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저축
비축
갈무리
보관
세이브
보존
재고
스페셜
"
저장
"(으)로 총 648건 검색되었습니다.
[누리호를 만드는 기업들](12) 한국에도 스페이스X보다 먼저 민간발사체 꿈꾼 기업이 있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4.21
옆 해발 401m의 봉래산을 이용하기로 했다. 시험설비보다 100m 높은 지점에 1000t의 물
저장
탱크를 설치해 위치에너지로 물을 뿜어내는 방법을 채택한 것이다. 조 팀장은 “나로우주센터 인근이 다도해 해상국립공원 구역이라 자연 훼손을 최소화하며 공사를 하느라 애를 먹기도 했다”고 말했다. ... ...
[탄소중립 연속기고] 도시폐기물, 고부가가치 상품으로 되살아날까
2022.04.21
돌아가게 되는데 마지막 단계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효과적으로 포집하고
저장
이 가능한 기술이 확보된다면 가장 최적의 시나리오가 될 것이다. 학계는 가연성 고형폐기물을 소각하면서 발생하는 탄소 부담을 최소화하고 에너지 및 자원 활용을 위해 '가스화'와 열분해를 통한 '용융화'를 ... ...
미국, 밍크의 코로나19 바이러스 변이 사람 감염시켰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4.19
프리프레스의 보도로 처음 드러났다. 이들 매체는 미국 주정부의 코로나19 관련 문서를
저장
하는 코로나19 문서화 프로젝트를 통해 미국내 밍크와 관련된 확진 사례를 뒤져 앞선 3건의 감염 사실을 확인하고 지난해 4월 보도했다. 이어 지난 17일에는 3건의 확진과 박제사 아내의 감염 간 연관성을 CDC와 ... ...
[탄소중립 연속기고]인류의 삶 윤택하게 바꾼 촉매, 다음 번 숙제는 탄소중립
2022.04.18
점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 '탄소중립'은 말 그대로 탄소가 배출되는 그 양만큼 다시
저장
하거나 처리하는 것을 의미한다. 유엔 산하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는 인간이 지구의 온난화 현상에 영향을 미친 것은 명백하다는 결론을 내고, 2050년까지 탄소중립이라는 거대한 숙제를 설정했다. ... ...
그날의 악몽 지운다...PTSD 치료 실마리 첫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2.04.15
치료에서 중요하게 활용된다. 공포기억이
저장
된 신경세포 사이 신호 전달체계를 바꾸면
저장
된 기억이 지워지는 원리다. 연구팀은 실험 쥐에게 공포기억을 심어 PTSD를 유발한 뒤 24시간이 지난 시점에 약물을 주입하고 뇌 속 변화를 살폈다. 관찰 결과 쥐의 공포기억과 관련된 뇌 영역인 변연하 ... ...
'열광전지 효율 40% 달성' 상용화만 남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4.14
설정한 상용화 기준을 처음으로 넘긴 것이다. 연구팀은 또 이 열광전지가 사용하면, 전력
저장
장치 운영 비용의 10분의 1만 들 것으로 추정했다. 단 이번에 만든 열광전지는 약 1㎠라, 이를 최대 900㎡까지는 크게 만들어야 하는 과제가 남아있다. 아세군 헨리 MIT 기계공학부 교수는 ““열광전지는 ... ...
[탄소중립 연속기고]이산화탄소 증가, 바다도 몸살 앓는다
2022.04.10
탄산염을 이용해 생물기원 탄산칼슘인 방해석을 형성하는 과정을 방해해 탄소의 퇴적층
저장
을 제한하고 해양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친다. 대표적인 사례로 1㎝ 이하의 작은 생물인 익족류의 변형 현상이 꼽힌다. 2100년쯤 바닷물을 실험실에서 제조한 뒤 익족류를 배양한 결과 약 45일 뒤 방해석 ... ...
[팩트체크]옷에 묻은 코로나 바이러스에 감염될까
동아사이언스
l
2022.04.06
9 재확산하는 원인으로 한국산 옷이 지목된 것은 지난달 중순 경이다. 지난달 중순
저장
성 원저우시 질병통제센터는 "꼭 필요한 경우가 아니면 한국처럼 코로나19 상황이 심각한 국가에서 수입된 의류와 생활용품을 사지말라"며 "수입품을 산 사람들은 건강 모니터링에 유의하고 유전자증폭(PCR) ... ...
미국서 대규모 야생동물 코로나 검사 진행 중…재유행 대비 '코로나
저장
고' 적발 목표
동아사이언스
l
2022.04.06
시작됐다는 것이 이 부분을 추적해온 연구자들의 공통된 견해다. 야생동물이 '코로나
저장
고'가 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실제 코로나19에 감염된 동물은 다양하게 확인되고 있다. 국제학술지 네이처는 지난해 12월 북미 지역에 서식하는 야생사슴의 약 35%가 코로나19에 감염됐다는 연구 결과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인류는 밀 부족 위기를 극복할 수 있을까
2022.04.05
이런 작물은 노화가 앞당겨져 잎이 빨리 시들고 따라서 열매나 씨에 영양분을 충분히
저장
하지 못한다. 따라서 MLO는 식물의 성장과 노화에 관련된 기능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MLO 유전자가 고장난 변이체 밀 가운데 하나(Tamlo-R32로 명명)가 이런 부작용을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그 이유를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