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초목
풀
식물계
식생
야채
식물체
플랜트
스페셜
"
식물
"(으)로 총 518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이언스N사피엔스] 공기로 빵을 만든 사람
2022.03.31
덕분에 질소 분자의 3중 결합이 깨지면서 질소 산화물이 만들어질 수도 있다. 또는 콩과
식물
등의 뿌리에 존재하는 뿌리혹박테리아는 질소 분자를 고정시킨다. 그러나 이런 자연적인 과정에만 맡겨두기에는 인간에게 필요한 농작물을 키우기에 턱없이 부족하다. 이를 해결하려면 인위적으로 비료를 ... ...
[탄소중립 연속기고] 이산화탄소 어떻게 처리해야 할까
2022.03.27
이산화탄소 역시 탄소 순환계를 구성하는 요소로 대기 중에 방출된 이산화탄소는 해양,
식물
, 광물 등 각종 온실가스 흡수원으로 일정량 흡수되어 적정 수준의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를 유지할 수 있었다. 하지만, 현재의 기후 위기는 이러한 탄소 순환계의 균형이 깨진 것에서 비롯된다. 당분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탄소중립 앞당길 미생물 공장
2022.03.22
만든 포도당 같은 유기물을 먹이로 삼아 살아간다. 대표적인 독립영양생물인
식물
은 이산화탄소와 물을 원료로 해서 포도당을 만든 뒤 이를 분해해 에너지를 얻어 살아간다. 포도당을 만들 때 빛에너지가 들어가므로 ‘광합성’이다. 그런데 빛이 없는 장속에 사는 오토에타노게눔은 어디서 ... ...
디지털과 결합한 고생물학…사라진 멸종동물이 다시 태어난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3.07
미국 시카고 필즈박물관 과학 일러스트레이터는 “고대 생물을 복원하는 과정에서
식물
을 제외하는 일이 터무니없는 일이라는 인식이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바빠도 지루함을 느낄 수 있는 이유
2022.03.05
의미감을 느낄 수 있지만 사람들이 의미감을 느끼는 일들은 사람 수 만큼이나 다양하다.
식물
이나 동물을 키우거나 손재주를 부려 무언가를 만들거나, 가만히 누워서 파란 하늘을 바라보거나 또는 몸을 움직여 땀을 흘리는 등 누군가에게는 시시하게만 느껴지는 일이 또 다른 사람에게는 삶의 ... ...
[과기원은 지금] 김형준 KAIST 교수팀 기후변화 예측정확도 개선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03.01
네이처에 23일 공개됐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권태혁 ·권오훈 화학과 교수팀이
식물
광합성 방식을 모방해 태양전지 효율을 높이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28일 밝혔다. 태양빛을 흡수해 만든 전자를 손실 없이 전극에 전달하는 새로운 염료분자 디자인이 핵심으로 이 염료분자를 사용하면 ... ...
유전체 합성·차세대 백신…2022년을 달굴 10대 바이오 유망기술
동아사이언스
l
2022.02.28
것으로 점쳐졌다. 그린 바이오 분야에서는 ‘바이오장기 생산 키메라 기술’과 ‘
식물
광합성기구 기능 향상기술’이 화이트 바이오 분야에서는 ‘나노물질 유래 친환경 중합체 합성기술’과 ‘환경오염물질 분해 마이크로바이옴’이 선정됐다. 김은선 KISTI 데이터분석본부장은 “KISTI의 ... ...
[프리미엄 리포트] 온도 변화로 읽는 지구의 대멸종
과학동아
l
2022.02.26
때다. 멸종 직전까지는 온난한 기후로 육지에 생명들이 유례없이 번성했던 때였다. 양치
식물
이 숲을 이뤘고, 곤충이 번성해 2m가 넘는 거대한 잠자리 ‘메가네우라’도 이때 살았다. 2억 5190만년 전 시베리아 지역에서 화산이 폭발했다. 이 폭발은 100만 년이나 지속됐고 700만 제곱킬로미터의 면적이 ... ...
기후변화로 북극 따뜻해지자 한반도 겨울 더 추워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2.10
북극 해역의 온도가 올라가면 동아시아는 온도가 떨어지는 음의 상관관계를 밝혀내고
식물
의 성장에도 나쁜 영향을 주는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을 밝혀내 1일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러시아 북쪽 바렌츠해와 카라해의 해수면 온도와 동아시아 지역의 기후 ... ...
도심의 나무 건강 위해 밤에 LED 조명 일찍 꺼야
동아사이언스
l
2022.02.09
볼 수 있고 한반도 자생나무인 왕벚나무는 제주도를 중심으로 볼 수 있고, 은행나무는
식물
원은 물론 가로수로도 흔히 사용된다. 연구팀은 여름과 겨울에 나눠서 이들 나무에 설치한 조명을 저녁 6시에서 밤 12시까지(6시간), 저녁 6시부터 다음날 새벽 6시까지(12시간) 켜두고 야간 호흡량을 살폈다.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