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돋을새김
양각
강조
부조
안고차
스페셜
"
부각
"(으)로 총 134건 검색되었습니다.
‘비스페놀A 프리’의 진실
2015.04.13
방식으로 자동화한 합성법을 소개한 심층기사와 표지논문으로 화학의 밝은 면을
부각
하는가 싶더니 이 모든 걸 ‘가리기에’ 충분한 어두운 내용을 담은 해설도 싣고 있다. 서평 두 편도 다 화학 관련 서적을 다루고 있는데, 그 가운데 한 권인 ‘Banned(사용금지)’ 역시 화학의 어두운 면을 다루고 ... ...
에너지의 미래, 결국 사람이다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04.13
있다. 게다가 격납용기 설계압력은 국제원자력기구(IAEA) 규정에도 미치지 못했다는 점도
부각
되고 있다. 반면 계속운전을 찬성하는 쪽에서는 R-7과 IAEA의 기준이 중요하기는 하지만 애초에 R-7이나 강화된 IAEA 기준이 나오기 전에 설계된 월성1호기에 억지로 R-7을 적용하는 것은 무리가 있으며, ... ...
우주여행의 지름길, 웜홀(worm hole)
KISTI
l
2015.01.13
여행에서의 유용성’과 같은 논문을 통해 웜홀의 가능성을 지지하는 논문을 발표하면서
부각
됐다. 웜홀의 존재 가능성은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이 1915년 발표한 일반 상대성 이론에 근거한다. 일반 상대성 이론은 주위의 시공간이 중력으로 굽어지는 개념을 도입했다. 이 이론은 블랙홀의 존재를 ... ...
[생활 속의 기술] 아름다운 과학
KOITA
l
2014.12.29
핵심은 예쁜 색상이나 세련된 스타일 따위가 아니다. 간결하면서도 목적한 바를 뚜렷이
부각
시키는 그래프야말로, 가장 효율적인 그래프다. 인포그래픽의 선구자들은 그런 사실을 잘 알고 있었다. 나이팅게일의 진심 인포그래픽 교과서에도 등장하는 유명한 그래프로, 19세기 중반 크림전쟁에서 ... ...
경쟁은 생명체의 숙명인가
2014.12.08
절박한 분위기에 좀 질렸다고 할까. 치열한 생존경쟁이 벌어지고 있는 직장의 삭막함을
부각
하기 위해 도입한 것 같은 화면의 푸른색조(촬영카메라 렌즈에 파란색 필터를 끼운 것 같다)도 계속 이어지니 무척 피로했다. “아니야. 진짜 그래.” “연구소지만 나도 회사생활 했는데 본사라도 설마 ... ...
[기술이 바꾼 미래] 윌리엄 톰슨-대륙을 단일 공간으로 묶은 해저 케이블
동아사이언스
l
2014.11.24
있어서 더 없이 이상적인 스승이었다. 이후 다 빈치는 역사상 가장 위대한 천재로
부각
되며 비교적 행복한 삶을 살았다. 울트라 수퍼 천재 본명이 윌리엄 톰슨(William Thompson, 1824~1907)으로 추후에 작위를 받아 켈빈 경이 된 그는 다 빈치에 못지 않은 만능 천재로 알려진 인물이다. 그는 절대온도(-27 ... ...
[Green Economy_기업인사이드] 이산화탄소를 플라스틱으로 바꾸다! 그린폴
동아사이언스
l
2014.11.19
” 당시는 원유 가격의 상승과 화석연료 사용으로 인한 환경오염 문제가 국제적 이슈로
부각
되면서 이산화탄소의 재자원화를 위한 노력이 절실히 요구되던 시기였다. SK는 새로운 성장축을 고민하고 있었고 획기적인 아이디어를 대대적으로 모으고 있었다. 권 팀장은 “단순히 이산화탄소를 ... ...
제2의 석기시대를 지탱하는 신기술
IBS
l
2014.11.13
요하는 제품에는 적용하기 어렵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수많은 연구가 진행중이다. 가장
부각
되는 분야는 바로 소재. 기존의 알루미늄 배선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알루미늄 대신 전기전도성이 높은 구리를 적용하여 미세화에 따른 저항을 낮추는 한편, 기판을 이루는 실리콘을 대체하는 물질도 ... ...
과학자의 성공, 행복하고 정상적인 삶에 있다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4.10.29
은행을 만들어 보라고 하시더군요. 때마침 국내에 연구소재 은행의 필요성이 점점
부각
되기도 했고요. 그러면서 1999년 내성균주를 모은 은행을 시작하게 됐습니다." 이때부터 이 센터장은 내성균주뿐만 아니라 연구소재 분야 전체에 눈을 넓히기 시작했다. 국내 연구소재은행은 1987년 서울의대 ... ...
요즘 아이들은 왜 이렇게 클까?
2014.10.27
16.4% 더 나가고 사료 효율도 6.9%더 높았다. 요즘은 장내미생물의 장점이 집중적으로
부각
되고 있지만 모든 일이 그렇듯이 공짜는 없다. 즉 몸속의 유익균은 침입한 병균을 무찌르고 숙주가 만들지 못하는 생체물질을 합성해 공급하기도 하지만 기본적으로 숙주와 파이를 나눠먹는 존재다. 즉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