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잠재력
가망
우발성
실행 가능함
성공 여부
그럴 듯함
서광
스페셜
"
가능성
"(으)로 총 3,803건 검색되었습니다.
[의학사로 보는 세상] 의학이 발전할수록 질병도 발전한다
2023.10.08
큰 도움을 주고 있지만 항상 도움이 되는 것은 아니고 그로 인해 다른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
이 항상 도사리고 있다. 오묘하고 신비한 사람의 몸을 다룰 때는 눈앞에 보이는 문제에 집중할 것이 아니라 항상 넓은 눈으로 사람몸은 물론 그 사람이 속해 있는 환경과 그 환경속에서의 역할까지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뒷담화'의 사회적 순기능
2023.10.07
의지하고 있다는 느낌을 갖게한다. 가십이 일어나는 경우 이미 상당히 친밀한 관계일
가능성
이 높지만 서로 은밀하고 민감한 정보를 교류하면서 점점 더 친해지는 현상이 나타난다. 사람들은 좋아하는 것에 대해 나누면서 친해지기도 하지만 싫어하는 사람에 대한 욕을 하면서 친해지기도 하는 ... ...
[일상 속 뇌과학] 노화성 기억 감퇴 되돌리는 '전기충격기'
2023.10.06
신경과학(Nature Neuroscience)'에 발표한 연구결과(10.1038/s41593-022-01132-3)에 따르면 앞으로 그
가능성
을 점칠 수 있게 되었다. 이 연구에서 밝힌 바에 따르면 비침습적으로 뇌의 특정 부위를 며칠 자극하는 것만으로도 노인들의 기억력이 회복되었고 그 효과가 꽤나 지속되었던 것이다. 이 연구결과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오펜하이머'와 '반중력'
2023.10.04
아름다운 이론을 무너뜨릴 수 있다’고 몇몇 물리학자들은 반물질이 중력을 다르게 느낄
가능성
을 제기했다. 우주론의 표준모형에 따르면 오늘날 우리가 알고 있는 물질과 에너지는 우주의 물질/에너지의 5%에 불과하고 나머지는 실체를 모르는 암흑물질(27%)과 암흑에너지(68%)다. 따라서 반물질과 ... ...
[표지로 읽는 과학] 갈수록 더워지는 지구, 인간의 한계는
동아사이언스
l
2023.10.01
그럼에도 전 세계 대부분 국가에서 기후변화가 임산부에 미칠 수 있는 구체적인 위험
가능성
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뤄지지 않는 실정이라고 왓맨은 설명했다. 이에 따라 임산부가 열 스트레스에 생물학적으로 어떻게 반응하는지, 임신 주수에 따라 태아 건강의 위험성이 어떻게 달라지며 어느 ... ...
[표지로 읽는 과학] AI가 질병 유발 유전자 변이 예측
동아사이언스
l
2023.09.24
정밀도를 90%로 설정했을 때 분석 대상 유전자 변이 중 57%는 무해하고 32%는 질병을 일으킬
가능성
이 있는 것으로 평가했다. 나머지는 영향을 확실하게 파악하지 못했다. 연구팀은 "알파미스센스의 해독법은 인간의 언어와 비슷하다"며 "영어 문장에서 어떤 단어가 다른 단어로 대체됐을 때, 영어에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실천 없는 '무지성' 믿음은 해롭다
2023.09.23
밀어붙이던 일이었기 때문에 옆에서 보기에는 전혀 놀랍지 않았다. 되려 자신이 망할
가능성
은 0이라고 자신했다는 점이 놀라웠다. 세상에 쉬운 일이란 없는데 자기가 하면 다 잘 될 거라는 믿음 하나로 사업을 너무 만만하게 본 것이 큰 패착이었다. 어떤 믿음이 자기실현적 예언이 되려면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완전히 길을 잃어버린 ‘과학기술정책’
2023.09.13
선진국의 넉넉한 연구비조차 제대로 받지 못하고 있는 2류와 3류 연구자들이 모여들
가능성
이 훨씬 더 크다. 남의 연구 성과와 경험을 연구비를 대주고 얻어오겠다는 비겁한 욕심은 일찌감치 버려야 한다. 그런 방법으로는 기술패권 시대에 우리의 생존을 보장해줄 초인류 기술을 확보할 수 없다. ... ...
[일상 속 뇌과학] 내 기억이 내 아이에게 유전될 수 있을까?
2023.08.25
따라서 라마르크가 주장했던 ‘획득 형질의 유전’은 아주 특정한 경우에만 발생할
가능성
이 있으며 이는 후성유전학이라는 새로운 유전자 발현 조절 메커니즘이 생식세포 내에서 작동함으로써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다른 한 편으로는 과연 예쁜꼬마선충이 자손세대에 물려주었던 연합학습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육류 알레르기가 드문 이유
2023.08.23
없었는데 언젠가부터 나타났다면 그 사이 물이 안 좋은 해산물을 먹은 적이 있었을
가능성
이 크다. 음식물의 알레르겐이 장벽을 통과해 들어오면 일련의 과정을 거쳐 이를 표적으로 삼는 면역글로불린E(IgE)가 만들어져 비만세포(mast cell) 표면에 자리한다(위). 그 뒤 알레르겐에 노출되면 이를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