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율
정도
비
부분
푼수
분수
계수
d라이브러리
"
비율
"(으)로 총 2,720건 검색되었습니다.
[life & tech] 사장님과 말단사원, 누가 더 스트레스 받나?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더 높았다. 물론 고위직인 사람은 몸 생각을 할 더 여유가 있기 때문에 비만이나 흡연
비율
이 하위직보다 약간 낮았지만 이런 변수를 고려하더라도 여전히 2.1배나 차이가 났다.30여년 간 개코원숭이를 대상으로 지배 서열과 스트레스의 관계를 연구해온 미국 스탠퍼드대 로버트 새폴스키 교수는 ... ...
나비처럼 날아 애벌레같이 쏜다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정리한 기록을 보면 털 없이 매끈한 몸을 갖고 있는 호랑나비과 애벌레가 기생당하는
비율
은 70~80%였다. 반면 지금까지 길렀던 25종의 독나방 중 기생당한 애벌레는 전혀 없었다.지난 8월호에는 털이 없고 매끄럽게 보이는 애벌레를 5종류로 세분했다. 이번호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털로 나비목 ... ...
PART 2. 도시 홍수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이 때문에 1968년 7.8%에 불과했던 서울의 불투수율(물이 땅속으로 스며들지 못하는
비율
)이 47.1%로 증가했다. 땅으로 흡수돼 오랜 시간에 걸쳐 하천으로 흘러나가야 하는 빗물이 빠른 시간 동안 하수관거로 몰리자 하수처리시설이 감당할 수 있는 능력을 벗어나 물에 잠기는 내수범람이 발생했다. ... ...
심해잠수정 얼마나 깊이 내려가야 하나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따라 다양한 설계 방법을 동원해야 한다”며 “세 가지 방법을 모두 사용하면서 최적의
비율
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바닷속은 에너지, 식량, 생물자원 보고바닷속을 탐사하는 이유는 당연하다. 지상에는 찾을 수 없는 심해 생물자원, 에너지 자원 등이 널려 있기 때문이다. 깊은 바닷속을 ... ...
한국의 대표 이공계 중점대학 GIST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학생 수를 꼽았다.“GIST는 무작정 대학의 규모를 늘리지 않습니다. 교수 대 학생의
비율
(1대 10)을 최적의 상태로 유지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교양과목이 한 반에 10~15명 내외, 필수 기초과학과 전공과목은 15~20명 내외의 학생이 수강하고 있습니다. 때문에 우리학교에서는 교수와 학생이 ... ...
브랜드 키우는 기업형 대학 중국 칭화대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11위로 일본의 도쿄대(7위)에 이어 아시아에서는 두번째에 올라 있다. 교수 1명당 학생
비율
은 12명으로 소수 정예 엘리트 교육이 기본 방침이다. [칭화대] 칭화대는 시험 성적이 100점 만점에 60점을 넘지 않으면 학점을 받지 못하고 고등학교처럼 학과별로 석차를 매겨서 학생들을 치열한 경쟁으로 ... ...
일반전형 논술, 추론과 창의력 중요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반영
비율
은 우선 선발과 일반 선발에 따라 다르다(). 일반전형의 논술고사 반영
비율
은 최대 70%인데다, 작년과 마찬가지로 일괄합산 방식을 적용하고 있다. 학생부 점수가 다소 부족하더라도 논술고사에서 좋은 결과를 얻으면 최종 합격이 가능하다. 물론 수능시험 결과에 의한 자격 기준(우선 ... ...
내 얼굴에 꼭 맞는 안경 찾기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붙은 안경으로 얼굴이 길어 보이는 효과를 줄 수 있다.안경테의 연결부 형태로도 얼굴의
비율
을 조절할 수 있다. 안경을 쓰면 코는 안경테 연결부 아래로 보이는 길이에 따라 길거나 짧아 보이기 때문이다. 코를 길게 만들수록 얼굴은 갸름하게 보인다. 코를 길게 만들고 싶다면 연결부가 높은 안경을 ... ...
PART1. 곤충을 아시나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8호
개미를 다 모아 놓으면 무게가 인간의 100배는 된다.② 전체 동물 중에서 곤충이 차지하는
비율
은 약 70%다.③ 곤충은 현재 밝혀지지 않은 종이 더 많다.④ 곤충은 약 130만 종에 이른다.3. 다음 중 지구에서 가장 먼저 살기 시작한 것은? 4. 다음 중 곤충이 갖고 있는 기록은?① 시속 145㎞로 날아가기② 10 ... ...
유전자로 과거 인구 변동 안다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적게 일어난 생물에 비해 먼저 존재했을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여러 생물의 돌연변이
비율
을 비교하면 그 생물이 언제 등장했고 다른 생물과 어떤 계통수를 이루는지 알 수 있다. 마찬가지로 사람에게 적용하면 각 지역에 사는 인류(인종)가 언제 어느 지역(인종)에서 갈라져 나왔는지 밝힐 수 있다 ... ...
이전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다음
공지사항