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외
이국
타국
이방
해방
국외
국제
d라이브러리
"
외국
"(으)로 총 2,131건 검색되었습니다.
1. 대도시에 지진이 일어난다면
과학동아
l
199604
상황을 생각하는 것은 정말로 끔직한 일이다. 그러므로 우리나라와 같은 분단국가에서는
외국
과 전혀 다른 의미에서 지진 대비가 추가적으로 필요하다.물론 앞에서 언급한 여러가지의 일들은 어디까지나 우리나라에서 예상외의 큰 지진이 발생하게 될 경우를 가상해 생각한 것이다. 이런 지진이 ... ...
서울 면적의 1.6배
과학동아
l
199604
참나무에 의존해 살아가는 생물 종류보다 극히 단순하다. 놀라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외국
의 무덤은 어떨까. 유럽에서의 묘지는 도심 공원의 역할을 하고, 우리와 같은 유교권 국가인 중국이나 일본의 경우 화장(火葬) 문화가 형성된 지 오래다. 이런 예들은 국토의 효율적인 이용에 크게 기여하고 ... ...
1년 교과서 교육보다 하루 현장실습이 효과
과학동아
l
199603
확보한 후 이용할 생각을 해야합니다.신희관현재 국내 철새 수가 줄어든다는 사실과
외국
의 성공적인 보호사례 등을 사람들에게 많이 알릴 필요가 있어요. 누구나 '아는만큼 느낀다'고 생각합니다.최명순저도 이번 탐사를 환경보호 차원에서 느꼈습니다. 이번 탐사지가 너무 많이 알려지면 오히려 ... ...
평생비서 오!K vs 오거나이저
과학동아
l
199603
힘든 기능이 경제활동편이다. 이 기능은 국내에서 개발된 다른 일정관리 프로그램이나
외국
제품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것으로 이 기능을 잘 이용하면 개인이 행하는 모든 경제활동을 다 커버할 수 있다. 실제로 필자가 아는 한 중소기업 사장은 이 기능을 이용해 그 회사의 재고관리를 하고 있을 ... ...
2. 인터넷 엑스포 운영위원장 전길남박사
과학동아
l
199603
누구인가는 큰 문제가 아닐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 것도 제대로 소화시키지 못해
외국
에 내맡긴다는 건 자존심이 허락지 않습니다. 더구나 우리 것을 우리만큼 잘 알고 있는 사람은 어디에도 없을 테니 경쟁력도 있고요."한편 이 행사의 핵심을 차지하는 아시아인들의 연대를 위해서 그는 ... ...
3. 전통과 첨단의 앙상블
과학동아
l
199603
특히 '해야 할 일과 해서는 안될 일'(Dos & Don'ts)라는 코너에서는 태국을 여행하는
외국
인들이 꼭 갖춰야 할 예절, 예를 들어 태국 사람을 만나면 악수 대신 두손을 합장하는 인사를 해야 한다는 등을 가르쳐준다.카자흐스탄_http://park.org/Kazakhstan/옛소련으로부터 독립한 서아시아의 카자흐스탄 ... ...
4. 좌담 창조적인 아이디어는 밤샘 토론에서 나온다
과학동아
l
199602
좋았을 걸 하는 생각을 합니다. 앞으로 더 많은
외국
학교와의 교류가 있었으면 합니다.
외국
대학에서 공부하는 것도 제 대학생활에 귀중한 추억이 될 거 같아요.윤송이 : 저는 매일 매일이 재미있습니다. 아침에 일어나면 오늘 무슨 재미있는 일이 있을까 생각을 하지요. 그리고 잠자리에 들 때 ... ...
3. 사용자·프로그래머가 보는 한글코드 문제
과학동아
l
199602
충분히 표현되는 것을 문제의 발단으로 보는 편이 타당하다. 동양권을 제외한
외국
대부분의 소프트웨어들이 2바이트 코드를 지원하지 않는데, 툴이나 커스텀 컨트롤 같은 개발자 도구들은 특히 이런 현상이 심하다.덕분에 우리 개발자들은 2바이트코드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 많은 ... ...
3. 지능측정의 허와실
과학동아
l
199602
일부분에 지나지 않는다. 또한 현재 우리나라에 시행되고 있는 지능검사들은 대부분이
외국
의 시험문제를 그대로 번역한 것이 대부분이다. 그러므로 정확한 검사가 될 수 없다. 우리나라의 학생이 미국에 가서 지능검사를 하면 수리력은 대단히 뛰어나고 응용력이 낮은 것은 바로 이 때문이다.IQ를 ... ...
2. 나의 젊은 시절 보금자리
과학동아
l
199602
박사라는 호칭과 함께 붙게 될
외국
명문대학의 이름과 주위의 인정을 상상해 보면
외국
명문대 유학은 지금도 동경의 대상이 되곤 한다. 게다가 국내에서 공부하기 때문에 관심있는 연구분야의 첨단정보를 얻을 수 없거나 문제해결에 어려움을 느낄 때, KAIST를 선택한 결정이 후회로 이어지곤 한다 ... ...
이전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