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날씨
일기
기상
천문
도시기후
도시
동안기후
d라이브러리
"
기후
"(으)로 총 2,096건 검색되었습니다.
첨단 바이오 자원으로 거듭나는 대나무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대나무보다 더 단단한 편이다. 담양군청 라규채 홍보계장은 “국산 대나무는 아열대성
기후
에서 자란 대나무와 달리 겨울을 지내면서 목질이 더 촘촘해진다”고 설명했다. 이 때문에 우리나라 대나무는 예부터 공예품으로 널리 활용돼 왔다. 우리나라 대나무는 공예품으로 만들어 놓으면 10년, 2 ... ...
각진 친구들의 모임 다각형
수학동아
l
2010년 06호
이집트 사람들은 연구 결과를 돌이나 파피루스 위에 기록했는데, 이집트의 매우 건조한
기후
때문에 보전이 쉬웠기 때문입니다. 바빌로니아 인도 점토판에 기록한 뒤 불로 구워서 오랫동안 기록을 보전했습니다.그리스 수학 고대 그리스 수학은 에무데무스 요약을 통해 알 수 있습니다. ... ...
수학으로 산호가 아픈 이유 알아 내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박테리아가 변한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연구팀의 로라 존스 박사는 “대양의 온난화와
기후
변화를 막는 것이 시급하긴 하지만 갑작스러운 변화를 꾀하기보다는 천천히 오래도록 보호하고 가꿔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 ...
동북아 철새의 쉼터 홍도, 흑산도를 찾아서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음성 판정을 받았다.특히 장거리를 날아 서식환경이 다른 지역을 경험하는 철새들은
기후
변화나 해당지역의 환경 변화에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는 ‘바로미터’나 다름없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도 나라별 환경을 평가하는 환경지속성지수(ESI)에 철새를 주요 기준을 삼고 있다.하지만 한국의 철새 ... ...
4000년 전 그린란드인을 만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살지 않던 북극권의 그린란드에 처음으로 정착한 사카크 문명권에 속하는 사람으로, 추운
기후
에서 살도록 몸의 *대사율과 지방의 양이 적응됐지요. 저와 같은 사카크 문명의 사람은 현재 남아 있지 않아요. 우리에게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어떻게 죽었는지도 수수께끼고요. ‘어린이과학동아’ ... ...
국내 최대 공룡알 화석을 찾아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5호
화석이 되기 힘들기 때문이야.이 외에도 알껍데기에 들어 있는 공기를 분석해 당시의
기후
가 어떠했는지는 물론 둥지의 크기나 형태, 한반도 및 동아시아 지역 공룡알과의 비교 등 더 연구해야 할 부분이 많단다. 앞으로 압해도 공룡알에서 어떤 비밀들이 더 밝혀질지 기대 많이 해 줘!압해도의 ... ...
석유 대체할 궁극의 에너지는 무엇일까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석유가 갖추지 못한 조건들이다.데이비드 빈센트 영국 카본재단 프로젝트 담당 이사는 “
기후
변화 방지와 에너지 안보를 동시에 충족시키는 에너지가 미래에너지의 조건”이라고 말했다. 그는 “에너지 소비가 점차 늘어나는 반면, 공급량은 그만큼 늘지 않기 때문에 불균형이 생긴다”며 “이런 ... ...
무엇이든 바꿔 주는 함수
수학동아
l
2010년 04호
바리아빌리스)라는 라틴어에서 유래했다. variabilis는 ‘바뀌기 쉬운’이란 뜻으로 주로
기후
나 계절을 나타낼 때 많이 사용했다.x를 원소로 한 어떤 집합을 정의역이라고 한다. 공역은 정의역과 짝짓게 될 원소를 모아 놓은 집합이다. 이 집합의 원소를 y라고 나타낸다. 정의역의 x값이 함수에 의해 ... ...
거대동물 출현 잦아진 속사정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망을 개발하기도 했다. 앞으로 한국의 바다를 찾아올‘거대한 손님’은 누굴까. 지구의
기후
가 변하면서 심해에 살던 거대동물들이 갈 길을 잃고 찾아온다지만, 사람들이 이들을‘괴물’로 취급하지 않으려면 무엇보다도 지금까지 나타난 거대동물을 토대로 연구를 계속해야 할 것이다 ... ...
GMO는 인류 식량 문제 해결할까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수출국인 미국에는 매년 5000만t 이상의 옥수수가 바이오에탄올로 감소되고 있다”며 “
기후
변화로 인한 수확량 감소도 심각해 국제시장에서 거래되는 곡물은 전체 생산량의 5% 수준에 불과하다”고 설명했다.윤 교수의 분석에 따르면 지구상에서 생산되는 곡물을 균등하게 나누면 인류가 하루에 300 ... ...
이전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