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바닷가
해변
연안
물가
연해
해변가
연해변
스페셜
"
해안
"(으)로 총 172건 검색되었습니다.
군인도 못본 밀입국 선박 AI가 잡는다?…'AI
해안
레이더' 개발
연합뉴스
l
2020.06.07
활용한 감시체계를 개발할 계획이다. 이런 작업을 거쳐 다른
해안
감시레이더와 과학화
해안
경계감시 장비 등에 확대할지를 검토할 것으로 전해졌다. [국방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 ...
[3차 추경 투자 어떻게] 데이터 구축 및 개방에 3819억원 지원
동아사이언스
l
2020.06.03
컴퓨팅산업 육성에는 343억 원이 투입된다. AI와 5G 등에 의료영상 진료와 판독,
해안
경비 및 지뢰탐지, 신종 감염병 대응 등에 AI를 활용하는 ‘AI+X’ 프로젝트 7개 과제에 211억 원이 투입된다. 중소기업이 AI를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AI 바우처 사업은 기업 지원을 14곳에서 214곳으로 늘린다. ... ...
[게놈과 인류사]"말 없는 수천 년 전 인류사, 게놈이 밝힐 수 있어요"
동아사이언스
l
2020.06.01
활발히 이뤄져 있지만, 프랑스는 예외였다. 정 교수는 “유럽 신석기 문명은 지중해
해안
선을 따라 스페인으로 이동해 온 그룹과 다뉴브강을 따라 스위스와 독일을 거쳐 중부유럽을 가로질러 간 그룹으로 나뉜다”며 “이들이 결국 만나는 곳이 프랑스인데 정작 이 지역은 연구가 부족했다. 이번 ... ...
"추위보다 현생인류와 경쟁이 더 버거웠다" 슈퍼컴 밝힌 네안데르탈인 멸종 원인
동아사이언스
l
2020.05.26
이주가 가능했다(2), 약 2만 년 후, 녹지축이 남서쪽으로 개방되어 남아프리카 남서
해안
쪽으로 이주가 가능했다. 한 그룹이 발상지에 남았고, 그들의 후손 일부(칼라하리 코이산)는 여전히 칼라하리에 살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지난해에는 호주의 유전학 연구자와 공동으로 20만 년 전 ... ...
'지구를 생각하는' 독자들이 주목한 환경 뉴스 10선
동아사이언스
l
2020.04.22
idx=33356 ) ●“플라스틱 사용 제한이 오히려 환경에 악영향” (2020.1.12) 남아프리카
해안
가에서 다이버가 미세플라스틱과 플라스틱 잔해물들을 수집하고 있다. EPA/연합뉴스 해양 미세플라스틱 오염 문제가 커지며 플라스틱 사용을 제한해야 한다는 요구가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상점에서의 ... ...
코로나19로 천문연구도 '잠시 멈춤'…칠레 전파망원경 가동중단
연합뉴스
l
2020.04.04
동안 직원들이 집에서 가족과 머물 수 있도록" 가동을 중단했다고 공지했다. 북부
해안
도시 라세레나에 있는 천문대들도 방문객과 연구자들의 감염 위험을 막기 위해 처음으로 폐쇄했다. 칠레는 세계 각국의 천문 연구진이 모이는 '천문 강국'이다. 전 세계 천문학 투자의 70%가 칠레로 ... ...
[프리미엄리포트]한반도 에너지 문제 해결 대안으로 떠오른 해상풍력발전
과학동아
l
2020.02.01
풍력발전기 10기를 세워 전기를 생산하는 탐라해상풍력발전단지가 있다. 풍력발전기들은
해안
가에서 60~120m 떨어진 바다 위에 총 2.7km에 걸쳐 늘어서 있다. 발전소에 가까워질수록 해상풍력발전기의 윤곽이 점점 뚜렷해졌다. “10호기는 왜 발전량이 0이죠?” “네, 현재 요잉(yawing) 중입니다.” ... ...
네안데르탈인도 조개 잡으러 다이빙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16
말했다. 영국 유니버시티칼리지런던(UCL)의 고고학자인 매트 포프 교수는 “
해안
에서 폭풍이 있을 때 조개들이 해변으로 나오는 예외적인 상황도 있을 수 있다”고 말했다. 네안데르탈인이 해변에서 홍합을 채집하고 얕은 바다에서 낚시를 한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수영이나 다이빙을 했다는 ... ...
[인류와 질병] 오래된 감염
2020.01.11
해안
지역 원주민은 아프리카 유래의 균이 주로 있었다. 즉 산악지역 원주민은 유럽 정복자로부터 건너온 헬리코박터 파일로리에 적응할 시간이 부족했다. 이러한 이유가 높은 위암 발생률로 이어진 것이다. 헬리코박터 파일로리는 Treg를 유도하는 특징이 있다 ... ...
[호주 대화재] "모든 걸 태운 뒤 바다에 닿아야 멈출 것"
동아사이언스
l
2020.01.07
“성층권 온난화는 고온 건조한 바람이 내륙에서
해안
쪽에서 계속 불게 했고 이는
해안
근처에 산불이 날 확률을 높였다”고 말했다. 유칼립투스 나무가 많은 호주 수목의 특징도 산불을 키웠다는 분석이다. 유칼립투스는 기름 성분을 공기 중으로 흩날리는 특성이 있고 잎이 건조해 불이 붙기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