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바다"(으)로 총 3,719건 검색되었습니다.
- [생활] 요트 과학적 스포츠의 추억수학동아 l2015년 11호
- 단위로, 바람의 세기를 1노트(초속약 0.5m)부터 20노트까지 1노트 단위로 구분했다. 그리고 바다에서 요트가 맞닥 뜨릴 수 있는 360가지 상황에서 요트가 낼 수 있는 유효 속도를 각각 구해 알아보기 쉽게 연결했다. 전술가는 이 도표를 참고해 어느 길로 나아갈지 판단한다. 고 기자, 시합에 출전하다 ... ...
- 따뜻한 피를 가진 빨간개복치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있기 때문에 한국의 친구들은 저를 만나기 어려울 거예요. 또 우린 주로 육지에서 먼 바다 50~500m 깊이의 심해에 살고 있답니다. 수면 쪽으로는 잘 올라오지 않지요. 그래서 우리가 주로 살고 있는 지역이라고 해도 사람들이 낚시로 우리를 잡긴 쉽지 않죠.넌 다른 물고기랑 다른 특별한 점이 ... ...
- [핫이슈] 3D 프린터와 아두이노 보드로 화성에서 살아남기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이라는 무인잠수정 프로젝트를 제안했다. 언젠가는 무인잠수정 로봇이 유로파 얼음 속 바다를 탐사하겠지만, 그 전까지는 내가 외계행성의 대수층을 탐사한 첫 번째 인류가 될 것이다.오픈소스 : Open Rov | www.openrov.com오픈큐리오시티의 정보를 이용해 3D프린터와 아누이노 보드로 만든 탐사로봇(➊ ... ...
- Part 2. 메가이터, 생태계를 바꾸고 진화를 일으키다과학동아 l2015년 11호
- 말했다.크리스 다리몬트 교수는 34개의 연구 논문을 통해 인간이 먹이로 삼고 있는 바다생물 29종의 형질이 변하는 속도를 분석했다. 그런 뒤, 갈라파고스에 사는 핀치 새처럼 자연선택으로만 진화한 종, 그리고 인간이 사냥하지는 않지만 환경오염 등 다른 영향에 노출된 종과 비교 분석해 학술지 ... ...
- 수능 보는 로봇, 머릿속에 무슨 일이?과학동아 l2015년 11호
- 공부했는데, 이게 웬걸. 듣도 보도 못했던 수능 로봇이 등장했다. 옆 나라 일본에서도, 바다 건너 미국에서도 대학 입학시험을 치르려는 로봇들이 연구되고 있다. 심지어 일본의 수능 로봇은 올해로 삼수째다.일본의 도로보쿤은 국립정보학연구소(NII)가 2011년에 개발한 로봇으로, 2021년까지 도쿄대에 ... ...
- [Life & Tech] 태평양 한가운데 해양연구 전초기지를 가다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잠영을 가르친 정대훈 국립영덕청소년해양환경체험센터 교사는 “이 프로그램을 통해 바다가 우리와 결코 멀지 않다는 걸 아이들에게 알려줄 수 있어서 정말 의미 있는 시간이었다”고 말했다.해양생물학자가 꿈인 최세진 군(경기 파주 한민고 1)은 “인터넷으로는 알 수 있는 게 제한적인데, ... ...
- [스마트하게 날아오르다 DRONE] PART2 똑똑한 드론의 임무 수행기!수학동아 l2015년 10호
- 신호를 보낼 수도 있습니다. 공현철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미래항공우주기술팀장은 “바다같이 넓은 공간에서는 여러 대의 드론으로 구역을 나눠 수색하는 것이 훨씬 효율적”이라며, “드론은 어디서든 바로 이착륙할 수 있고 센서로 사람이나 물체를 인식할 수 있어 사고 현장에 신속하게 대응할 ... ...
- PART2. 탐사선, 위대한 여정의 시작과학동아 l2015년 09호
- 같은 주요 위성을 관측할 예정이다. NASA 역시 2020년 중반 유로파에 탐사선을 보내 바다의 형성 과정을 밝힐 계획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2015 행성 오디세이PART1. 태양계 행성 여행자를 위한 안내서PART2. 탐사선 : 위대한 여정의 시작BRIDGE. 우리를 부르는 이상한 외계행성들PART3. 외계행성 ... ...
- 알쏭달쏭~ 귀화식물이 궁금해!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서양민들레랍니다. 귀화식물은 억울하다?인간의 생활에 도움을 주는 귀화식물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우리나라는 옛날부터 다른 나라와 교역이 활발했어요. 이 때문에 오늘날의 자생식물 중 상당수가 일찌감치 귀화한 식물일 것으로 추정하고 있지요. 귀화식물이 우리나라에 들어오게 되는 ... ...
- [Knowledge] SF가 사랑한 이름, 상대성이론과학동아 l2015년 09호
- “나는 멀리 있는 것에 대한 멈추지 않는 근질거림으로 고통받는다. 나는 금지된 바다를 항해하여 이방의 해안에 착륙하고 싶다”고 말했던 것은 바로 이런 염원을 잘 표현해 주는 말이다. 아이작 아시모프와 칼 세이건이 인류 역사상 최초의 과학소설이라고 말했던 요하네스 케플러의 작품에 이런 ... ...
이전1161171181191201211221231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