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깊음
길이
강도
농도
농담
심도
d라이브러리
"
깊이
"(으)로 총 1,999건 검색되었습니다.
나이아가라에 터널 뚫는 세계 최대 굴착기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골짜기가 깎이는 경우를 말한다 개석의 정도(개석도)는 골짜기의 분포밀도, 골짜기의
깊이
너비 길이 등을 적당한 방법으로 수량화하는 것에 따라 표시된다 이것은 그 침식작용이 이루어진 시대의 신구(新舊)를 결정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된다핵을 다른 세포질로 바꿔치는 일 다른 종 사이의 잡종 ... ...
캐롤라인 허셜과 마리아 미첼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허셜이 천문학에 정진하도록 밀어줬다. 또 오빠의 조수로 일하며 스스로도 천문학에
깊이
매료됐다.그의 업무도 천체망원경을 만들기 위해 반사경을 연마하는 일로 바뀌었다. 때때로 캐롤라인 허셜은 윌리엄 허셜이 관측한 성운들의 기록에서 좌표를 찾아내 이를 목록으로 만들었다. 이 작업은 ... ...
3. 사랑은 변하는 거야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청소년 후기에 접어들면 남학생도 동성과 개별적인 우정을 쌓지만 옛 친구와 우정을
깊이
발전시키려는 여학생과는 달리 새 친구를 사귀는 것을 더 좋아한다. 따라서 남학생은 애정의 대상을 동성으로 고착시켜 동성애자가 되는 경우가 여학생에 비해 적다.청소년의 이성 관계는 발달 단계에 따라 ... ...
2. 바닷속 우리 땅 우리 이름
과학동아
l
2006년 06호
음향측심기는 강력한 음파를 발사하고 되돌아오는 음파의 시간을 측정해 그 지형의
깊이
를 알아낸다. 100여 개의 음파를 한 번에 쏴 바닥을 훑듯이 지나가면서 해저지형의 데이터를 읽어낸다. 이렇게 얻은 해저지형의 데이터를 프로그램에 입력하면 3차원 입체지형 영상을 만들 수 있다. 독도 ... ...
논리는 수학자의 친구
과학동아
l
2006년 06호
추정합니다. 그러나 함수해석학은 정확한 증명을 해야 하기 때문에 논리가 엄밀하고
깊이
가 있는 것이 예술과 같습니다.”그가 펴낸 ‘집합론 입문’에는 ‘수학자와 철학자, 전산학자, 언어학자를 위한 책’이란 부제가 달려있다. 함수해석학의 기초가 되는 집합론에서는 ‘1+1=2’조차 증명한다. ... ...
바닷속 우리 땅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06년 06호
땅 모두를 의미한다. 하지만 볼 수도 만질 수도 없는 우리 땅이 있다.바로 바닷속
깊이
숨어 있는 해저지형들이다.수년의 조사와 연구 끝에 이제 우리 이름의 해저지형이 서서히 물 밖으로 드러나고 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바닷속 우리 땅을 찾아서 1. 한반도 주변 속살 벗겨보니 2. ... ...
1. 한반도 주변 속살 벗겨보니
과학동아
l
2006년 06호
동해가 있다. 바닷물이 지형 만들어황해는 최대 수심이 100m를 채 넘지 않는다. 평균 55m
깊이
로 뚜렷한 지형 변화 없이 넓고 편평한 대륙붕이 차지하고 있다. 황해의 서쪽 해안은 중국에서 흘러들어온 양쯔강과 황하삼각주가 특징이며, 한국 쪽에는 섬이 매우 많고 광범위하게 펼쳐진 조간대가 발달해 ... ...
日 독도 수로측량 계획
과학동아
l
2006년 05호
EchoSounder)라는 음향측심기는 소리를 해저 바닥에 쏘아 돌아오는 시간으로
깊이
를 측정해 해저지형을 손금 들여다보듯 정확하게 알 수 있다. 지층을 조사하기 위해서는 ‘탄성파 탐지기’를 사용한다. 에코사운드와 원리는 같지만 수심이 아닌 지층을 파악해야 하므로 더 강한 음파를 사용한다 ... ...
첨단 디지털 펜
과학동아
l
2006년 05호
있는 균열(龜裂) 대서양을 동서로 2분하는 대서양중앙해령(大西洋中央海嶺)의 산정에
깊이
2,000m, 너비 13~50km, 길이 수백 km 이상이나 연속되는 지구(地溝 ; 中央裂線)가 있다이것은 천발지진대(淺發地震帶)의 진앙대(震央帶) · 고지열유량대(高地熱流量帶) · 72~76km/s층과 일치한다이러한 해령과 지구가 ... ...
돌이 흘러 강이 된 만어산 종석너덜
과학동아
l
2006년 05호
색이 여느 화강암과 달리 검은 이유는 흑운모 성분이 많이 포함돼 있기 때문이다.땅속
깊이
묻혀있던 화강암이 지표 가까이로 올라오면 위에서 누르는 압력이 약해져 암석에 틈이 생기는데 이 틈을 따라 수분이 스며들면 풍화가 빨라진다. 따라서 암석 모서리 부분이 깎여 나가 벽돌 모양의 암석이 ... ...
이전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