 배기가스, 강 건너 화력발전소 굴뚝에서 나오는 흰 연기, 초원에서 풀을 뜯던 소들이 내뱉는 메탄 섞인 트름. 기후변화의 원인이 되는 ‘온실가스 배출’을 생각할 때 떠올리는 이미지들이다. 과연 온실가스는 여기에서만 배출될까. 최근 디지털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