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공
천계
창공
공중
허공
공간
스카이
스페셜
"
하늘
"(으)로 총 377건 검색되었습니다.
아틀라스 혜성, 5천년 전 태양 방문한 혜성서 쪼개진 일부
연합뉴스
l
2021.08.20
'아틀라스 혜성'(C/2019 Y4)이 약 5천 년 전 인류 문명 초기 수성 안쪽까지 태양에 접근하며
하늘
에 장관을 연출한 혜성의 일부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에 따르면 메릴랜드대학교 행성 천문학자 예콴지(葉泉志) 박사는 장주기 혜성인 아틀라스가 5천 년 전 태양에 3천700만㎞ ... ...
대형 망원경 새 명당자리 '지구의 지붕' 티베트 고원서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8.20
점을 입증했다는데 의의가 있다”고 말했다. 중국은 이미 렁후에 3일에 한 번씩 밤
하늘
전체를 관측할 수 있는 광시야 망원경과 지름 7m의 중국 최대 광학 망원경 등 7기의 관측시설을 구축하기 시작했다. 지난 6월에는 우주 쓰레기와 인공위성을 추적하는 다용도 관측 망원경 집합체 건설을 위한 ... ...
극대기 이틀 넘겨 시간당 200개 넘게 쏟아진 페르세우스 유성우…천문학자들 "이례적 현상"
동아사이언스
l
2021.08.18
촬영한 페르세우스 유성. 전영범 천문연 책임연구원 제공 14일 밤 이처럼 많은 유성우가
하늘
에 떨어졌지만 도시에서는 이를 관측하기 어려웠다. 인공 조명 등으로 빛의 밝기가 너무 밝은 '빛공해' 때문이다. 변 교수는 "한국은 이탈리아와 함께 가장 심각한 빛공해를 겪는 국가로 천문대에서조차 ... ...
한국형발사체 ‘누리호’ 10월 21일 첫
하늘
길 연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8.12
한국형발사체 ‘누리호’의 인증모델(QM)이 전남 고흥 나로우주센터 제2발사대에 수직으로 우뚝 섰다. QM은 오는 10월 발사 예정인 누리호 비행모델(FM)과 형상과 설계구조가 동일한 발사체로 성능 검증과 시험을 위해 제작됐다. 고흥=고재원 기자 jawon1212@donga.com 한국이 처음 독자 개발하는 한국형발 ... ...
과학자 UFO 찾아 나선다…미 하버드대 교수 ‘갈릴레오 프로젝트’ 발표
동아사이언스
l
2021.07.27
“연구비만 허락한다면 전 세계 곳곳에 이런 장비 10대를 세우고 UAP를 찾기 위해
하늘
을 훑을 것”이라고 말했다. 갈릴레오 프로젝트에 대한 학계의 반응은 엇갈린다. 제이슨 라이트 미국 펜실베이니아대 천문학 및 천체물리학 교수는 “오무아무아 같은 천체를 가까이서 본다면 누구나 흥분할 ... ...
뜨거운 날씨로 점점 높은
하늘
에 뜨는 구름, 온실효과로 지구온난화 더 가중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7.20
적외복사가 적게 일어난다. 지면에 닿은 태양복사에너지는 지구복사에너지가 돼 다시금
하늘
로 올라가는 데 이때 상층운이 이 복사에너지를 잡는 역할을 한다. 상층운 때문에 지구 온실효과가 강해지는 것이다. 연구팀은 전 지구 구름 관측 자료와 해당 지역 온도, 습도, 바람 간의 관계를 정량화 ... ...
[우주산업 리포트]호주는 왜 우주개발에서 국제협력을 강조할까
2021.07.16
우주상황인식을 위한 최적의 장소로 꼽힌다. 4000km에 걸쳐 뻗어있는 광활한 영토와 맑은
하늘
, 조용한 환경은 호주와 주변 상공을 지나는 수많은 인공위성과 우주 쓰레기를 정확히 추적·관찰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준다. 이런 지리적 장점 덕분에 호주는 이미 글로벌 천체관측 전파망원경 ... ...
광범위한 코로나19 변이와 싸우는 ‘슈퍼 항체’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1.07.15
2 스파이크단백질의 수용체결합영역(RBD)에 결합한 항체의약품.
하늘
색과 분홍색은 리제네론에서 개발 중인 항체의약품, 노란색은 비르바이오테크놀로지에서 개발 중인 항체의약품을 나타낸다. 붉은색 원은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발견된 사스코로나바이러스-2 변이를, 파란색 원은 영국에서 발견된 ... ...
[랩큐멘터리]드론기술이 낳은 폐해, 발전된 기술로 막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7.14
전자전기공학과 교수 드론은 카메라를 통해 주변을 인식하고 장애물을 피해 나간다.
하늘
을 날 때는 반드시 카메라를 통해 주변을 계속 살펴야 한다. 불법 영상물을 찍으려는 의도가 아니더라도 언제든 불가피하게 사생활 침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것이다. 가령 길거리를 걷다가 나도 모르게 ... ...
[사이언스N사피엔스] 뉴턴이 무너졌다
2021.06.24
않았다. 그래도 별 수가 없지 않은가. 일식이 날마다 있는 현상도 아니니 그냥 흐린
하늘
에 대고 셔터를 누를 수밖에 없었다. 그렇게 에딩턴 팀은 16장의 사진건판을 건졌는데 그 중에서 겨우 두 장의 건판(W와 X로 이름붙인)에서 분석에 쓸 만한 별이 5개 찍혔다고 한다. 아인슈타인의 새 이론을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