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과학"(으)로 총 22,460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SF속 당신의 순간이동을 골라보세요과학동아 l2023년 01호
- 독자위원은 “양자역학은 독자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분야가 아니니, 이번 기회에 과학동아에서 잘 알려주면 좋겠다”고 했다. 양자전송의 원리는 뭔지, 그럼에도 순간이동이 어려운 이유가 뭔지 궁금한 독자들을 위해 다음 기사 ‘양자전송이 낯선 당신을 위한 안내서’를 준비했다 ... ...
- [뉴스&인터뷰] 다누리가 쏘아 올릴 작은 공, 달 착륙기지 결정할까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우주는 그 어느 분야보다 개인의 꿈이 크게 발현되는 공간입니다. 항공우주를 꿈꾸는 과학동아 독자분들이 우주를 향한 꿈을 소중히 다듬으시길 바랍니다 - 김은혁 항공우주연구원 달탐사본부 ... ...
- [이그노벨상] 똥과 오줌의 과학에 용감히 뛰어들다과학동아 l2023년 01호
- 무엇보다도 학문적 호기심이 끊임없는 연구를 할 수 있게 해주었다고 말했다. 결국 과학의 본질은 호기심이며, 그 열정에서 모든 탐구가 시작되는 것이라고. 마지막으로 패트리샤 양 교수에게 앞으로의 연구 방향에 관해 물어보았다. “이그노벨상을 받은 후부터 주변 사람들이 제게 자꾸 이상한 ... ...
- [시사기획] 인류 80억명, 인구 위기는 다가오고 있을까?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우리 곁을 떠돈다. 2018년 11월 프랑크 괴트마크 스웨덴 예테보리대 생물학・환경과학과 교수팀은 인구가 줄면 사람이 살지 않는 지역의 재야생화가 이루어지는 등 환경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거라 주장했다. 미국 존스홉킨스대의 생명윤리학자인 트래비스 리더도 기후변화를 멈추려면 출산율을 ... ...
- [과학 뉴스] 블랙홀로 파괴된 별, 빛나는 제트로 탈바꿈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지난 11월 30일 유럽남방천문대와 호주 스윈번기술대학교 등이 참여한 국제연구팀은 약 85억 광년 떨어진 곳에서 매우 밝게 빛나는 물질 제트를 발견해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어요. 이 현상에 대해 연구팀은 별이 파괴되면서 블랙홀에서 빛의 속도에 가까운 빠르기로 물질이 뿜어져 나오는 것이라 ... ...
- [과학사] 1610년 1월 7일 갈릴레오 갈릴레이, 목성 위성 발견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여느 해와 같이 밤하늘을 올려다보던 이탈리아의 천문학자 갈릴레오 갈릴레이는 자신이 직접 만든 망원경으로 목성의 위성 3개를 관측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갈릴레오는 이 사실을 1610년 1월 7일 편지에 남겼어요. 목성의 위성들이 처음으로 발견된 순간이었죠. 이후 1월 13일, 목성에서 위성을 하 ... ...
- [기획] 78만 년 전의 발견 구워라! 그러면 맛있어 지리니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1호
- 날것으로 먹는 것에 비해 소화가 더 잘 되어 영양분 흡수율도 높아져요. 국립과천과학관 임두원 박사는 “인간의 커다란 뇌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많은 에너지가 필요하다”고 말했어요. 이어 “재료를 불에 익혀 먹으면서 음식 맛이 좋아진 것뿐 아니라, 뇌를 쓸 수 있는 여유 에너지와 시간이 ... ...
- [광고] 장화신은 고양이 끝내주는.. 모험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안녕~! 나는 장화신은 고양이 푸스! 9개의 목숨을 지녀 세상에 두려울 것이 없던 나였건만…, 어느새 목숨이 단 하나밖에 남지 않은 거 있지? 이제 히어로의 삶을 청산하고 평범한 반려묘가 되기로 결심했는데…, 주변에서 날 가만 두지 않네? 미션, 소원별을 차지하라!“으악!”내 몸보다 ... ...
- [에디터노트] 처럼 되기를…수학동아 l2023년 01호
- 매일 점심을 함께 먹으며 이야기 나누려고 노력합니다. 그러다 결국 수학에 매료돼 수리과학부 대학원에 진학하죠. 이후 히로나카 교수의 연구 방법을 자신의 연구에 적용하려고 무던히 애씁니다. 허 교수는 히로나카 교수 덕분에 수학자가 됐고, 필즈상을 받을 수 있었던 연구도 하게 됐다고 ... ...
- [특집] 내가 기억하는 이탕장수학동아 l2023년 01호
- 위해 태어난 사람 수학자 고드프리 해럴드 하디는 “수학은 다른 어떤 예술이나 과학보다 젊은이들의 놀이다”라는 말을 남겼을 정도로 수학에선 두뇌 회전이 빠른 젊은이들이 큰 성과를 낼 수 있다는 속설이 있다. 올해 장 교수의 나이는 68세. 그럼에도 그가 여전히 훌륭한 결과를 내는 비결이 ... ...
이전1161171181191201211221231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