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출판
간행
발행
발간
간행물
스페셜
"
출간
"(으)로 총 241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LSD 르네상스를 꿈꾸는 사람들
2019.11.19
명성을 얻은 논픽션 작가다. 지난 2001년 펴낸 《욕망하는 식물》로 주목을 받았고 2006년
출간
한 《잡식동물의 딜레마》가 대표작이다. 국내에 번역된 책만 8종이다. 주문한 책이 와서 좀 읽어보니 환각제의 과학을 다룬 이 책 제목 《How to change your mind(당신의 마음가짐을 바꾸는 법》에서 ‘mind’는 ... ...
야당 "과기계 고위공직자 가족 수상 의혹"… 여당 "입법실적 너무 저조" 지적
동아사이언스
l
2019.10.18
활동은 자기소개서를 통해 얼마든지 입시에 반영될 수 있으며 문 차관 자녀 역시도 2017년
출간
된 ‘서울대 합격생 방학 공부법’을 통해 서울대 합격의 비결을 밝혔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문 차관은 "당시 학생부 작성요령과 서울대 2015년 입시 자기소개서 가이드에 따르면 학교 외부 수상 내역 ... ...
[강석기의 과학카페]이토록 황홀한 블랙을 본 적이 있는가
2019.09.17
검은색으로 지각하는 데 전혀 문제가 없다. 영국의 문학비평가인 존 하비는 2017년 번역
출간
된 ‘이토록 황홀한 블랙’에서 “칠판이나 검은 천 조각이 반사하는 빛의 양은 하얀 종이가 반사하는 빛의 10% 정도”라고 쓰고 있다. 우리는 주위 대상에서 오는 빛의 상대적인 양을 바탕으로 검은색을 ... ...
AI, 과학 학술서적 썼다…저자명은 '베타 라이터'
동아사이언스
l
2019.04.14
선정한 이유에 대해서 “지난 3년간 5만 3000개 이상의 리튬이온 배터리 관련 논문이
출간
됐다”며 “이것은 과학자들이 이 분야의 연구정보를 꿰고 있기 힘들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이어 “AI가 관련 연구들을 자동으로 탐색하고 요약해주면서 과학자들은 시간을 줄이고 자신의 연구에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멘델레예프는 왜 희토류 원소를 싫어했을까
2019.02.19
부른다. 영국 화학자 존 엠슬리의 책 ‘Nature’s Building Blocks(자연의 벽돌)’(2001년
출간
)에 나오는 주기율표로 3족 스칸듐(Sc)과 이트륨(Y) 아래 루테튬(Lu)과 로렌슘(Lr)이 들어간 형태다. 수소(H)와 헬륨(He)을 오른쪽 위에 따로 배치했다. 강석기 제공 IUPAC은 이런 혼란을 더 이상 방치할 수 없다고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동물이 거울을 본다는 것의 의미
2019.02.12
바이올로지’ 제공 미국 에모리대의 저명한 영장류학자 프란스 드 발 교수는 2016년
출간
한 책 ‘동물의 생각에 관한 생각’에서 이런 이원론에 반대하는 주장을 폈다. 드 발 교수는 “원숭이와 유인원처럼 서로 관계가 가까운 종들의 집단 사이에서 일부 종들은 자기인식 능력이 있는 반면에 다른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백년을 산다는 것의 의미
2019.01.22
화제다. 주중 5일간 방영되는 한 아침 TV프로그램에 주인공으로 등장했는가 하면 2016년
출간
한 책 ‘백년을 살아보니’가 뒤늦게 베스트셀러가 됐다. 이런 인기는 1920년생인 김 교수가 올해 우리 나이로 100세가 됐기 때문이다. 흔히들 ‘100세 시대’라고들 하지만 실제 100세까지 살기가 쉽지 않기 ... ...
[과학 게시판]한약자원연구센터 문열어 外
동아사이언스
l
2018.11.07
등과 함께 국내 최초로 오픈폼(OpenFOAM) 사용자들을 위한 필독서 ‘OpenFOAM 해킹가이드’를
출간
했다고 밝혔다. 오픈폼은 공개 소스로 전환된 지 10년이 넘었다. 두터운 사용자층이 형성돼 있지만, 처음 시작하는 사람을 위한 별도의 가이드나 지침서가 없어 진입장벽이 높았다. 새로 발간한 오픈폼 ... ...
[강석기의 과학카페]길들인 여우 게놈 분석해보니…
2018.10.02
진행된 여우 길들이기 프로젝트를 소개한 책 ‘은여우 길들이기’가 지난 7월 번역돼
출간
됐다. - 교보문고 제공 참고로 은여우는 붉은여우의 변종으로, 19세기 후반 캐나다에서 모피를 얻기 위해 사육하기 시작했고 그 뒤 러시아에서도 대규모로 길렀다. 비록 우리 속에서 사람이 주는 걸 먹으면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올리버 색스와 신경퇴행성질환 리티코-보딕 이야기
2018.09.18
치료제를 투여했고 놀랍게도 이들은 깨어났다. 이 당시 환자일지를 정리한 책이 1973년
출간
한 ‘깨어남’으로 읽어보면 충격적인(한 번도 생각해보지 않은) 내용이 꽤 나온다. 스틸은 ‘깨어남’을 읽고 자기 환자들과 과거 색스가 본 환자들을 비교해달라고 부탁한 것이다. 흥미를 느낀 색스는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