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병상
스페셜
"
병리
"(으)로 총 119건 검색되었습니다.
[팩트체크] 옥중단식·수사압박으로 알츠하이머병 걸릴 수 있나
동아사이언스
l
2018.08.27
과다 생성되고 정보 전달에 관여하는 타우 단백질의 구조와 기능에 이상이 생긴다’는
병리
학적 원인만 알려져 있다. 따라서 발병 원인을 특정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다만 어떤 사건이나 사고로 큰 충격을 받은 사람이 알츠하이머병에 걸릴 위험이 높다는 사실은 다수의 연구를 통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 치료제 나올까?
2018.05.01
것이다. 이번 시즌은 이제 막 시작했다.” - 하세가와 히데키, 일본 국립감염질환연구소
병리
학자 지난주 질병관리본부는 4월 20일 충남 청양군에서 올해 첫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사망자가 발생했다고 발표했다. 62세 여성으로 13일 발열과 설사 증상이 나타났고 15일 입원해 집중치료를 ... ...
강석기의 과학카페ㅣ똑똑한 사람의 뇌는 뭐가 다를까
2017.11.29
각도에서 사진을 찍은 뒤 240 조각으로 나눠 일부는 자신이 보관하고 나머지는 저명한
병리
학자들에게 보냈다. 이런 사실은 1978년에야 세상에 알려졌다. 1984년 버클리 캘리포니아대의 신경해부학자 매리언 다이아몬드의 수중에 아인슈타인의 뇌 조각 네 점이 들어왔다. 다이아몬드 교수팀은 이를 ... ...
콜레라, 혈액형 O형이라면 특히 조심해야
2016.09.07
처음에 그녀는 그를 거의 못 알아볼 뻔했다. 단 몇 시간 만에 그가 완전히 다른 사람처럼 보이다니 상상조차 힘든 일이었다. 그는 심지어 사람처럼 보이지도 않았다. 주검처럼 보였다. - 서머싯 몸, ‘인생의 베일’에서 영국 작가 서머싯 몸의 소설 ‘인생의 베일’은 자기밖에 모르던 철없는 아가 ... ...
젖은 어떻게 만들어질까?
2016.04.25
없어 의대를 안 가기를 정말 잘 했다는 생각이 절로 든다. 그리고 의학에서 해부학이나
병리
학의 기초는 더 연구할 게 없고 이제 의학의 과제는 새로운 약물이나 수술 같은 치료법을 개발하는 일뿐이라고 느껴진다. 그런데 지난해 제2 순환계라는 림프계가 뇌에서도 발견됐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 ...
노화치료시대 열린다
2015.12.07
지연시키는 약물의 효과를 검증하는 임상이 얼마 전부터 진행되고 있다. 미국 워싱턴대
병리
학과의 대니얼 프로미슬로 교수와 맷 캐벌레인 교수가 주도하는 ‘개 노화 프로젝트(Dog Aging Project)’로 현재 1차 임상이 진행되고 있다. 연구자들이 선택한 노화지연약물은 ‘라파마이신(rapamycin)’으로 ... ...
갑상샘암, 신규원전과 관련이 있을까?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11.06
많이 발견되는 대표적인 암이다. 초음파나 미세침흡인 같은 의료기술이 발달하고
병리
학 검사가 세밀해지면서 감상샘암 발생률 증가에 기여했다는 의견도 있다. 최근에는 연구결과 해석의 차이로 인해 이슈가 된 경우도 있다. 최근 서울대 백도명 교수가 발표한 ‘원전 종사자 및 주변지역 ... ...
[HISTORY] 의사(醫師)들의 독립운동기
KISTI
l
2015.10.13
이후에도 폴리크리닉 병원이나 제임스 병원으로 옮겨 다니며, 고용 의사로 생활했다.
병리
학 의사로 여러 병원에 근무하면서 가족을 부양하고 생계를 이어나갔다. 현재의 유한양행을 설립한 유일한은 미국 유학 중에 서재필을 찾아갔다. 유일한은 서재필에게 일제하에서 기아와 질병으로 ... ...
양자역학 도약 이끈 슈뢰딩거방정식은 ‘간통’ 덕분?
2015.03.02
받아들이지 못하고 자신의 인생을 망쳐가며 끔찍한 일을 저지르는 것일까. 먼저
병리
학적 관점에서 해석하는 시각이 있다. 즉 간통을 저지르거나 결별을 선언한 여성 대부분은 생명의 위협을 받지 않기 때문에, 치정에 얽힌 살인은 의도하지 않은 사고이거나 정신상태에 문제가 있는 남자가 벌인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 [2회]
2014.12.29
분자구조와 생물적 기능의 관계에 대한 깊은 통찰을 얻게 된다. 컬럼비아대에서
병리
학 수련의로 있던 아이젠은 면역학자인 마이클 하이델버거를 알게 된다. 하이델베르거는 항체가 단백질임을 밝힌 사람으로 현대 면역학의 아버지로 불린다. 모교인 뉴욕대 생화학과에 자리를 잡은 아이젠은 ... ...
이전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