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추측
어림
추리
예측
억측
어림짐작
대중
스페셜
"
짐작
"(으)로 총 181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이언스N사피엔스] ‘철학의 아버지’라는 위대한 호칭
2019.07.12
고등학교 누구인지를 밝혔다. 다른 부류는 그런 신상공개를 하지 않고 곧바로 질문했다.
짐작
했겠지만 전자는 과학고나 외국어고 등 소위 명문고 출신들이었다. 후자는 대체로 일반 고등학교 학생들이었다. 어린 학생들이 벌써 자신의 신분을 아는구나 싶어서 좀 씁쓸했었다. 질문이 없는 건 물론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잉크 안 쓰는 컬러프린터를 만들다
2019.07.02
일자에 실린 해설 다섯 편 가운데 ‘크레이지 컬러(Crazy colour)’라는, 무슨 뜻인지 도무지
짐작
할 수 없는 제목이 눈에 들어왔다. 게다가 해설을 쓴 사람이 서울대 기계항공공학부 고승환 교수다. 유명 저널인 ‘네이처’나 ‘사이언스’ 에 한국 과학자의 논문이 실리는 것도 흔치 않지만, 해설이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조 힌 치오,염색체와 매카시즘
2019.06.06
사이에 존재하던 권력의 차이를 상상해보면, 레반이 얼마나 치오를 이용했는지 쉽게
짐작
할 수 있다. 염색체 숫자 46의 발견은 전적으로 치오의 공이다. 1956년 코펜하겐에서 열린 국제인간유전학회에서 발표 중인 치오. (오른쪽) 알버트 레반. Victor McKusick(cc)/University of Lund 식민지 출신으로 유럽의 ... ...
탐사선 ‘창어 4호’ 첫 연구성과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19.05.17
처음이다. 연구진은 “칼슘 함량이 낮은 휘석과 감람석은 달 맨틀의 구성 성분으로
짐작
되는 물질”이라며 “이번 연구는 달 맨틀의 구조뿐만 아니라 달이 어떻게 만들어졌고 진화했는지 알아내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경자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책임연구원은 “달에 맨틀이 있을 ... ...
발달장애인과의 상생, 기업들도 나선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05
존재할 수 있다는 뜻이다. 상당수가 사회적 시선을 의식해 등록을 하지 않은 것으로
짐작
된다. 실제로 전세계적으로 자폐스펙트럼장애 환자 비율(유병률)은 2%가 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국 인구를 대입해 보면 100만 명 이상이 된다. 발달장애는 95% 이상이 지적장애를 동반하고, 의사소통 능력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세상의 룰 공정하다'는 믿음, 열정페이를 강요하다
2019.05.04
이 사람은 적어도 자신의 일을 사랑하며 일하는 것이 곧 행복인 사람일 것이라고 어림
짐작
하며 착취를 합리화하는 현상이 확인되기도 했다. 어쨌든 세상은 오늘도 평화롭고 공정하다고 믿으면 마음이야 편하겠지만 때로는 다양한 사회문제를 합리화하는 부작용을 낳는다는 것이다. 그래서 더더욱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알파고의 공습
2019.05.02
기계를 이긴 마지막 인간이길 바란다”고 썼다. 이 말이 사실이 되리라고는 나는 그때
짐작
조차 못했다. 구글 알파고와 경기에서 첫 수를 놓고 있는 이세돌 9단 - 한국기원 제공 일주일 뒤인 3월 9일 이세돌과 알파고의 첫 대국이 오후 1시부터 열렸다. '과학의 원리' 수업도 오후 1시부터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딸기가 지구를 한 바퀴 돈 사연
2019.03.19
자생하는 숲딸기는 오랫동안 유럽에서 재배하기도 했다. 손가락을 보면 얼마나 작은지
짐작
할 수 있다. 위키피디아 20세기 들어 유전학 시대가 열리면서 많은 식물학자들이 딸기 연구에 뛰어들었다. 그러나 딸기의 게놈이 무척 복잡하다는 사실에 경악했다. 딸기속(屬) 20여 종의 염색체 숫자가 ... ...
‘미지의 친척인류’ 데니소바인 두개골 파편 첫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9.03.04
어른 손가락 한 마디 반 크기의 팔 또는 다리뼈 등으로, 데니소바인의 신체 특징은 전혀
짐작
할 수 없었다. 그래서 데니소바인은 화석 속에 파편적으로 남아 있는 DNA를 해독해 복원한 ‘게놈 정보’로만 존재하던 특이한 고인류였다. 고인류학계는 이번 두개골 파편 발견으로 데니소바인의 신체 ... ...
[강석기의 과학카페]홍역은 어떻게 면역 기억상실을 일으킬까
2019.01.29
관하여’에서 우리가 별 생각없이 쓰는 관용어를 들여다보면 과거 우리 조상들의 삶을
짐작
할 수 있다. ‘홍역을 치르다’는 표현도 그런 예로, 국어사전을 보면 ‘몹시 애를 먹거나 어려운 일을 겪다’라는 뜻이라고 풀이하고 있다. 중병을 앓는 게 힘든 일이므로 이런 은유적 표현이 나온 것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