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주제
문제
화제
테마
제목
목표
과제물
d라이브러리
"
과제
"(으)로 총 1,909건 검색되었습니다.
2. 종이 한장 위의 미학
과학동아
l
1996년 12호
같은 급의 데스크톱보다 최대 40%의 절전효과를 거둘 수 있다.파워다운 기술은 CPU에 해당
과제
가 없으면 스스로 전원을 공급받지 않도록 설계한 것인데, 이는 배터리의 수명을 늘려주는 역할을 한다. 노트북 사전에 업그레이드란 없다현재 전세계 PC업체들이 만드는 노트북의 메인보드는 표준이 ... ...
Ⅰ 포항공대 3가지 자랑
과학동아
l
1996년 11호
포항공대생들이 잘 적응하고 있다. 고등학교에서 배우지 못한 교양을 익히고 스스로 연구
과제
를 만들어 푸느라 다른 대학생들보다 힘들게 공부한다. 학교는 이점을 보상해주기 위해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2천년대 포항공대의 모습은 어떤 것일까. 문득 94년의 총장 취임사 중 한 대목이 떠올랐다 ... ...
타이태닉호 선체 인양 실패
과학동아
l
1996년 10호
진동일 때 어긋나기선은 고착점 사이의 길이 Lc의 현으로서 진동하지만 제동력이 세고
과제
동이어서 완화현상의 일종이 된다 유사펠레티에린의 환원으로 생기는 N-메틸그라나톨린을 알칼리성 과망간산칼륨으로 처리한 것 바늘모양결정 또는 기둥모양결정(에테르에서 재결정) 녹는점 134℃ 물, ... ...
1. 두뇌개발 DHA·비타민·칼슘
과학동아
l
1996년 10호
functional food)이라는 용어는 일본 문부성이 1984년부터 3년간 실시한 특정연구
과제
'식품기능의 계통적 해석과 전개' 에서 처음 사용됐다. 비슷한 용어로 미국이나 유럽에서는 'designed food', 중국에서는 'medicated food' 가 사용되고 있다.약품은 어떤 이상 증세를 '치료' 하는 제품이다. 이에 비해 기능성 ...
애즈택 여왕개미
과학동아
l
1996년 10호
국가 건립 과정과 그에 따른 왕권 다툼에 대한 연구를 시작했다. 필자는 이미 다른 연구
과제
로 박사 학위 논문을 시작한 지라 우리의 공동연구는 훗날 댄의 박사학위 논문이 됐다. 댄은 이 연구를 위해 아내와 함께 1년이 넘도록 몬테베르데에서 살면서 연구에 전념했다.재미 뒤에 숨겨진 무용담다른 ... ...
소행성들, 가니메데 무차별 폭격
과학동아
l
1996년 10호
골자로 한다. 물론 대적점과 이오 주위에 있는 도넛 모양의 ‘이오 토러스’도 핵심 연구
과제
다. 갈릴레오는 내년 12월 말 임무를 마칠 때까지 2년 동안 탐사 활동을 펼치면서 하루 평균 2-3장의 사진을 지구로 전송할 예정이다.그렇다면 앞으로 남은 갈릴레오의 일정은? 목성 주위를 11바퀴 돌면서 ... ...
측우기 중국기원설 정면 반박
과학동아
l
1996년 10호
원본을 실었기 때문에 내용을 파악하지 못한 사람은 없었을 것이다.앞으로 남겨진
과제
는측우기의 원조국이 우리나라라는 사실은 1910년 한 일본 기상학자에 의해 처음으로 서양에 알려졌다. 그의 논문은 같은 해 가을 영국 ‘기상학회지’에 영문으로 번역됐으며 다음해에는‘네이처’에 기사 ... ...
치열한 왕권다툼, 어제의 동업자가 오늘의 적
과학동아
l
1996년 09호
특히 왕국을 건립하는 초기단계에 빈번하게 일어나는데, 이는 매우 흥미로운 연구
과제
다. 병력 증강이 급선무 여러 여왕들이 함께 건립한 왕국들도 궁극적으로는 대개 한 여왕이 통치하는 나라로 변해 간다. 나라는 세울 때는 모두 힘을 모았지만 막상 정권을 쥐는 것은 대개의 경우 그들 중 단 한 ... ...
2. 최적의 온도와 pH는 얼마일까
과학동아
l
1996년 08호
첨가한 시험관에서 청자색이 나타난다고 하는지 모르겠어. 앞으로 연구해 볼
과제
라고 생각해. 아무튼 늦게까지 실험하느라고 고생 많았어.모두들) 수고했어. 기말고사 잘 보자.한번 만져보고 직접 해보는 것이 중요토론을 마친 후 우리는 H약품기술연구소로 전화했다. 그곳에서 우리가 사용한 ... ...
1. 참을 수 없는 고통의 메커니즘 : 몸 이상 알리는 적신호 위험 경고하는 통각신경
과학동아
l
1996년 07호
최근 가는 신경섬유도 문을 닫을 수 있다는 상반된 연구결과가 보고돼 앞으로 많은 연구
과제
를 남기고 있다.몸의 어디든 통증을 느낀다는 것은 체내 조직이 손상됐음을 의미한다. 이때 통각신경을 흥분시키는 물질이 방출된다. 그래서 가만히 있어도 욱신욱신 아프거나, 평소에는 아픔을 일으키지 ... ...
이전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