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방사선
방사
복사선
스페셜
"
방사능
"(으)로 총 128건 검색되었습니다.
광물로 움직이는 세상, 우라늄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09.25
이름 붙였다. 중성자 수에 따라 특성이 달라지는 우라늄 동위원소들 우라늄의
방사능
을 발견한 인물은 1896년 프랑스의 물리학자 베크렐이었다. 그는 우라늄이 방출하는 방사선으로 사진 감광 작용, 형광 작용, 기체 이온화 작용을 연구하는 등 최초로 방사 화학의 초석을 다졌다. 1938년에는 ... ...
세계 첫 사용후핵연료 영구 처분시설 ‘온칼로’ 2화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09.25
이유 그런데 왜 10만년 동안이나 사용후핵연료를 보관해야 하는 것일까? 사용후핵연료는
방사능
이 매우 강력하다. 시간이 지날수록 방사선도 줄어들지만 100년이나 1000년 정도 지난 걸로는 사람에게 큰 피해를 준다는 점은 별 차이가 없다. 하지만 10만년이 지나면 자연방사선과 비슷한 수준으로 ... ...
세계 첫 사용후핵연료 영구 처분시설 ‘온칼로’ 1화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09.22
방출하는 물질로 ‘고준위 방사성 폐기물’이다. 전문가들은 사용후핵연료에서
방사능
이 모두 사라질 때까지 30만년이 걸린다고 예상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1978년 고리 원전 1호기 가동을 시작으로 37년 간 원자력발전소를 운영해 왔다. 가동기간이 긴 만큼 사용후핵연료는 우리에게도 시급히 ... ...
우주개발과 원자력 기술의 역사와 오늘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08.18
뉴호라이즌호에 태양전지를 쓸 수 없는 이유다. 특히 원자력전지는 어떤 조건에서도
방사능
물질의 반감기가 될 때까지 수십 년 동안은 안정적으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다만 시간이 지날수록 붕괴된 동위원소의 양이 증가하면서 발생하는 열이 감소해 출력이 떨어지는 단점도 ... ...
생각은 다르지만 방향은 같은 한국, 일본 양국의 원자력계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06.30
원자력 소통이 문제다. 한때 안전에 만전을 기하기 위해 후쿠시마에서 나온 음식물의
방사능
검출치를 100Bq/kg으로 제한한다는 발표가 있었는데, 국제적인 허용기준이 500Bq/kg이었다. 마치 이전에는 위험을 허용했다는 말처럼 들린다. 원자력계의 이런 주장은 비합리적으로 보여서 오히려 대중들이 ... ...
농수산업에도 유용한 방사선의 과학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06.04
점이다. 정확한 측정이 가능한 것도 방사화분석의 장점으로 꼽힌다. 중성자 조사로 생긴
방사능
의 생성, 붕괴 과정이 계산식으로 정확히 표현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한국원자력연구원 자료에 따르면 수 mg 이하의 소량시료로부터도 mg/kg ~ ㎍/kg 수준의 고감도 분석이 가능하다. 덕분에 1936년에 개발된 ... ...
방사선 식품?
방사능
식품?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06.04
처리 식품은 방사선의 이온화 에너지를 이용하여 식품의 보존성을 향상시킨 것이지만
방사능
오염 식품은 방사성 물질이 포함된 오염식품으로 방사선 조사 식품과 완전히 다르다. 방사선 처리하는 식품들은? 방사선 처리를 하는 식품 대부분은 식물성이다. 주 목적 역시 살균, 살충, 발아억제, ... ...
SF에 나타난 원자력 에너지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05.29
코믹스에서 묘사된 방사선의 양은 TV 앞을 지나갈 때 받는 수준에 불과했지만 당시에는
방사능
에 대한 우려로 과장된 작품들이 제법 나왔다. 한편 일본이 낳은 세계적인 로봇 캐릭터인 ‘우주소년 아톰’은 이름에서도 알 수 있다시피 원자력을 동력으로 삼는 로봇이다. 아톰이 처음 탄생한 것은 1 ... ...
원자력으로 자동차를 움직인다?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04.22
움직일 수 있다는 컨셉을 발표해 많은 관심을 받았다. 하지만 원자력 엔진의 소형화 및
방사능
차폐 문제 때문에 실제 개발에 착수되지는 않았다. 이후 노틸러스 핵 추진 잠수함 개발 성공에 고무되어 다양한 원자력 자동차들의 컨셉 모델이 발표되었다. 1957년에는 스투 팩커드사(社)에서 ... ...
영광의 햇살과 바람으로 빚은 ‘국민 명품’ 법성포 굴비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04.17
모른다는 우려가 있었으나 이 역시 대대적으로 이루어진 수산물
방사능
검사에서
방사능
불검출 판정이 이어지며 논란을 불식시켰다. 법성포 부둣가에서 햇볕에 몸을 맡긴 조기들. 방사선량계의 숫자가 인근의 원전이 수산물에 별 영향을 주지 않았음을 보여준다. 0.013μSv 는 대기 중 방사선량과 ... ...
이전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