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논문
석사
스페셜
"
석사논문
"(으)로 총 110건 검색되었습니다.
“2015년 단백질 지도 완성…연속성 있는 연구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11.04.25
“앞으로 4년 뒤인 2015년 10월 모든 단백질을 그려 넣은 ‘단백질 지도’가 나오면 암과 같은 질병을 치료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겁니다.” 스웨덴 왕립공대(KTH) 생명공학과 마티아스 울렌 교수(사진)는 “2005년부터 한국 인도 중국의 연구진과 함께 지금까지 우리 몸에 있는 전체 단백질의 절반을 찾 ... ...
“BT는 ‘버티기’의 줄임말…대기업이 힘 실어줘야”
동아사이언스
l
2011.03.07
“BT(바이오 테크놀로지)는 ‘버티기’의 줄임말입니다. 최소 10년은 기다려야 이렇다 할 성과가 나오죠. 그전까지는 자금력을 갖춘 기업이 연구를 계속할 수 있도록 꾸준히 힘을 보태줘야 합니다.” 성백린 연세대 생명공학과 교수는 4일 인터뷰에서 “새로운 신약 후보 물질이 실제 약으로 개발되 ... ...
“BT 일자리 창출이 경쟁력 갖추는 일”
동아사이언스
l
2010.12.20
“대학원을 나와도 가서 일할 곳이 부족해요. 그러다보니 대학원생의 발길이 점차 줄고, 결국 국내 생명공학기술(BT) 경쟁력을 떨어트리는 큰 요인으로 작용할 겁니다.” 김연수 인제대 식의약생명공학과 교수(인당분자생물학연구소장)는 17일 서울 중구에 위치한 인당분자생물학연구소 사무실에서 ... ...
“해외 식물 10만종 모으는 게 목표”
동아사이언스
l
2010.07.28
“전 세계적으로 30만 종의 식물이 있습니다. 식물에서 추출한 물질이 신약개발 등에 사용될 정도로 중요한 만큼 콩고, 중국 등 생물자원부국과 연계해 다양한 식물종을 확보할 필요가 있습니다.” 정혁 자생식물이용기술개발사업단장은 “해외식물자원 10만 종을 모으는 게 목표”라며 “2006년부 ... ...
“독불장군은 없다… 연계형 연구개발 시대 앞당겨야”
동아사이언스
l
2010.04.14
“많은 과학자들이 ‘연구개발(R&D)을 할 땐 사업(business) 감각도 중요하다고 말합니다. 이런 개념을 흔히 ‘R&BD’라고들 부릅니다. 중요한 개념이지만 여기서도 뭔가 빠진 게 있습니다. 사람과 사람사이의 관계죠. 소위 일류과학자일수록 친구가 많습니다. 진짜 중요한 것은 연계(Connection) 개념을 중 ... ...
“생명과학자가 쉽게 부자 되는 법을 아시나요?”
동아사이언스
l
2009.12.14
휴대폰으로 심근경색 진단을 테스트하는 정봉현 “신약개발 같은 장기사업도 물론 중요하죠. 하지만 너도 나도 그것만 할 수는 없지 않습니까? 생명공학기술을 조금만 응용하면 다양한 시장개척이 가능합니다.” 정봉현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바이오나노연구센터장은 바이오융복합기술 연구에 관 ... ...
“오창-오송에는 공장보다 연구소가 들어와야”
동아사이언스
l
2009.11.24
“오창과 오송이 바이오의약 분야 특성화 도시가 되려면 기업의 생산 공장보다 연구소가 들어서야 합니다. 관심 분야가 겹치지 않으면 시너지 효과는 일어나기 어렵습니다. 그래서 기업 연구소가 흥미를 가질 수 있는 연구 인프라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이형규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오창총괄본부 ... ...
“여성 연구 인력 많아야 멋진 기업”
동아사이언스
l
2009.10.29
“과학을 선택한 인생이 행복해” 김은경 연세대 화공생명학과 교수 “어렸을 때부터 과학을 좋아했고 그래서 과학자가 되었죠. 오르내림도 있었지만 과학을 한 덕분에 평생 즐겁게 살았어요. 지금도 과학 하는 사람들과 만나면 ‘우린 참 행복하다’ ‘새로운 아이디어가 연구 결과로 이어진다’ ... ...
“의사도 연구 안하면 경쟁력 잃을 것”
동아사이언스
l
2009.07.21
환자를 치료하는 의사는 평소 해결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다. 바로 기초과학자가 해결하는 영역이다. 기초 연구를 하는 과학자 역시 자신만의 힘으로는 역부족인 분야가 있다. 연구성과를 사회와 사람에게 적용할 때이다. 실험실의 기초 과학자와 의료 현장의 의사가 함께 문제를 해결하는 노력이 ... ...
“의사와 과학자 이제 떼려야 뗄 수 없어”
동아사이언스
l
2009.04.23
의사와 과학자가 공동으로 연구할 수 있는 길이 열린다. 교육과학기술부는 올해부터 ‘의사(MD)-이공계 박사(Ph.D) 협력연구 프로그램’에 약 30억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이공계 생명과학 연구자들은 자신의 연구성과를 임상에 적용해 보고 싶어 하지만 접근이 어려운 게 사실이에요. 인체 조직 같 ... ...
이전
7
8
9
10
11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